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의 이해
1) 설치 목적
- 중독자 조기발견·상담·치료·재활 및 사회복귀 지원
- 중독문제가 있는 노숙인 등 사회적 취약 계층, 자활을 위한 상담, 치료, 재활 지원 서비스
2) 주요사업
가. 중독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서비스
- 알코올문제 신규발견 및 이용체계 구축 -> 기타중독(도박 & 인터넷 & 마약)
- 고위험음주군 조기발견 및 단기개입서비스 -> 노숙자 등
나. 중독질환 관리사업
- 사례관리 서비스 -> 위기관리 서비스
- 재활 프로그램 -> 직업재활 서비스
다. 중독질환 가족지원사업
- 알코올중독자 및 기타 중독자 가족 신규발견 및 이용체계 구축 -> 사례관리 서비스 & 가족모임 지원 서비스
라. 중독폐해 예방 및 교육사업
- 취약계층 알코올문제 교육사업 -> 아동·청소년 & 직장인 등
- 인식개선 및 홍보사업 -> 지역주민 등
마. 지역사회 사회안전망 조성사업
- 지역사회 보건복지 네트워크 구축 -> 법무 & 경찰 & 응급지원 & 자원봉사
3) 시설 현황
2.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의 인력기준과 자격요건
1) 자격요건
- 센터장
-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 자격취득 후 지역사회정신건강사업 경력 1년 이상
- 1급 정신건강전문요원
: 지역사회정신건강 증진사업 경력 8년 이상
- 보건소장(직영형)
2) 인력기준
- 2인 이상 & 정신건강전문요원 1인, 기타 전문인력 1인
3.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역할
- 중독자 관리 및 가족지원 중점
1) 상담 및 사례관리
- 중독자 및 가족 상담 & 원조(정보제공)
- 사례관리 제공
2) 치료 및 재활사업
- 정신의료기관 의뢰
- 자조모임(AA 모임) 지원
- 가족모임 운영
3) 교육 및 예방사업
- 준법운전 및 음주운전 예방사업(보호관찰소 & 경찰서 연계)
- 청소년 알코올·약물예방 프로그램
- 유관기관 대상 중독 교육 & 중독 상담원 교육
- 절주 캠페인 등
4) 지역사회 연계
- 지역사회복지관과 신규발견 및 등록체계 활성화
- 시·군·구 희망복지지원단 & 읍면동 주민센터(찾아가는 복지 전담팀) 방문보건팀 & 의료급여팀 & 자활센터 & 지역사회복지관
- 위기 시 정신건강복지센터 연계
부산디지털대학교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재활시설에서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역할 (0) | 2022.08.15 |
---|---|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역할 (0) | 2022.08.15 |
사정도구의 실무적용사례 (0) | 2022.08.15 |
사정근거모델과 사정분류체계(2) (0) | 2022.08.15 |
사정근거모델과 사정분류체계(1) (0) | 2022.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