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부부간 갈등의 원인
1) 티먼(Terman, 1938)의 부부간 적응연구
- 행복한 부부집단의 불만 : 친척관계, 친구의 선택, 레크리에이션
- 그렇지 못한 부부집단의 불만 : 상대방이 논쟁적이다, 신랄하다, 애정적이지 못하다, 신경질적이다
- 다시 생을 시작한다면 어떻게 하겠느냐는 질문에 792쌍 중 80% 이상이 결혼을 원할 뿐만 아니라 지금의 배우자와 결혼하겠다고 대답함
2) 블러드와 울프(Blood & Wolfe, 1960)의 4가지 부부간의 특징
- 친밀감
- 항구성
- 경쟁
- 가변성
2. 부부간 갈등의 해결
1) 갈등해결의 방해요인
(1) 미성숙 : 혼란스러운 정보에 휩싸임
(2) 의견의 불일치를 참을 수 있는 능력의 부족: 분노, 비난 등 부정적인 감정을 심하게 노출하거나 관계를 끊어버림
(3) 무의식적 왜곡 :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상대방을 왜곡하거나 사건을 올바르게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는 갈등해결이 가능하지 않음
(4) 과음 : 의논이 언쟁으로 변화되기 쉬움
(5) 피로 : 대부분의 사람은 피곤하면 자제력을 잃기 쉽기 때문에 다투게 됨
2) 갈등해결방법
(1) 유영주 외(2015)
- 동일시, 부부간의 역할 구분, 협동, 이상화 증진, 습관 연결
(2) 갈등의 해결과정에 중점을 둠
(3) 근본적인 것은 태도, 성격임
(4) 블러드와 울프(Blood & Wolfe, 1960)
- 성숙·사랑·집중
3. 부부간의 적응유형
1) 갈등이 습관화된 유형
- 긴장 갈등 말다툼이 계속되며 서로를 비난함
- 모든 일에 견해 차이가 있으며 함께 있는 것만으로도 싸움이 일어날 이유가 됨
- 결혼을 지속시키는 요인이 됨
2) 생기를 잃은 유형
- 결혼 초기와 달리 의무적으로 대하며 주로 자녀와 관계된 일에 관심을 가짐
- 긴장이나 갈등이 노출되지 않음
- 의례적인 행사 참여
- 특별한 불만도 활력도 없으며 중년기 이후에 많음
3) 소극적-동조적 유형
- 결혼 초기부터 부부가 서로 몰입하지 않음
- 각자의 관심이나 활동을, 사회인이나 직업인으로서의 책임을 더 중요시 함
- 갈등, 분노, 좌절을 나타내지 않으며, 흥미 견해 판단 직업 등에서 서로 일치하는 면이 많다고 생각함
4) 생기 있는 유형
- 많은 시간을 부부가 함께 보내고 자녀를 사랑하는 등 가정을 소중하게 생각하며 직업생활도 성공적임
- 부부간 심리적 유대감이 강함
- 취미, 직업, 지역사회 활동 등 부부가 함께 있음으로써 생의 만족을 느낌
5) 통합적 유형
- 생활의 많은 부분을 부부가 함께 공유하며 성실하게 참여함
- 생기있는 부부의 유형보다 긴장을 덜 느낌
- 부부간의 불일치가 쉽게 해결됨
- 가끔 부부간의 견해 차이는 있지만 타협이나 양보에 의해 쉽게 해결하며, 부부관계를 악화시키지 않고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유형임
- 이상적인 부부관계
4. 건강가정에의 적용
1) 스티넷 외(Stinnett et al, 1984)의 부부간의 성공적인 의사소통과 적응 방법
- 긍정적인 마음을 지녀라
- 상호 간에 존중하라
- 공통의 준거 틀을 가져라
- 경청하라
- 메시지의 의미를 확인하라
- 공감하라
- 상대방의 감정을 알고 있다는 것을 알려라
- 자신의 의견을 분명히 말하라
- 자기노출을 하라 : 적당의 수준의 자기노출이 필요하다 부정적인 감정도 긍정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함
학습정리
1. 부부간 갈등해결방법
- 동일시, 부부간의 역할 구분, 협동, 이상화 증진, 습관 연결
- 갈등의 해결과정에 중점을 둠
- 근본적인 것은 태도, 성격임
- 성숙·사랑·집중
2. 부부간의 적응유형
1) 갈등이 습관화된 유형
2) 생기를 잃은 유형
3) 소극적-동조적 유형
4) 생기 있는 유형
5) 통합적 유형
3. 건강가정에의 적용
- 긍정적인 마음을 지녀라
- 상호 간에 존중하라
- 공통의 준거 틀을 가져라
- 경청하라
- 메시지의 의미를 확인하라
- 공감하라
- 상대방법의 감정을 알고 있다는 것을 알려라
- 자신의 의견을 분명히 말하라
- 자기노출을 하라
부산디지털대학교 건강가정론 강의정리 : 박소영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건강가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제자매 관계 및 고부관계 (0) | 2022.07.11 |
---|---|
부모-자녀관계 (0) | 2022.07.11 |
여권주의 이론‧가족강점시각과 적용 (0) | 2022.07.11 |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교환이론과 적용 (0) | 2022.07.11 |
가족체계이론‧가족발달이론과 적용 (0) | 2022.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