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신의 가족은 얼마나 건강합니까?
전혀 그렇지 않다 |
그렇지 않다 | 보통 | 그렇다 | 아주 그렇다 |
|
1. 함께 시간을 보내고, 함께 활동을 한다. | 1 | 2 | 3 | 4 | 5 |
2. 서로를 신뢰하며, 헌신적이다. | 1 | 2 | 3 | 4 | 5 |
3. 가족 간에 자주 대화하고, 서로의 이야기를 잘 들어 주며, 각자의 느낌을 나누는 긍정적인 의 사소통을 한다. | 1 | 2 | 3 | 4 | 5 |
4. 가족의 위기에 긍정적으로 대처한다. | 1 | 2 | 3 | 4 | 5 |
5. 서로에게 사랑과 감사의 마음을 표현한다. | 1 | 2 | 3 | 4 | 5 |
6. 삶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희망적이며,윤리적·종교적 신념을 가지고 있다. | 1 | 2 | 3 | 4 | 5 |
7. 부부관계가 친밀하다. | 1 | 2 | 3 | 4 | 5 |
8. 부모-자녀관계가 친밀하다. | 1 | 2 | 3 | 4 | 5 |
9. 부부관계가 만족스럽다. | 1 | 2 | 3 | 4 | 5 |
10. 부모-자녀관계가 만족스럽다. | 1 | 2 | 3 | 4 | 5 |
11. 부부는 서로에게 자신감, 자존감 유능감, 행복감을 느끼도록 해 준다. | 1 | 2 | 3 | 4 | 5 |
12. 부모는 자녀가 자신감, 자존감, 유능감, 행복감을 느끼도록 도와준다. | 1 | 2 | 3 | 4 | 5 |
총점 | 점 |
☞ 각 문항에서 얻은 점수의 합계가 38점 이하이면 가족의 건강성은 평균 이하, 39~52점은 평균, 53점 이상은 건강한 가족이다. 다른 문항에 비해 낮은 점수를 얻 은 문항은 당신의 가족이 건강한 가족이 되기 위해서 보다 노력이 필요한 영역이다.
1. 건강가정의 특성
1) Otto의 건강가정 특성
(1) 11가지 건강한 가족의 특성
- 1962년, 건강가정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구성원 간의 상호작용패턴에 초점, 연구
- 건강한 가족의 강점이란 가족원들의 개별적인 자원과 잠재력의 발달을 붇돋우며, 가족생활이 가족원들에게 매우 만족스럽고 충만하도록 하는 힘과 역동적인 요소들로 규정함
2) Curran의 건강가정 특성
(1) 15가지 건강한 가족의 특성
- 의사소통이 잘 되고 상대방의 말을 잘 들어준다
- 서로 긍정적이며 협조적이다
- 타인에 대하여 존경심을 갖는다
- 서로 신뢰한다
- 놀이와 유머에 대한 감각이 있다
- 공동적인 책임의식을 갖는다
- 옮고 그름에 대한 인식을 가르친다
- 의식과 전통을 존중하는 가족관념을 가지고 있다
- 구성원들 간에 균형 잡힌 상호작용이 있다
- 공통적인 종교를 가지고 있다.
- 서로의 개인생활을 존중해 준다
- 타인들에게 봉사하는 것을 귀하게 여긴다
- 가족들이 같이 식사하는 시간과 이야기하는 시간을 갖는다
- 여가시간을 같이 즐긴다
- 문제가 생기면 이웃끼리 서로 도와주고 도움을 받는다.
3) Olson의 건강가정 특성
(1) 순환모델(circomles model)을 개발하여 가족의 기능을 사정
- 체계요소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체계의 전체성을 이루고 체계의 평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기본으로 함
- 가족과정(family process)에 초점
- 가장 바람직한 가족의 모습으로 적응력과 응집력이 어느 한쪽으로 극단적인 치 우침이 나타나지 않은 균형이 맞는 상태
(2) 건강가정 속성에 따른 특성
응집성 (cohesion) | - 가족구성원들이 서로에게 가지는 정서적 유대 - 가족원 간의 친밀감과 유대감을 나타내는 결속의 수준과 가족원 각자의 자율성을 나타내는 분리의 수준 - 응집성의 범위 : 단절(disengaged), 분리(separated), 연결 (connected), 밀착(enmeshed) |
적응성 (flexibility) | - 가족체계가 안정을 추구하는 수준과 변화를 지향하는 수준 - 가족이 생활주기와 발달적 또는 상황적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자체의 권력구조, 역할관계, 관계적 규칙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족 체계의 능력 - 적응성의 범위 : 혼돈(chaotic), 융통적(flexible), 구조화 (structured), 경직(rigid) |
의사소통 (communication) |
- 촉매역할을 하는 요소로 응집성과 적응성을 확인하고 수행하는 수단 - 듣기 기술, 말하기 기술, 자아노출, 명료성, 주제에 집중하기, 존경과 배려 |
4) Stinnett과 DeFrain의 건강가정 특성
(1) 헌신
- 가족활동에 시간과 에너지 투자하기
- 가족 상호작용에 우선순위 두기→ 가족은 인생에서 소중한 존재로 인식
- 부부관계 : 성적 충성심→ 외도사건은 위기를 가져옴
- 신뢰, 정직, 상호의존, 충실함, 나눔 등
(2) 함께 시간 보내기/ 즐거운 시간 공유
- 관심과 시간을 투자하기
- 자신의 어린시절 가장 행복했던 추억은 항상 가족과 함께했던 활동이 중심이 됨
- 충분한 질적 시간 보내기, 좋은 일에 시간 보내기, 서로의 친구들과 어울리기, 즐거운 시간 함께하기
(3) 스트레스와 위기에 대처하는 능력
- 위기나 문제가 일어나기 전에 사건을 예방하는 데 성공적
- 탄력적으로 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능력을 발달시킴
-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없다면 외부에 도움 요청
- 적응력, 위기를 도전과 기회로 보기, 위기를 통해 함께 성장하기, 변화에 대한 개방성, 탄력성 등
(4) 영적 복지 / 영적 안녕
- 신앙심, 희망, 낙관적인 삶에 대한 믿음, 세상과의 일치감 등으로 표현
- 개인의 가치관 형성에 중요한 역할, 사랑과 헌신, 돌봄의 상호작용을 돕고, 가족생활의 의미와 목적을 부여
- 자기희생과 용서, 결혼의 영속성과 동반자 관계, 서로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지침을 제시
- 희망, 신앙심, 유머, 열정, 공유된 윤리적 가치, 인류와의 하나됨 등
(5) 긍정적인 의사소통(건강한 가족의 필수적인 요소)
- 서로에 대해 비난없이 직접적이고 솔직하게 이야기하며, 각자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려 노력함
- 유머의 사용: 긴장을 줄여줄 때, 놀 때, 적응을 돕기 위해
- 감정공유, 칭찬하기, 비난하지 않기, 협상능력, 의견 불일치 인정 등
(6) 감사와 애정
- 서로에 대한 감사의 표현을 함으로써 가족원 상호간의 긍정적인 감정을 주고받음
- 10가지 긍정적인 애정과 감사표현을 포함한 비판
- 가족 간의 긍정적인 감사와 애정의 교환은 눈덩이 효과
- 상호배려, 우정, 개성존중, 오락, 유머 등
5) 한국 건강가정의 특징
(1) 유영주(2004)의 9가지 요소
- 가족원에 대한 존중, 가족원 간의 유대의식, 감사와 애정
- 긍정적인 의사소통, 가치관 목표의 공유, 역할 충실
- 문제해결 능력, 경제적 안정, 사회와의 유대 제시
(2) 조희금 등(2005; 2013; 2018)
- 경제적 토대 : 가정의 경제적인 안정과 안정적인 의식주 생활
- 가족관계 : 민주적이고 양성평등한 가족관계, 열린 대화, 휴식과 여가 공유
- 가정 역할 : 자녀의 성장‧발달지원, 합리적인 자원관리, 가족 역할 공유
- 사회와의 관계 : 일과 가정의 조화, 건강한 시민의식과 자원봉사 활동, 지역사회 활동 참여
- 가정문화 : 건강한 가정생활 문화의 유지 및 창조
학습정리
1. 외국의 건강가정의 특징
- 감사와 애정, 헌신, 긍정적인 의사소통, 함께 즐거운 시간 보내기, 정신적 안녕, 스트레스와 위기 대처능력
2. 한국 건강가정의 특징
- 가족관계, 사회와의 관계, 경제적 토대, 가족문화, 가족역할
부산디지털대학교 건강가정론 강의정리 : 박소영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건강가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교환이론과 적용 (0) | 2022.07.11 |
---|---|
가족체계이론‧가족발달이론과 적용 (0) | 2022.07.11 |
건강가정의 필요성과 의미 (0) | 2022.07.11 |
건강가정의 개념 (0) | 2022.07.11 |
한국 가족의 위기 (0) | 2022.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