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족생활주기의 개념
1) 가족생활주기란?
- 개인에게 발달단계가 있듯이 가족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서적 발달
- 발달을 달성하기 위해 가족이 수행해야 할 발달 과제가 있음
- 가족이란 믿음이나 기대, 가치 등을 공유하는 정서적 체계이므로 가족 생활의 각 단계에서 요구하는 발달 과제의 달성이 어려움
2) 가족생활주기의 의의
- 가족생활 주기는 그 자체가 하나의 정서적 발달의 기본 단위
- 모든 가족은 비슷한 단계를 거쳐 발달
- 발달 과제의 달성 여부에 따라 개인 및 가족의 건강에 영향
- 각각의 생활주기를 통해 발달 과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외부의 도움이 필요
2. 가족생활주기의 영향
3. 가족생활주기 분류
1) 가정형성기
- 결혼 후 첫 자녀가 태어나기 전까지의 기간
-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 등의 이유로 결혼 연령이 높아져 그 기간이 단축
- 가정의 전반적인 틀을 형성해 나가는 기간이므로 가정생활의 목표를 설정하고, 자녀 출산 계획과 장기적인 재정 계획 등을 고려
2) 가정확대기
- 자녀 출생후성장하여 독립하기 전까지의 기간
- 자녀 수 감소로 자녀 양육 및 자녀 결혼에 소유되는 기간이 단축되면서 가족 확 대기는 짧아짐
- 부모로서의 역할 수행, 부부간 역할 분담의 재조정, 자녀 양육비나 주택 마련비 등과 관련한 재정 계획을 고려
3) 가정축소기
- 첫 자녀의 독립에서부터 부부만 남거나 한쪽 배우자가 사망하기까지의 기간
- 자녀 수의 감소로 자녀가 독립하는 기간이 짧아지는 반면, 평균 수명의 증가로 자녀가 독립한 후에 부부만 함께 보내는 기간이 길어지게 되었음
- 직업 생활에서의 은퇴, 건강 관리, 역할 상실의 극복, 여가시간의 활용 등을 고려
4. 가족생활주기의 효율성
- 가족의 약점과 강점
- 위험요소와 대처자원
- 특수한 문제
- 잠재적인 문제 등
5. 가족생활주기의 발달
1) 라운트리
- 가족생활주기의 개념을 처음 사용
2) 솔로몬
- 가족생활주기를 상담과 관련
- 5단계와 각 단계별 과업 제시
3) 카트 맥골드릭
- 카트와 맥골드릭, 1989년
- 3세대, 6단계, 가족생활주기 제시
- 이혼가족 및 재혼가족의 발달단계 제시
4) 듀발 & 힐
- 정상적인 가족발달을개념화
- 2단계, 8단계로 분류함
① 1단계, 신혼부부 가족
② 2단계, 자녀출산 및 영아기 가족
③ 3단계, 유아기 가족
④ 4단계, 아동기 가족
⑤ 5단계, 청년기 가족
⑥ 6단계, 자녀독립기가족
⑦ 7단계, 중년기부부가족
⑧ 8단계, 노년기부부가족
5. 생애주기별 라이프 이벤트
학습정리
1) 가족생활주기
- 개인발달단계처럼 가족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정서적 발달
- 각 단계마다 해결해야 할 발달단계
2) 학자별 가족발달
- 라운트리 : 1903년 처음 개념 제시
- 솔로몬 : 1973년 상담과 관련, 5단계, 과업
- 듀발 : 1977년 2세대(핵가족), 8단계
- 카트와 맥골드릭 : 1989년 3세대, 6단계
부산디지털대학교 가족상담및 가족치료 강의정리 : 송종원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