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족생활주기의 개념
1) 가족생활주기란?
- 가족생활 주기는 그 자체가 하나의 정서적 발달의 기본 단위
- 모든 가족은 비슷한 단계를 거쳐 발달
- 발달 과제의 달성 여부에 따라 개인 및 가족의 건강에 영향
- 각각의 생활주기를 통해 발달 과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외부의 도움이 필요
2. 가족생활주기
1) 1단계 : 젊은 가족
- 어느 가족에도 속하지 않는 젊은 가족
- 결혼을 앞둔 독립가족
- 새로운 가족을 준비
- 부모로부터 정서적, 심리적 경제적 독립
- 원가족과의 분화로 성숙한 개인
- 부모의 정서적 경제적, 공간적 독립
- 결혼을 준비
2) 2단계 : 신혼가족
- 새롭게 출발하는 신혼
- 결혼으로 새로운 가족을 구성
- 자신의 욕구를 원가족에서 추구하지 않고 배우자와의 관계에게서 만족하려고 노력
- 원가족의 경험에 의해 욕구의 표현방식을 다르기 때문에 갈등이 초대되는 우려
신혼부부의 발달과제
- 새로운 체계의 인정
- 결혼에 의한 새로운 부부체계가 바람직하게 형성되기 위해서는 성숙한 남녀의 결합
- 결혼은 각자의 원 가족에서 정서적으로 자립한다는 것을 전제
- 기본적인 가족기능 수행
부부의 성숙도(마틴)
- 개인의 자립여부
- 상대방을 도울 수 있는가
- 상대방의 도움을 받아들일 수 있는가
- 성적 능력
- 신체적 친밀감
- 정서적 친밀감
신혼부부의 기능
- 첫 단계에서 획득해야 할 기본적인 기능은 거주, 식생활, 취업, 가족건강의 유지와 같은 물리적인 요소와 더불어 가족기능의 정서적, 심리적 요소도 중요
- 1단계에서 기능을 획득하지 못하면 다음단계에서 적응력을 상실하여 기능 저하를 초래할 가능성
- 다음단계로의 이행은 임신과 부모가 되는것
3) 어린자녀
- 자녀의 출생상태에서 출발하여 청소년기까지 지속
- 두 사람의 관계는 자녀의 출생으로 세 사람(혹은 이상)의 관계로 변화
- 부모로서 부부는 영유아를 양육하는 책임
- 변화에 따라 새로운 경계와 역할이 생기고 새로운 의무와 책임이 생김
어린자녀가족의 발달과제
- 자녀의 자립심과 소속감, 충성심과 균형을 지닐 수 있도록 노력
- 자녀가 부모들의 지나친 기대로 인한 중압감을 느껴 힘들어 하지 않도록 부모
- 자녀의 균형을 유지해야 함
어린자녀가족의 특징
- 자녀의 출생을 계기로 실질적인 가족 단위를 형성
-자녀를 위한 심리적, 물리적 공간을 만들 때 부부체계의 적응이 많은 영향
- 부모로서의 역할에 적응
- 확대 가족과의 관계 회복
- 자녀들의 진학에 따른 사회화의 발달
- 균형 있는 자녀 양육 태도를 확립
학습정리
* 가족생활주기
- 그 자체가 하나의 정서적 발달의 기본단위
1) 젊은부부
- 결혼을 준비
- 원가족과의 분화와 독립으로 성숙한 개인
2) 신혼부부
- 결혼으로 성숙한 남녀의 결합
- 자립과 두 사람만의 기본적 가족기능
3) 어린자녀가족
- 자녀의 출생으로 3사람(이상)의 관계
- 자녀 양육의 책임
부산디지털대학교 가족상담및 가족치료 강의정리 : 송종원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가족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상담의 개관(1) (0) | 2022.07.11 |
---|---|
가족생활주기(3) (0) | 2022.07.11 |
가족생활주기(1) (0) | 2022.07.11 |
가족사정 (0) | 2022.07.11 |
가족의 문제 (0) | 2022.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