1. 로직모델의 개념
- 로직모델 : Logic Model → 논리모형이라 할 수 있음
1) 프로그램 이론적 틀의 하나
- 프로그램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한 하나의 틀
2) 사회복지조직의 로직모델
-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의 논리적 인과관계 → 흐름도 형태로 표현
- 자원, 투입, 활동, 산출, 성과 간의 연속성 그림 형태로 표현됨
- 프로그램 활동 과정 통해 → 어떠한 영향이나 변화 도출했는지 보여줄 수 있음
3) 로직모델의 내용
- 프로그램의 질문들 간의 관계를 연결시켜 놓은 것
- 만약 ~이며, ~이다(if ~ then) 구조의 논리적 연결관계
4) 로직모델 개발
- 1970년대 미국 Joseph Wholey 등 성과 측정 및 관리 모형
- 영리기업, 공공조직, 비영리조직 등 모든 부문에서 널리 활용되어 옴
2. 로직모델의 구성요소
▶ 확인해야 할 주요한 질문
① 당신의 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② 당신의 프로그램은 무엇을 하는 것입니까?
③ 당신의 프로그램은 무엇과 관련되어 있습니까?
④ 누가 서비스를 받게 되나요?
⑤ 그들은 무엇을 얻게 되나요?
⑥ 그들은 어떻게 혜택을 받게 되나요?
⑦ 당신의 프로그램이 성공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1) 문제상황
① 해결되지 않는 상황 또는 변화 필요한 상태
② 개입, 실천의 동기 및 이유 설명
③ 프로그램 기획 이유 명확히 해줌 → 기획의 출발점
④ 문제나 욕구의 원인, 배경에 대한 확인 중요함 → 어떤 개입전략 결정해야 할것인지 연관
예) 다문화가족의 결혼이주여성 문제
2) 투입
①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자원
② 인적 자원 / 물적 자원
③ 제도, 정책 같은 시스템 자원
예) 장기요양제도, 장애인활동지원제도
④ 관계 자원 : 지역사회 관계망 형성, 네트워크
⑤ 투입은 다른 구성요소인 활동과 연관성 가짐 → 활동에 따라 투입 자원 달라짐
3) 활동
① 자원을 가지고 실질적으로 개입 실천하는 것
② 클라이언트 대상 다양한 실천 전략 실행
③ 활동을 통해 → 문제상황 해결 → 클라이언트의 긍정적인 변화
④ 이론, 경험적으로 가장 효과적 실천방법 선택
⑤ 예 : 상담, 치료, 교육, 멘토링, 취업훈련, 자조모임, 캠프 등
4) 산출
① 프로그램 활동으로 얻어진 직접적인 성과물
② 사후적 활동의 총량
③ 사전에 실천, 개입 강도 결정해야 함 → 대상집단 문제 해결, 욕구 충족될 수 있는 정도로 크기 결정되어야 함
예) 학습수행능력 향상 → 실천 개입 어느 정도로? → 적절한 실천의 강도 결정
5) 성과
① 참여자들이 프로그램 참여 후 얻게 되는 혜택
② 태도, 지식, 기술, 가치, 기능, 행동, 지위, 조건 수준 등에서 발생한 변화
③ 변화의 단위 → 개인, 지역사회, 시스템의 변화까지 포함
④ 단기성과 : 지식, 기술, 가치, 태도 등의 변화
⑤ 중기성과 : 행동의 변화
⑥ 장기성과 : 조건이나 지위의 변화 의미
⑦ 활동과 인과관계가 형성되어야 함
⑧ 참여자들의 구체적인 변화
3. 로직모델의 논리적 순서
1) 논리적 순서
- 기획 과정과 실제 진행(실행) 과정 다름
- 진행(실행) 과정 : 문제상황 → 투입 → 활동 → 산출 → 성과
- 기획 과정 : 문제상황을 분석한 후 이를 뒤집어 줌
① 문제가 해결된 상황 → 성과가 무엇인지 도출 가능
② 성과 도출 → 성과 달성 위해 어떤 개입방법 활용할 지 결정
③ 활동 결정 → 활동 위해 어떤 자원 투입할 지 결정
④ 투입 자원 결정 → 활동의 정도, 강도, 총량 결정 → 산출을 결정함
⑤ 산출 → 성과 달성 위해 충분한 정도 되어야 함
<요약>
1. 로직모델의 개념
- Logic Model → 논리모형이라 할 수 있음
- 프로그램 이론적 틀의 하나
- 프로그램 활동 과정 통해 → 어떠한 영향이나 변화 도출했는지 보여줄 수 있음
- 만약 ~이며, ~이다(if ~ then) 구조의 논리적 연결관계
2. 로직모델의 구성요소
- 문제상황 : 개입, 실천의 동기 및 이유 설명
- 투입 : 모든 종류의 자원, 활동과 연관성 가짐
- 활동 : 자원으로 실질적으로 개입 실천하는 것
- 산출 : 활동으로 얻어진 직접적인 성과물
- 성과 : 참여자들의 태도, 지식, 기술, 가치, 기능, 행동, 지위, 조건 수준 등에서 발생한 변화
3. 로직모델의 논리적 순서
- 진행(실행) 과정 : 문제상황 → 투입 → 활동 → 산출 → 성과
- 기획 과정 : 문제상황 분석 후 이를 뒤집어 줌
: 성과 도출 → 활동 결정 → 투입 자원 결정 → 산출
부산디지털대학교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강의정리 : 배의식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직모델 - 변화이론 (0) | 2022.06.11 |
---|---|
로직모델 - 사례 (0) | 2022.06.11 |
프로그램 개선 (0) | 2022.06.11 |
프로그램 - 평가유형 / 절차 (0) | 2022.06.11 |
프로그램 평가도구 (0) | 2022.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