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담의 과정
1) 상담초기
(1) 라포형성
- 솔직하고 신뢰할 수 있는 상담 관계 형성(Rapport)
- 치료사의 인간적 매력도 중요
- 내담자가 치료사에게 느끼는 전문적 숙련성, 신뢰성등은 치료효과에 대한 긍정 적 기대를 갖게 하는 요인
- 초기 단계 뿐 아니라 전 과정을 통하여 촉진적 관계의 형성 및 유지가 필수적
(2) 문제의 제시
- 간단한 인사로 시작
- 내담자의 호소(문제의 제시)
- 많은 문제 중다룰 주제 집중
- 왜 지금, 이문제로 상담을 하게 되었는지 이유 확인
- 상담의 필요성과 역할
(3) 목표의 설정과 전략 수립 & 구조화
- 상담의 방향과 골격을 분명히 하고 내담자의 기대다룸
- 상담목표를정할 때 내담자와협의하고 내담자의 동의
- 구조화 : 상담시간, 역할, 비용 등 상담 외적인 제반 문제
2) 상담중기
(1) 문제해결을 위한 구체적 노력
- 상담 전과정을통한 핵심적 과정
- 문제해결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 합의
- 장애물, 준비사항을 점검하고 격려
- 내담자와상담자가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의 노력
(2) 내담자의 저항
- 내담자의 저항을 문제해결의 계기로 삼음
- 당황하기 않고 상담의 과정으로 다룸
- Here & Now
(3) 상담과정과 결과 평가
-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 평가
- 해결이 잘 되어 간다면 계속하여 진행
- 해결이 잘 되지 않을 때는 해결책을 바꾸거나 목표를 재설정 혹은 평가 방법을 바꾸는 것도 필요
3) 상담종결기
- 종결을 준비하고 회기간의 간격 늘임
- 평가 결과에 의하여 행동을 일반화
- 갑작스런 종결보다는 천천히 종결을 하게 하고 종결 후에도 추후상담을 통하여 사후관리
(1) 합의한 목표 달성
(2) 종결다루기
(3) 행동의 일반화
(4) 추후 상담
(5) 이별감정 다루기
학습정리
1) 상담초기
- 촉진적 관계(라포)의 형성
- 문제의 제시
- 상담 목표의 설정과 전략 수립 & 구조화
2) 상담중기
- 문제해결을 위한 구체적 노력
- 상담과정과 결과 평가
3) 상담종결기
- 합의한 목표 달성
- 상담 종결 다루기
- 행동의 일반화
- 추후상담
- 이별 감정 다루기
부산디지털대학교 가족상담및 가족치료 강의정리 : 송종원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가족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의 문제 (0) | 2022.07.11 |
---|---|
가족의 개관 (0) | 2022.07.11 |
상담자의 자질 (0) | 2022.07.11 |
상담의 기초와 정의 (0) | 2022.07.11 |
이마고 부부치료 - 대화법 (0) | 2022.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