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족의 개념
* 공동거주, 경제적 협력 그리고 생식의 특성을 갖는 사회집단으로 성관계가 허용 되는 성인 남녀, 출산한 자녀나 입양 자녀로 구성된 집단
* 생물학적 조건에 기반을 두고 형성된 일차적 공동체 단위이며, 자녀 출산과 양육, 의식주 및 성적 욕구의 충족 등의 기능을 하는 단위
* 전통적 의미로 가족은 부부와 그들의 자녀로 구성된 혈연 집단
* 포괄적 의미로 대치되고 있음
- 결혼, 혈연, 입양과 같은 법적 계약
- 구성원이 연대감을 가지고 오랜 기간 동안 함께 생활
- 미래의 상호 작용을 기대하는 집단까지 포함
* 가족은 하나의 사회 체계이며 부부, 부모-자녀 등은 그 하위단위로서 존재함
* 가족은 정서적 결합이 중요함
* 가족 자원이 가족생활에 영향을 미침
* 가족은 소집단인데도 남녀노소라는 성과 연령에 관해서는 다양하고 이질적으 로 구성
인간의 가장 일차적인 집단으로 가장 오래 지속되어 온 기본적인 사회제도로 혈연이나 결혼에 의해 이루어진 집단 |
2. 가족구조의 변화
* 인구 정책 등으로 출산 자체가 감소
*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가족 분화와 핵가족화로 인한 가족 규모축소
* 가족 결손이나 가족 해체로 인한 단독 가구의 증가
* 의료기술발달 등으로 가족 주기의 기간이 길어짐
* 초혼연령이 늦어지면서 출산율 저하로 가족형성 및 확대기가 단축(결혼에서 자녀 출산 완료까지)
* 자녀 확대 완료기(출산 후 독립까지) 길어짐
* 축소 완료 및 가족해체기(자녀 결혼 후 해체까지)가 길어짐
* 동성 가족의 출현 등 가족 구조 자체의 변화
3. 다양한 가족의 형태
* 확대가족 :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3세대 이상 가족
* 핵가족 : 부부와 미혼자녀로 구성
* 무자녀가족 : 자녀가 없고 부부로만 구성
* 한부모 가족 : 미혼, 이혼, 사별 등으로 혼자 자녀를 양육
* 재혼가족 : 재혼으로 구성된 가족
* 독신가족 : 독신, 이혼, 사별 등 한사람으로 구성된 가족
* 입양가족 : 혈연관계가 없는 자녀를 입양한 가족형태
* 다문화가족 : 부부중 한사람이 외국인인 가족
* 조손가족 : 부모없이 조부모와 손자녀로 구성된 가족
학습정리
1) 가족의 개념
- 일차적인 집단
- 기본적인 사회 제도 즉, 혈연이나 결혼에 의해 이루어진 집단
- 미래의 상호작용을 기대하는 집단 포함
2) 가족 구조의 변화
- 출산, 가족 결손, 해체 등
- 의료 기술의 발달로 가족 주기 길어짐
- 새로운 가족의 출현
부산디지털대학교 가족상담및 가족치료 강의정리 : 송종원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가족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사정 (0) | 2022.07.11 |
---|---|
가족의 문제 (0) | 2022.07.11 |
상담의 과정 (0) | 2022.07.11 |
상담자의 자질 (0) | 2022.07.11 |
상담의 기초와 정의 (0) | 2022.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