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역사회의 현황 파악
1) 인구학적 현황
- 인구 수, 세대 수, 성별 비율, 외국인 비율
- 연령별 경제활동인구(예: 경제활동인구를 통한 맞벌이 비율)
- 연령별 비경제활동인구(예: 유아 및 아동, 청소년, 노인 인구의 비율)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현황
- 장애인 현황(예: 장애아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 산정 시)
2) 주요 기관 현황
- 초・ 중・ 고등학교, 학원, 어린이집 등 교육 및 보육 기관 정보
- 파출소, 구청, 주민자치센터, 보건소, 정신보건센터 등의 공공기관
- 공식/비공식 사회복지기관 현황
- 민간 사회단체
- 기타 공공기관 정보
공공 기관 | 민간 기관 | |
행정/교육 기관 | 복지 기관 | |
•보건소 •병원 •경찰서 •소방서 •법원 •출입국관리소 •주민센터 •교육지원청 •교도소 •대학교 등 |
•사회복지관 •지역아동센터 •청소년문화의 집 •사회복지사협회 •자원봉사센터 •여성인력개발센터 •지역자활센터 •고용복지플러스센터 •외국인력지원센터 •드림스타트센터 등 |
•대기업/중소기업 •자동차운전전문학원 •인터넷뉴스/지역신문 •은행 •교회 •백화점/대형마트 •국제 로타리클럽/국제 라인온스협회 •녹색어머니회 •어린이집 연합회 •여성단체협의회 등 |
3) 지역사회의 주요 문제
- 지역 주민이 생각하는/당면한 중요한 문제(다문화가족, 이주노동자 등)
- 공공기관에서 파악하고 있는 중요한 문제
- 지역의 주요 인사 및 전문가들이 파악하고 있는 문제
4) 지지 자원 체계
- 기관의 사업 및 프로그램 수행 시 도움이 될 만한 기관 및 장소
- 기관의 사업 및 프로그램 수행 시 도움이 될 만한 인력
- 협조 가능한 공공 및 민간 기관
- 지역사회가 갖고 있는 강점(혹은 약점)
5) 문화적・역사적 현황
- 지역사회의 문화 유적지, 문화재 관련 정보
- 지리적 현황(면적, 도로, 길 등의 정보, 주요 건물)
- 해당 지역의 역사
2. 지역사회 중심 프로그램
∙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프로그램
-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센터가 제공하는 프로그램
- 지역 주민이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공동체적 기능 회복
- 사회적 자본 활용을 통해 가족문제를 해결해 가는 프로그램
∙ 대표적 사업 : 공동육아나눔터
- 1990년대 초・ 중반 육아문제를 공동육아로 해결하고자 한 시도
- 대표적 사례 : 성미산 마을공동체, 공동육아나눔터(건강가정지원센터) 경기도의 경기육아나눔터
- 가족의 육아문제해결, 지역의 일자리 창출, 일자리 문제 해결 대안
※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것이 한 가정의 문제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마을, 지역사회가 돌봄의 단위가 되어 아이를 키워야한다는 철학에서 시도
1) 사례 1: 공동육아나눔터(동대문구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 명 | 재능나눔 릴레이 ‘MOM 교실’ |
사업 목표 | • 가족품앗이 재능나눔을 통한 자존감 상승 •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센터로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인식 효과 • 지역 주민 소통 및 자녀들의 안전한 놀이공간 제공 |
사업 대상 | • 유형: 자녀가 있는 가정, 기존 센터 이용자(가족품앗이, 공동육아나눔터 회원) • 종류: 일반가정, 다문화가정, 한부모가정, 저소득가정, 맞벌이 가정 등 • 특성: 인적, 물적 자원 나눔이 가능한 가정 |
사업 내용 | • 재능나눔 릴레이 총 6회기의 프로그램을 통해 공동육아나눔터를 운영함 |
[출처] 한국건강가정진흥원(2015)
2) 사례 2: 워킹맘 워킹대디 프로그램(구미시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 명 | 직장도 좋아! 가정도 좋아! |
사업 목표 | • 워킹맘과 워킹대디의 교육・문화 참여확대 및 일・가정양립 문화조성 • 가족-지역-기업이 함께 하는 가족친화 문화 확산에 기여 • 맞벌이 가정의 교육 참여권 확대 |
사업 대상 | • 구미 시민 중 가족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의 접근성이 낮은 맞벌이가정(기업, 기관 및 지역사회의 워킹맘워킹대디 소속 단체 우선) |
사업 내용 | • LG 디스플레이 기관을 대상으로 총 3회기의 교육과 돌봄 영역의 프로그램 실시 • LG 실트론 기관을 대상으로 총 10회기의 교육과 돌봄 영역의 프로그램 실시 • 기타 기관을 대상으로 총 8회기의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 실시 • 온가족놀이축제 및 정보박람회에서 부족했던 정보와 자녀와 놀이로 온 가족이 소통할 수 있는 장 마련 |
[출처] 한국건강가정진흥원(2016)
<요약>
1. 지역사회의 현황
∙ 실무자는 일반적인 것에서 시작하여 구체적인 것으로 지역사회의 현황을 파악해야 함
∙ 인구학적 현황, 주요 기관 현황, 지역사회의 주요 문제, 지지 자원 체계, 문화적・역사적 현황
2. 지역사회 중심 프로그램
∙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센터가 제공하는 프로그램
∙ 지역 주민이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공동체적 기능 회복
∙ 사회적 자본 활용을 통해 가족문제를 해결해 가는 프로그램
∙ 가족의 육아문제, 지역의 일자리 창출, 일자리 문제 해결
부산디지털대학교 건강가정론 강의정리 : 박소영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건강가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램 기획 (0) | 2022.06.10 |
---|---|
요구도 조사 (0) | 2022.06.10 |
지역사회 사정 방법 (0) | 2022.06.10 |
건강가정사 - 현장실습 (0) | 2022.06.10 |
건강가정사 (0) | 2022.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