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개념과 특성
1.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의의와 개념 1)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개념 - 주민의 조직적이고 지속적인 참여를 도출해내는 지역공동모금 - 1999년에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 제정 - 민간단체가 성금을 직접 모금, 배분 및 관리 → 자율성 보장, 민간 참여 활성화 2) 나라별 공동모금 비교 - 미국공동모금연맹(United Way of America) : 기부자, 납세자, 서비스 이용자와 제공자들의 하나의 비영리법인으로서 캠페인, 홍보, 기획, 배분, 관리 등의 5가지 기능 수행 - 일본 : 법률에 의한 민간모금활동, 국민 각계 각층의 자발적 협력에 따라 갹출한 민간사회복지사업을 위한 기부금의 일원화, 민간사회복지에 계획적∙합리적 배분 2. 공동모금회의 설립배경 1) 영국 - 1873년 영국 리버풀에서 자선가의 기부..
재가복지사업과 원칙(2)
1. 재가복지서비스의 구성 요소 1) 운영 주체 - 기존 주요 운영주체 : 사회복지관∙노인복지관∙장애인복지관 부설 재가센터, 재가노인복지기관 - 운영주체 ①정부기관 : 복지사무소, 아동상담소 등 ②사회복지법인 : 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등 ③복지공사, 협동조합, 기업 등으로 확산 2) 전문 인력 ①가정봉사원 → 요양보호사 등 ②사회복지사 ③전문 인력 : 의사, 간호사, 작업치료사, 물리치료사 등 ④지역 자원 : 가족, 지역주민 등 3) 재정 ①가장 중요한 재원 : 정부보조금 ②기타 : 후원금, 이용자 부담금 4) 프로그램 방문간호 - 보건의료 분야의 재가간호서비스와 같은 방법 - 간호사 또는 요양보호사 - 65세 이상 노인 및 노인성 질환을 가진 65세 미만 국민 가사원조 - 가정봉사원에 의해 실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