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마고 부부치료 대화법
1) 반영하기, 배우자의 메시지를 정확하게 받아들이고 비취주는 과정
- 반영 : 상대방의 감정을 받아들여 전달해 주는 것
- 반영할 때는 다정하고, 김정을 이입하여 실시
- 상대방을 비판하지 않고 자신이 이해한 대로 전달
- “당신이 말하고자 하는 것이 000인 것처럼 들리는데, 맞는 거야?”
- 확인 / 반사 / 재진술/ 요약
2) 인정하기, 자신의 관점이 아닌 배우자의 관점에서 듣고 인정하기
- 배우자의 관점에서 듣기
- 상대방의 말을 폄하하거나 부정하지 않고 인정
- 자신을 포기하거나 동의 혹은 반대할 필요 없음
- 타당하다고 받아들일 수 있는 말에는 동의
- “당신 말을 가만히 생각해보니 이 부분은 일리가 있네” “당신 입장도 이해가 되네”
3) 공감하기, 배우자의 감정을 알아주는 받아들이기
- 상대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그 감정을 공감
- 상대의 감정을 인식하고 경험
- 섣부른 반응, 해석, 자신의 의도, 자신만의 행동은 자제
- 비난과 비판은 접어둠
- “당신 말을 들어보니, 나라도 그랬을 것 같네”
- 건강하지 않는 부부는 상당한 시간과 인내가 필요
- 상담에서의 “공감”
- 수용적 공감표현적 공감
2. 이마고 부부치료 기법
1) 부모자녀 대화법
- 부모가 해주지 못했던 역할을, 부부 서로가 해주도록 하는 대화법
- 부부상담자는 부부 중 한 사람이 어떤 아픔, 상처를 표현하게 되면, 부부가 부모 자녀 대화법으로 전환하도록 안내함
- 부부는 자신들이 상대 배우자의 부모인 것처럼 그 역할을 맡아 대화함
- 부모-자녀 대화법을 통해 서로를 더욱 이해할 수 있게 되고 공감적 유대감을 다시 되찾을 수 있게 됨
2) 안아주기
- 정서적 깊은 공감대 형성으로 관계의 치유와 결속을 도모함
- 한번으로 끝나지 않고 여러 번 시행함•어린 시절 상처를 준 사람을 상징하는 사람의 품 안에서 초기의 아픈 경험을 재창조하는 것
3) 이마고 찾기
4) 분노해결
- 감정이 좌절을 넘어 화 / 분노에 이른 경우 분노해결하기 필요
- 부부상담자는 모든 분노 아래에는 상처, 특히 아직 치유되지 않은 어린 시절의 상처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함
- 분노의 강도는 어린 시절 상처의 강도와 같고, 분노는 상처에 맞서 방어하려는 것
(1) 체계적인 계약 : 때리지 않고, 부수지 않고, 일곱 단계가 끝날 때까지 자리를 뜨지 않기
(2) 수용하기 과정 실습
① 누가 분노를 표출하고 수용할 것인가 정함
② 무엇때문에 화를 내는지 한 두 문장으로 말하고 수용하는 사람은 반영
③ 화나게 한 사건을 구체적으로 털어놓음
④ 10분 정도 분노 표출하게 함. 분노에 대한 이해, 수용, 공감하도록 함
⑤ 행동 변화 요청목록을 만들어 서로 나눔
⑥ 10분 정도 휴식
⑦ 웃음, 유머, 즐거움을 나눔
5) 행동변화 요청, 나의 치유를 위해 이렇게 도와주세요.
- 한쪽 배우자가 다른 쪽 배우자에게 구체적 행동변화를 요청
- 배우자의 좌절 아래 존재하는 채워져야 하는 욕구를 표현하는 과정
- 상대 배우자의 말을 집중해서 잘 듣는 것이 중요
- 행동변화의 내용은 긍정적이고 측정 가능하며 구체적이어야 함
- 치유는 배우자가 당신의 욕구를 충족시킬 때, 성장은 당신이 배우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때 일어남
<요약>
1) 이마고 부부대화법
- 반영하기 : 배우자의 메시지를 정확하게 받아들이고 비춰주는 과정
- 인정하기 : 자신의 관점이 아닌 배우자의 관점에서 듣고 인정하기
- 공감하기 : 배우자의 감정을 알아주고 받아들이기
2) 양육과 부부갈등
- 부모자녀대화 : 각자의 부모의 부족한 부분을 대화로 메움, 공감적 유대감 되찾기
- 안아주기 : 정성적 공감대 형성으로 치유
- 이마고찾기: 부모의 모습을 통한 이마고찾기
- 분노해결: 계약 과정을 통한 해결시도
- 행동변화요청 : 구체적 행동변화요청
부산디지털대학교 가족상담및 가족치료 강의정리 : 송종원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가족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자의 자질 (0) | 2022.07.11 |
---|---|
상담의 기초와 정의 (0) | 2022.07.11 |
이마고부부치료 - 성격형성단계 (0) | 2022.06.10 |
이마고부부치료 (0) | 2022.06.10 |
독서치료 / 영화치료 (0) | 2022.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