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화의 변동
1) 문화의 변동요인
① 자연환경의 변화
② 문명의 변화
③ 정치적 변화
④ 이주와 세계화
2) 문화 변동의 양상
(1)변동 요인에 따른 구분
- 내재적 변동 : 문화 체계의 내부에서 발명과 발견을 통해 변동이 이루어지는 것
- 문화접변을 통한 변동 : 두 개 이상의 문화가 장기간 전면적으로 접촉함으로써 문화에 변동이 일어나는 것
(2)변동 기간에 따른 구분
- 문화 진화 : 어떤 문화가 장기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변동해 가는 것
- 문화 개혁 :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강력한 인위적 행위에 의해 문화를 변동시키는 것
(3)변동 정도에 따른 구분
- 문화 공존 : 기존의 토착 문화와 새로운 문화가 고유한 성격을 유지하면서 함께 공존하는 것
- 문화 동화 : 토착 문화가 새로운 외래 문화 체계에 흡수되거나 대체되는 것
- 문화 융합 : 서로 다른 문화가 접촉하여 새로운 문화가 형성되는 것
2. 문화를 이해하는 관점
1) 문화를 보는 관점
(1)총제론적 관점
- 어떤 문화를 대할 때 그 사회의 자연환경, 정치, 경제, 문화적 요소 등과 연관하여 전체적인 맥락에서 이해하려는 관점
(2)상대론적 관점
- 해당 문화가 처한 독특한 자연적∙사회적∙역사적 맥락을 고려하여 문화를 이해하는 객관적인 관점
(3)비교론적 관점
- 어떤 사회의 문화를 다른 문화와 동등한 위치에서 객관적으로 대조∙비교하여 두 문화간 보편성과 특수성을 이해하려는 관점
3.문화를 대하는 태도
1) 문화 절대주의
자신이 속한 사회 혹은 다른 사회의 특정 문화만이 가치가 있고 우월하다고 믿는 것
2) 문화 상대주의
문화를 특정한 기준 혹은 환경과 배경에 따라 상대적으로 파악하는 것
(1) 문화 절대주의
▶ 자문화 중심주의
① 다른 문화를 자기 문화의 틀 속에서 해석∙평가하는 경향
예) 아메리카 대륙 원주민 문화 말살, 독일의 유태인 및 집시 학살, 중동지역과 발칸반도의 인종 전쟁 등
예) 경제적으로 부강한 선진국이 자신의 문화가 가난한 국가의 문화보다 우월하다고 생각하여 자신의 문화를 일방적으로 강요하면서 정당화시키는 것 등
② 자문화 중심주의의 특징(브레워와 캠벨, 2007)
- 나의 문화권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자연스럽고 정상이며, 다른 나라 사람들이 보여주는 행동은 비적절하며 틀린 행위로 생각
- 우리의 습관이 세계적으로 정당하다고 인식하며, 우리의 것이 다른 사람들에게도 최고라고 인식같은 집단의 규범, 역할 가치관리 항상 옳다고 생각
- 같은 집단에서는 서로 도와주고 협조하는 것을 당연하다고 봄
- 같은 집단 사람들끼리 좋아하는 것을 행함
- 같은 집단 사람들끼리 자부심을 느낌
- 다른 집단의 사람들에게는 적대감을 느낌
▶ 문화 사대주의
- 특정 사회의 문화를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문화보다 우월한 것으로 평가하여 동경,숭상하며, 자신들의 문화는 무시하거나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강한 태도
- 순기능 : 외래문화의 수용 가능성
- 역기능 : 문화적 주체성 상실 우려
(2) 문화 상대주의
- 문화의 다양성과 상대성을 인정
- 어떤 문화를 그 사회의 특수한 환경과 역사적, 경제적,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판단하려는 태도
→ 집단이나 사회 간의 문화 차이에 관한 연구에 적용
- Levi Strauss : “문화적 상대주의는 한 문화가 다른 문화에 비해 저속하다거나 고상하다고 판단할 절대적인 기준이 없음을 인정한다. 왜냐하면 한 문화의 구성원 은 그 문화 안에서 관찰자일 뿐만 아니라 또한 행위자이기 때문이다.”
- 특정 사회의 문화를 이해할 때 극단적인 상대주의를 피하면서 동시에 보편적인 가치를 인정하는 자세가 바람직함
학습정리
1) 문화의 변동
-문화 변동의 요인 : 내재적 변동, 문화접변을 통한 변동
-문화 변동의 기간 : 문화 진화, 문화 개혁
-변동의 정도 : 문화 공존, 문화 동화, 문화 융합
2) 문화를 이해하는 관점
- 총체론적 관점, 상대론적 관점, 비교론적 관점
3) 문화를 대하는 태도
* 문화절대주의
-자신이 속한 사회 혹은 다른 사회의 특정 문화만이 가치가 있고 우월하다고 믿 는 것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 사대주의
* 문화상대주의
-문화의 다양성과 상대성을 인정
-어떤 문화를 그 사회의 특수한 환경과 역사적, 경제적, 사회적 맥락 속에 이 해하고 판단하려는 태도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와 문화다양성 강의정리 : 권량희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사회복지와 문화 다양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적 다양성 개념 (0) | 2022.07.12 |
---|---|
다문화와 다문화 주의의 개념 (0) | 2022.07.12 |
문화의 개념 및 특징 (0) | 2022.07.12 |
다문화 사회복지의 과제와 전망 (0) | 2022.06.11 |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이해 (0) | 2022.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