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에게 필요한 기본적인 자질 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창조성:사회복지사 기본적 자질
○ 사회복지사의 자질
○ 사회복지의 주체
▶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급주체
○ 사회복지의 대상
▶ 사회복지의 대상은 누구일까요?
◉ 사회복지대상으로서 국민
• 사회복지의 대상은 요보호자, 클라이언트
• 초기는 약자만을 대상으로 매우 제한적이고 선별적으로 서비스가 제공
• 선별주의를 적용, 욕구조사, 자산조사 실시
• 광의적 개념으로 국민 전체로 대상이 확대
• 최근의 클라이언트는 욕구(need)를 가진 사람, 복지의 고객으로 간주
▶ 사회적 위험
○ 사회복지의 모형
▶ 사회복지모형으로 어떤 것이 있을까요?
▶ 윌렌스키와 르보의 복지모형
◉ 잔여적 모형
- 사회복지를 가족과 시장에서 충족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에만 사회복지 조직이 작용해 야 한다는 입장
- 가족과 시장을 통해 욕구가 충족상태로 회복되면 사회복지는 중단 ‘잔여적’임
- 사회복지조직은 사후 치료 및 응급구호의 성격을 지님
◉ 제도적 모형
- 사회복지를 자본주의 경제체제에서 기능하는 정상적인 욕구충족의 한 경로로 받아들임
- 사회복지는 응급구호나 보충적 성격이 아니라 통상적이며 정상적인 제도적 지위를 가짐
- 각 개인은 국가의 법적 제도적 장치의 보호를 받을 수밖에 없다는 입장
- 대부분의 국가는 사회복지를 제도적 모형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임
▶ 티트머스의 복지모형
◉ 티트머스의 모형
- 사회복지모형을 잔여적 모형, 제도적 모형과 더불어 산업적 성취모형으로 3분함
- 잔여적 모형과 제도적 모형은 윌렌스키와 르보의 입장과 동일시함
- 사회복지를 시장경제 메커니즘에 있어서 경제성장의 한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입장
- 사회복지 대상자의 선정과정이나 급여의 분배를 산업적 성취도와 연계
- 사회복지에 투입되는 물적, 인적, 사회적 자원들도 경제성장을 위한 동력이 되도록 하자는 것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학 개론 강의정리 : 오주 교수 2021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사회복지학 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사회복지 역사 (0) | 2022.07.14 |
---|---|
빈민법의 성립과 변천 및 사회보장제도 (0) | 2022.07.14 |
고대 및 중세 사회복지 (0) | 2022.07.14 |
사회복지의 주요용어 (0) | 2022.07.14 |
사회복지의 개념 (0) | 2022.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