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회복지실천 과정 : 자료수집 및 사정단계
- 무엇을, 어떻게 사정할 것인가?
▶ 사정의 차원 : 클라이언트 개인 차원 사정, 가족에 대한 사정, 클라이언트의 사회적 환경에 대한 사정
▶ 사정의 차원(Hepworth와 Larsen)] - 클라이언트 문제의 본질에 관한 차원 - 클라이언트와 주요 타인들의 대처능력에 관한 차원 - 클라이언트와 체계들 간의 상호 교류 본질에 대한 파악 - 활용 가능하거나 문제를 완화, 해결하는데 필요한 자원에 대한 사정 - 문제해결에 임하는 클라이언트의 동기수준에 대한 사정 |
1) 클라이언트 개인차원의 사정
[사정의 내용]
(1) 문제
-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바를 이루기 위해 해결해야 하는 구체적인 상태나 상황
▶ 클라이언트가 호소하는 문제의 유형(Johnson, 1986)
- 경제적, 사회적 자원의 결핍
- 역할수행 상의 문제 : 역할갈등, 역할 모호성, 역할과중, 역할단절
- 생의 과도기적 문제
- 심리행동상의 문제
- 대인관계 갈등
- 사회적 관계의 불만족
- 의사결정상의 문제
- 공식적 체계 혹은 조직과의 문제
- 문화적 갈등 문제
- 부적응적 집단기능
(2) 클라이언트의 기능
- 클라이언트가 속한 사회의 평균적인 기대(개인과 환경 간에 맞는 기대의 범위 내) 와 관련하여 검토 → 신체적, 생리적, 심리사회적 사정 항목 사용
- 사회체계 내에서 기능의 변화 효과에 대한 주의 필요
생리적, 신체적 기능 | 심리사회적 기능 |
신체기능, 체질적 요소 신체적 건강 / 알코올 및 약물 사용 | 인지기능, 정서기능, 동기, 대처능력, 대인관계 |
[생리, 신체적 기능]
- 신체적 특성과 건강상태 : 클라이언트의 자기상태, 클라이언트에 대한 타인의 지각 과 반응, 사회화, 일하는 능력, 스트레스 대처능력 등의 지표, 의료적 처치나 검사의 필요 여부 결정
- 약물복용 및 남용 여부
[심리사회적 기능]
① 인지기능
- 자신의 경험세계에 대한 지각방식 사정
- 지적 기능, 판단력, 현실검토, 시종일관성, 인지적 유연성, 가치관, 잘못된 생각들, 자아상
- 인지, 정서, 행동 간의 역동적 상호작용
② 정서기능
- 정서의 통제 정도
- 감정표현 방식
- 감정표현의 상황적 적절성에 대한 이해
③ 동기
- 원조 과정의 성패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
- 문제 해결의 의지 정도, 상황 변화를 원하는 마음과 개선 노력, 자립 의지 등
- 문제를 인정하고 해결하려는 클라이언트의 구체적 동기를 평가하여 강화하고 유지 할 수 있도록 함
- 비자발적 클라이언트의 경우 특히 동기 수준의 강화 필요함
④ 대처능력
- 위기 극복의 의지, 분별력, 의사결정에 따른 수행 정도, 새로운 상황에의 대비 및 적응 능력
- 행동의 기능적 유형과 역기능적 유형에 대한 사정
⑤ 대인관계
- 사회적 역할의 적절한 수행
- 가족, 친구, 타인을 이해하고 이들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려는 태도
- 친근감, 협조성, 타인의 애정과 관심을 수용하려는 능력
학습정리
1) 사회복지실천 과정 : 자료수집 및 사정
▶ 사정의 차원
- 클라이언트 문제의 본질에 관한 차원
- 클라이언트와 주요 타인들의 대처능력에 관한 차원
- 클라이언트와 체계들 간의 상호 교류 본질에 대한 파악
- 현재 활용 가능하거나 문제를 완화, 해결하는데 필요한 자원에 대한 사정
- 문제해결에 임하는 클라이언트의 동기수준에 대한 사정
▶ 사정의 차원 : 개인 차원, 가족 차원, 환경적 차원
① 개인차원의 사정
- 문제
- 클라이언트의 기능 : 생리신체적 / 심리사회적 기능
√생리신체적 기능 : 신체기능, 체질적 요소, 신체적 건강, 알코올 및 약물 사용
√심리사회적 기능 : 인지기능, 정서기능, 동기, 대처능력, 대인관계 등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 실천론 강의정리 : 권량희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2-1사회복지 실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실천 과정 : 자료수집 및 사정(4) (0) | 2022.08.09 |
---|---|
사회복지실천 과정 : 자료수집 및 사정(3) (0) | 2022.08.09 |
사회복지실천 과정 : 자료수집 및 사정(1) (0) | 2022.08.09 |
사회복지실천 과정 : 접수(2) (0) | 2022.08.09 |
사회복지실천 과정 : 접수(1) (0) | 2022.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