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가 어려운 질환을 앓고 있을 때
치료가 어렵거나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한 질환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덜어드립니다.
성인 암환자 의료비 지원
1. 대상
의료급여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차상위 본인부담경감대상자로 건강보험증의 구분자 코드 C, E 해당자) 중 만18세 이상 전체 원발성 암환자
2. 내용
암환자에게 연속 최대 3년 간 의료비 지원(연 최대 300만 원, 급여/비급여 구분 없음)
3. 방법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신청
4. 문의
■ 관할 보건소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국가암정보센터(☎1577-8899)
소아 암환자 의료비 지원
1. 대상
■ 의료급여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차상위 본인부담경감대상자로 건강보험증의 구분자 코드 C,E 해당자) 중 등록 신청일 기준 만 18세 미만 전체 암환자
■ 건강보험가입자 중 가구소득, 재산 조사 결과가 적합한 등록 신청일 기준 만 18세 미만 전체 암환자
※ 환자가구 소득은 기준 중위소득 120%(4인 기준 614만 5,296원) 이하, 재산은 최고재산액 300%(대도시 4인 기준 3억 936만 9,209원) 이하
2. 내용
백혈병은 연 최대 3,000만 원, 기타 암종은 연 최대 2,000만 원 (단, 조혈모세포 이식 시에는 3,000만 원)까지 의료비 지급
3. 방법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신청
4. 문의
■ 관할 보건소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국가암정보센터(☎1577-8899)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
1. 대상
희귀질환 산정특례에 등록한 건강보험가입자로 환자가구와 부양의무자가구의 소득과 재산이 일정기준 미만인 사람
2. 내용
■ 희귀질환 진료비에 대한 요양급여 중 본인부담금 지원
■ 인공호흡기 및 기침유발기 대여료(103개 질환) 지원
■ 보조기기 구입비(93개 질환), 간병비(월 30만 원, 97개 질환) 지원
■ 선천성대사이상 질환자(만 19세 이상, 28개 질환)에게 특수식이 구입비 지원
(특수조제분유 연간 360만 원 이내 및 저단백햇반 연간 168만 원 이내)
※ 간병비, 특수식이 구입비는 의료급여 수급권자, 차상위 본인부담 경감 대상자도 동일하게 지원
3. 방법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신청 → 소득재산 조사 → 대상자 선정
4. 문의
보건복지상담센터(☎129), 희귀질환 헬프라인(helpline.kdca.go.kr)
2022년, 이렇게 달라집니다.
국가인권위원회 정책 권고에 따른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부양의무자 기준 차별적 요소 개정
- 부모가 부양의무자일 경우 : 환자의 성별, 결혼 여부와 관계없이 ‘본인의 부모’를 부양의무자로 산정
- 자녀가 부양의무자일 경우 : 자녀의 성별, 결혼 여부와 관계없이 ‘자녀(배우자 포함)’를 부양의무자로 산정
입원·격리치료명령 결핵환자 부양가족 생활보호비 지원
1. 대상
입원·격리치료명령을 받아 소득을 상실한 결핵환자로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120%
(4인 기준 614만 5,296원) 미만인 환자가구(단, 기초생활수급자 제외)
2. 내용
가구별 생계급여 최저보장 수준으로 지원
3. 방법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신청(입원·격리치료 환자) → 의뢰환자 가구 소득조사, 지원대상 확정 (보건소) → 가구별 생계급여 기준에 따라 부양가족생활보호비 지원(보건소)
4. 문의
주소지 보건소, 보건복지상담센터(☎129)
알려드립니다
입원명령이란?
주소지 보건소에서 전염성 다제내성결핵 환자 등을 의료기관에 격리조치 후 관련 치료비용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복지정보 > 최근 복지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성 질병(2022년) (0) | 2022.07.05 |
---|---|
정신건강 증진(2022년) (0) | 2022.07.05 |
질병의 조기발견(2022년) (0) | 2022.07.05 |
의료급여·요양비(2022년) (0) | 2022.07.05 |
건강보험 본인부담금 경감(2022년) (0) | 2022.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