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구분 | 사업명 | 문의처 |
생계를 유지하기가 힘들 때 |
맞춤형 기초생활보장제도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생계급여·의료급여 주거급여콜센터(☎1600-0777), LH마이홈(☎1600-1004) : 주거급여 교육급여콜센터(☎02-6222-6060) : 교육급여 |
기초생활수급자를 위한 요금감면제도 |
한국전력공사(☎123), KBS수신료콜센터(☎1588-1801) 등 | |
생활에 갑작스러운 위기가 닥쳤을 때 |
긴급복지 지원제도 | 시군구청,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및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가족역량강화 지원 | 가족센터(☎1577-9337) | |
희망복지지원단 통합사례관리사업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주택문제로 어려움을 겪을 때 |
영구임대주택 공급 | 시군구청, 지방도시공사, LH마이홈(☎1600-1004) |
국민임대주택 공급 | 시군구청, 지방도시공사, LH마이홈(☎1600-1004) | |
행복주택 공급 | LH마이홈(☎1600-1004), SH(☎1600-3456) | |
분양전환 공공임대주택 공급 | 시군구청, 지방도시공사, LH마이홈(☎1600-1004) | |
기존주택일반저소득층·신혼부부· 청년등매입임대주택지원 |
시군구청, 지방도시공사, LH마이홈(☎1600-1004) | |
기존주택일반저소득층·신혼부부· 청년등전세임대지원 |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LH마이홈(☎1600-1004), 지방도시공사 |
|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 | 국토교통부 청년정책과(☎044-201-3639) | |
주거취약계층 주거지원 | LH마이홈(☎1600-1004) | |
긴급 주거지원 | LH마이홈(☎1600-1004) | |
주거급여(맞춤형급여) | LH마이홈(☎1600-1004), 주거급여 콜센터(☎1600-0777) | |
슬레이트 처리 지원 |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 |
노후 영구 임대주택 그린리모델링 |
한국토지주택공사 그린리모델링 창조센터(☎1600-1004) | |
LPG용기 사용가구 시설개선 | 한국가스안전공사(☎1544-4500) | |
신재생에너지 설치 지원 |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1855-3020) | |
에너지취약계층고효율조명기기 무상교체지원 |
지자체(시군구) 에너지 담당부서, 한국에너지재단 사회공헌팀(☎02-6913-2132) |
|
에너지바우처 | 에너지바우처 콜센터(☎1600-3190) |
구분 | 사업명 | 문의처 |
주택문제로 어려움을 겪을 때 |
사회취약계층 환경성질환 예방사업 |
한국환경산업기술원(☎02-2284-1813,1827) |
저소득층 에너지효율 개선 | 한국에너지재단(☎1670-7653) | |
내집 마련 디딤돌대출 (주택구입 시) |
주택도시기금(☎1566-9009), 한국주택금융공사(☎1688-8114) |
|
보금자리론 | 한국주택금융공사(☎1688-8114) | |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전·월세 보증금 대출 시) |
주택도시기금(☎1566-9009) | |
버팀목 대출 보증 | 한국주택금융공사(☎1688-8114) | |
주거안정 월세대출 (순수 월세 대출 시) |
주택도시기금(☎1566-9009) | |
주거안정 월세대출 보증 | 한국주택금융공사(☎1688-8114) | |
전세금안심대출보증 | 주택도시보증공사(☎1566-9009) | |
전세자금 보증 | 한국주택금융공사(☎1688-8114) | |
재정적인 도움이 필요할 때 |
국민행복기금 채무조정 |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 통합콜센터(☎1588-3570) |
신용회복위원회 채무조정 | 신용회복위원회(☎1600-5500) | |
일상의 불편함, 부족함을 해소하고 싶을 때 |
가사·간병 방문 지원사업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쌀 할인판매(양곡할인) |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 |
통합문화이용권 | 문화누리카드 고객지원센터 (☎1544-3412, 카드 발급/사용 관련 일반문의) NH농협카드 고객센터 (☎1644-4000, 수령등록, 잔액확인, 분실신고 등) |
|
스포츠강좌이용권 | 스포츠강좌이용권 상담센터(☎02-410-1298~9) | |
산림복지서비스이용권 | 산림복지서비스이용권 콜센터(☎1544-3228) | |
서민금융진흥원 소액보험 (저소득층 아동보험2) |
삼성화재(☎02-3471-5116), 서민금융콜센터(☎1397) | |
평생교육바우처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평생교육바우처 콜센터(☎1600-3005) | |
실직으로 곤란을 겪고 있을 때 (생활안정 지원) |
실업급여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 |
국민연금 실업크레딧 | 국민연금공단 콜센터(☎1355),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 |
|
건강보험 임의계속가입제도 | 국민건강보험공단(☎1577-1000) | |
실직으로 곤란을 겪고 있을 때 (취업훈련) |
국민취업지원제도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 |
국민내일배움카드제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 | |
허그일자리지원 프로그램 |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1670-7004) | |
생계가 어려운 분들이 일자리를 원할 때 |
자활근로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정부지원 일자리 제공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 | |
생계가 어려운 분들이 자립자금이 필요할 때 |
희망저축계좌(Ⅰ, Ⅱ)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청년내일저축계좌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근로장려금 | 국세상담센터(☎126) | |
자녀장려금 | 국세상담센터(☎126) |
구분 | 사업명 | 문의처 |
여성이 일자리를 원할 때 |
여성 경제활동 촉진 지원사업 | 여성새로일하기센터(☎1544-1199) |
여성이 기업 운영을 원할 때 |
여성기업 종합지원센터 운영 | 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02-369-0993) |
여성기업 해외진출 지원 | 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02-369-0942) | |
여성기업 확인서 발급 | 한국여성경제인협회(☎02-369-0932) | |
W-디지털판로지원 | 한국여성경제인협회(☎02-369-0958) | |
여성 창업 경진대회 | 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02-369-0943) | |
중장년층이 일자리를 원할 때 |
중장년 기술창업센터 지원 | K-스타트업(☎1357 내선번호 3번) |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 | 지방자치단체 소관부서 또는 수행기관 | |
신중년 적합직무 고용장려금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 | |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 | |
고령자 고용지원금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 | |
청년이 일자리를 원할 때 |
현장실습 지원금 | 한국장학재단 취업연계지원 상담센터(☎1800-0499) |
현장실습 기업현장 교육지원 | 한국장학재단 취업연계지원 상담센터(☎1800-0499) | |
고교 취업연계 장려금 | 한국장학재단 취업연계지원 상담센터(☎1800-0499) | |
고졸자 후속관리 지원모델 개발 사업 |
중앙취업지원센터(☎1599-8297) | |
중앙취업지원센터 운영 | 중앙취업지원센터(☎1599-8297) | |
일학습병행제 | 한국산업인력공단(☎1644-8000) | |
내일이룸학교 | 한국생산성본부(☎02-398-7632) | |
산업계 주도 청년 맞춤형 훈련 | 한국산업인력공단(☎1644-8000) | |
국가기간·전략산업 직종훈련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 | |
창업지원형 기숙사 사업 | 한국장학재단(☎1599-2290) | |
해외취업 지원 | 한국산업인력공단(☎1577-9997) | |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 사업 | 워크넷 청년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 누리집 | |
청년내일채움공제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3번,8번) | |
임신·출산이 경제적으로 부담될 때 |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표준모자 보건수첩 제작·배부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임산부 철분제·엽산제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임신부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 |
질병관리청 콜센터(☎1339), 질병관리청 예방접종관리과(☎043-719-8398~8399) |
|
영양플러스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임신·출산 진료비(의료급여)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요양비(출산비)지원(요양기관 외 출산 시 출산비 지급) |
국민건강보험공단(☎1577-1000),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출산비용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국민행복카드)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구분 | 사업명 | 문의처 |
임신·출산이 경제적으로 부담될 때 |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 (국민행복카드) |
BC카드(☎1899-4651), 삼성카드(☎1566-3336), 롯데카드(☎1899-4282), KB국민카드(☎1599-7900), 신한카드(☎1544-8868), 국민건강보험공단(☎1577-1000),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첫만남이용권(국민행복카드)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사업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입양 숙려기간 모자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국민연금 출산크레딧 | 국민연금공단 콜센터(☎1355) | |
육아와 직장생활을 병행하고 싶을 때 |
출산전후휴가(유산사산휴가) 급여 지원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 |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 지원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 | |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지원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 | |
육아휴직 급여 지원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 | |
출산육아기 고용안정장려금 (대체인력 지원금)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 | |
출산육아기 고용안정장려금 (육아휴직 지원금, 육아기 근로 시간 단축 지원금)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 |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지원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 | |
직장어린이집 설치 지원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 근로복지공단 직장보육지원센터(☎02-2670-0411~27) |
|
아이 보육에 도움이 필요할 때 |
만 0~2세 보육료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아이사랑 헬프데스크(☎1566-3232) |
만 3~5세 누리과정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서비스 이용 신청 및 보육료 에듀콜센터(☎1544-0079) : 유아학비 |
|
가정양육수당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아동수당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영아수당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아이돌봄서비스 | 정부 지원 가정 :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보건복지상담센터(☎129) 정부 미지원 가정(본인부담) : 아이돌봄(☎1577-2514) |
|
그밖의 연장형 보육료 지원 (어린이집 이용 아동)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시간제 보육 지원 | 시간제보육 콜센터(☎1661-9361) | |
방과후 보육료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입양아동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육아종합지원센터 |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1577-0756, ☎02-701-0431) | |
공동육아나눔터 운영 | 가족센터(☎1577-9337) |
구분 | 사업명 | 문의처 |
어린 자녀의 건강관리가 필요할 때 |
영양플러스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선천성대사 이상 검사 및 환아관리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선천성 난청검사 및 보청기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의료비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조산아 및 저체중출생아 본인부담금 경감 |
국민건강보험공단(☎1577-1000) | |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영유아 건강검진 | 국민건강보험공단(☎1577-1000) | |
취학전 아동 실명 예방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한국실명예방재단(☎02-718-1102), 인구보건복지협회(☎1644-7373) |
|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 질병관리청 콜센터(☎1339), 질병관리청 예방접종관리과(☎043-719-8398~8399) |
|
아동 입원진료비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어린이 불소 도포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방과 후 돌봐줄 손길이 필요할 때 |
초등돌봄교실 | 자녀 재학(입학 예정) 초등학교 |
지역아동센터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운영지원 |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운영지원단(☎02-330-2831~4) | |
다함께 돌봄 사업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보호나 지원이 필요할 때 (보호 및 자립지원) |
아동통합서비스 지원 (드림스타트사업)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주소지 시군구 드림스타트 |
실종아동 보호 및 지원 | 아동권리보장원 실종아동전문센터(☎02-6283-0200), 경찰청안전Dream(아동·여성·장애인경찰지원센터)(☎182) |
|
가정위탁아동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학대피해아동 보호 및 지원 | 아동학대 신고전화(☎112) | |
경계선지능아동 맞춤형 사례관리서비스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아동권리보장원(☎02-6454-8500) |
|
아동발달지원계좌 (디딤씨앗통장)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아동권리보장원 자립지원부(☎02-6454-8666) |
|
자립준비청년(보호종료아동) 자립수당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자립지원 전담기관 운영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아동권리보장원(☎02-6283-0200) |
|
보호나 지원이 필요할 때 (청소년 보호 및 상담) |
청소년치료재활센터 (국립중앙청소년디딤센터)운영 |
국립중앙청소년디딤센터(☎031-333-1900) |
청소년동반자 프로그램 | 청소년전화(☎1388) | |
학교 밖 청소년 지원 | 청소년전화(☎1388) | |
학교 밖 청소년 건강검진 | 청소년전화(☎1388) | |
위기청소년 특별지원 | 주소지읍면동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청소년전화(☎1388) | |
청소년 성문화센터 | 여성가족부(☎02-2100-6000), 시도 청소년 성문화센터 |
구분 | 사업명 | 문의처 |
보호나 지원이 필요할 때 (청소년 보호 및 상담) |
성매매 피해아동, 청소년 종합지원 체계 운영 |
한국여성인권진흥원(☎02-6363-8410,8416), 여성긴급전화(☎1366) |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해소 지원 |
청소년전화(☎1388),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051-662-3191~5), 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063-323-2285), 시도 청소년상담복지센터 |
|
위(Wee)프로젝트상담지원 (위(Wee)클래스·위(Wee)센터· 위(Wee)스쿨등) |
위(Wee)프로젝트 연구지원센터(☎043-530-9182,9184) | |
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청소년안전망) |
청소년전화(☎1388) | |
청소년전화 1388 | 청소년전화(☎1388) | |
청소년쉼터 | 청소년전화(☎1388) | |
청소년자립지원관 | 청소년전화(☎1388) | |
보호나 지원이 필요할 때 (청소년 역량 강화) |
청소년 국제교류 |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02-330-2892, 2896, 2898) |
지방 청소년활동진흥센터 운영 | 지방 청소년활동진흥센터 | |
청소년활동 지원 |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02-330-2818) | |
이주배경청소년 지원 | 이주배경청소년지원재단(☎02-722-2585) | |
교육비가 부담될 때 (교육비 지원) |
기초생활보장(교육급여)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교육급여 학습특별지원사업 | 한국장학재단(☎1599-2290) | |
고교학비 지원 | 교육비 중앙상담센터(☎1544-9654) | |
급식비 지원 | 교육비 중앙상담센터(☎1544-9654) | |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 | 교육비 중앙상담센터(☎1544-9654) | |
초·중·고 학생 교육정보화 지원 (PC,인터넷통신비) |
교육비 중앙상담센터(☎1544-9654) | |
교육비가 부담될 때 (보건 및 복지 지원) |
학교 우유급식 | 소속 학교 |
아동 급식 지원 | 전국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바우처 지원 |
바우처콜센터(☎1566-3232) 국민행복카드발급 : BC카드(☎1899-4651), 삼성카드(☎1566-3336), 롯데카드(☎1899-4282), KB국민카드(☎1599-7900), 신한카드(☎1544-8868) |
|
HPV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 질병관리청 콜센터(☎1339) 질병관리청 예방접종관리과(☎043-719-8398-8399) |
|
교육복지 우선지원사업 | 각 시도 교육청 | |
교육비가 부담될 때 (장학금 등 지원) |
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사업 | 소속 학교, 한국장학재단(☎1599-2290) |
우수고등학생 해외유학 장학금 (드림장학금) |
한국장학재단(☎1599-2290) | |
고졸 후학습자 장학금 (희망사다리Ⅱ유형) |
한국장학재단(☎1800-0499) | |
국가장학금 [Ⅰ,Ⅱ유형,다자녀(세자녀이상)] |
한국장학재단(☎1599-2000) | |
이공계 우수학생 국가장학사업 | 한국장학재단(☎1599-2290) |
구분 | 사업명 | 문의처 |
교육비가 부담될 때 (장학금 등 지원) |
국가근로장학금 | 한국장학재단(☎1599-2290) |
예술체육 비전장학금 | 한국장학재단(☎1599-2290) | |
인문100년 장학금 | 한국장학재단(☎1599-2290) | |
전문기술인재장학금 | 한국장학재단(☎1599-2290) | |
교·사대생 등 대학생 튜터링 장학금 |
한국장학재단(☎1599-2290) | |
푸른등대 기부장학사업 | 한국장학재단(☎1599-2290) | |
푸른등대 삼성기부장학사업 | 한국장학재단(☎1599-2290) | |
중소기업 취업연계 장학사업 (희망사다리Ⅰ유형) |
한국장학재단(☎1800-0499) | |
연합기숙사 | 한국장학재단(☎1599-2290) | |
교육비가 부담될 때 (학자금대출 지원) |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 | 한국장학재단(☎1599-2000) |
일반 상환 학자금대출 | 한국장학재단(☎1599-2000) | |
농촌출신대학생학자금융자사업 | 한국장학재단(☎1599-2000) | |
심신장애인학자금대출채무면제 | 한국장학재단(☎1599-2000,2230,2250) | |
국방의 의무와 관련하여 도움이 필요할 때 |
경제적 배려대상자 지원 | 병무청 병무민원상담소(☎1588-9090) |
신체적 배려대상자 지원 | 병무청 병무민원상담소(☎1588-9090) | |
생계곤란 병역감면 제도 | 병무청 병무민원상담소(☎1588-9090) | |
의료비 부담을 덜고 싶을 때 (건강보험) |
건강보험제도 | 국민건강보험공단(☎1577-1000) |
건강보험 산정특례 | 국민건강보험공단(☎1577-1000) | |
의료비 부담을 덜고 싶을 때 (건강보험 본인 부담금 경감) |
건강보험 차상위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질병관리청 만성질환예방과(☎043-719-7441) |
|
의료급여 산정특례 (중증질환 산정특례)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재난적의료비 지원 | 국민건강보험공단(☎1577-1000),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생활이 어려워 의료비를 부담하기 힘들 때 |
의료급여 본인부담금 보상제·상한제·대지급금 지원 |
시군구청 |
의료급여 제도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의료급여 본인부담 면제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건강생활 유지비 지원 | 국민건강보험공단(☎1577-1000),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선택의료급여기관 제도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질병의 조기 발견을 원할 때 |
국가건강검진제도 | 국민건강보험공단(☎1577-1000) |
지역사회통합 건강증진 사업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청년마음건강지원사업(바우처)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구분 | 사업명 | 문의처 |
치료가 어려운 질환을 앓고 있을 때 |
성인 암환자 의료비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국가암정보센터(☎1577-8899) |
소아 암환자 의료비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국가암정보센터(☎1577-8899) | |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입원·격리치료명령 결핵환자 부양가족 생활보호비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정신건강 증진 등의 도움을 받고 싶을 때 |
정신건강복지센터 이용 | 정신건강위기 상담전화(☎1577-0199) |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운영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노숙인 및 취약계층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사업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정신건강위기 상담전화(☎1577-0199) |
|
자살예방센터 운영 | 자살예방상담전화(☎1393) | |
정신질환자 치료비 지원사업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주소지 관할 보건소 또는 정신건강복지센터 |
|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으로 일상생활이 힘들 때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1577-1000) |
노인장기요양보험 본인부담금 감경 |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1577-1000) | |
안정적인 노후생활 지원이 필요할 때 |
기초연금제도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국민연금공단 콜센터(☎1355) |
노후준비서비스 | 국민연금공단 콜센터(☎1355) | |
주택연금제도 | 한국주택금융공사(☎1688-8114) | |
노후긴급자금 대부 사업 | 국민연금공단 콜센터(☎1355) | |
은퇴금융 아카데미 | 한국주택금융공사(☎1688-8114) | |
어르신들이 일자리를 원할 때 |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 노인일자리 상담안내(☎1544-3388) |
사회참여나 문화활동이 필요할 때 |
노인복지관, 경로당 이용 | 거주지 인근 복지관 및 경로당 |
온라인 정보화 교육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배움나라(☎1577-6830) | |
어르신 문화프로그램 운영 | 한국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진흥팀(☎02-704-2311~3) | |
치매가 걱정될 때 |
치매검진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치매상담콜센터(☎1899-9988) |
치매치료 관리비 지원사업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치매상담콜센터(☎1899-9988) | |
어르신의 건강이 걱정될 때 |
노인 안검진 및 개안수술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한국실명예방재단(☎02-718-1102) |
노인 틀니 지원 | 국민건강보험공단(☎1577-1000),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노인 치과 임플란트 지원 | 국민건강보험공단(☎1577-1000),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노인 무릎인공관절 수술 지원 | 노인의료나눔재단(☎02-711-6599) | |
어르신 국가예방접종 지원 사업 | 질병관리청 콜센터(☎1339), 질병관리청 예방접종관리과(☎043-719-8398~8399) |
|
어르신을 돌봐 드릴 일손이 필요할 때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독거노인·장애인 응급안전 안심서비스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노인보호 전문기관 이용 | 노인보호전문기관(☎1577-1389), 수사기관(☎112) | |
지역사회 통합 돌봄 (커뮤니티케어) 서비스 |
지역사회 통합 돌봄 선도사업 실시 지자체 |
구분 | 사업명 | 문의처 |
어르신을 위한 각종 요금 감면 혜택이 궁금할 때 |
어르신을 위한 요금감면 제도 | 코레일(☎1544-7788) 등 |
장애로 인해 생활이 곤란할 때 |
장애인 등록신청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장애인서비스지원 종합조사신청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장애아동수당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장애수당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장애인연금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자녀 양육에 곤란을 겪을 때 |
여성장애인 출산비용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장애아동 입양양육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장애아 보육료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장애아동 양육수당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장애아가족 양육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발달장애인 가족휴식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중앙장애아동·발달장애인지원센터(☎02-3433-0743) |
|
발달장애인 부모 상담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장애아 방과 후 보육료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장애아동 그밖의 연장형 보육료 지원 (어린이집 이용 아동)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장애인이 교육의 기회를 원할 때 |
여성장애인 교육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특수교육대상자치료지원서비스 | 교육부(☎044-203-6560) | |
국립특수학교 및 국립부설학교 특수학급 지원 |
교육부(☎044-203-6560) | |
대학의 장애학생지원센터 운영 지원 |
국가평생교육진흥원(☎02-3780-9886,9887) | |
장애인 정보화교육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1588-2670) | |
장애학생 정보격차 해소 지원 | 국립특수교육원 정보지원과(☎041-537-1485) | |
장애인에게 일자리가 필요할 때 (직업능력 개발 및 일자리 지원) |
장애인 일자리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장애인 취업성공패키지 | 한국장애인고용공단(☎1588-1519) | |
장애인 근로지원인 | 한국장애인고용공단(☎1588-1519) | |
중증장애인확인서 발급 | 한국장애인고용공단(☎1588-1519) | |
장애인 신규 고용장려금 지원 | 한국장애인고용공단(☎1588-1519) | |
중증장애인 지원고용(훈련수당) | 한국장애인고용공단(☎1588-1519) | |
장애인 직업능력개발 운영 (훈련수당) |
한국장애인고용공단(☎1588-1519) | |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지원 (훈련수당) |
한국장애인개발원(☎02-3433-0600) | |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이용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근로장애인 전환지원 | 한국장애인고용공단(☎1588-1519) | |
장애인 고용장려금 지원 | 한국장애인고용공단(☎1588-1519) |
구분 | 사업명 | 문의처 |
장애인에게 일자리가 필요할 때 (직업능력 개발 및 일자리 지원) |
장애인고용 시설장비 융자·무상 지원 |
한국장애인고용공단(☎1588-1519) |
장애인 표준사업장 설립 지원 | 한국장애인고용공단(☎1588-1519) | |
장애인 고용관리 비용 지원 | 한국장애인고용공단(☎1588-1519) | |
보조공학기기 지원 | 한국장애인고용공단(☎1588-1519) | |
장애인이 사회활동과 자립을 원할 때 |
장애인 자립자금 대여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장애인기업 종합지원센터 |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02-2181-6500) | |
장애인 창업점포 지원사업 |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02-2181-6500) | |
장애인 창업육성 |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02-2181-6500) | |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 |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 |
장애인이 의료 및 재활지원이 필요할 때 |
장애인 의료비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장애인 건강보험료 경감 | 국민건강보험공단(☎1577-1000) | |
장애인 보조기기 급여 | 국민건강보험공단(☎1577-1000),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장애정도 심사 검사비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장애정도 심사용 진단서 발급비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 | 장애인보조기기센터(☎1670-5529) | |
장애 입양 아동 의료비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언어발달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청각장애인 인공달팽이관 수술비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발달재활 서비스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지역사회 중심 재활사업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 전국 14개소 |
|
장애친화 건강검진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장애인 의료재활시설 이용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장애인 재활지원 사업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02-6925-1114,중도시각장애인재활), 한국척수장애인협회(☎02-786-8483,척수장애인재활), 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관(☎02-880-0801,음악재활), 한국장애인도우미견협회(☎031-691-7782,보조견) |
|
장애인이 안정적인 일상생활을 원할 때 |
장애인 활동 지원 | 국민연금공단(☎1355),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성인 발달장애인 주간활동 서비스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중앙발달장애인지원센터(☎02-3433-0743) |
|
발달장애학생 방과후 활동서비스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중앙발달장애인지원센터(☎02-3433-0743) |
|
여성장애인 가사도우미 파견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장애인 주택 특별(우선)공급 | LH마이홈(☎1600-1004) | |
농어촌 장애인 주택 개조 |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 |
장애인 거주시설 이용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구분 | 사업명 | 문의처 |
장애인이 안정적인 일상생활을 원할 때 |
장애인 거주시설 실비입소 이용료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발달장애인 공공후견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무료 법률구조 제도 | 대한법률구조공단(☎132) | |
소외계층 방송접근권 보장사업 (시각·청각장애인용 TV보급) |
시청자미디어재단(☎1688-4596) | |
승용자동차LPG연료사용허용 | 산업통상자원부 콜센터(☎1577-0900) | |
장애인 자동차 표지 발급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장애인 운전교육 사업 | 국립재활원 장애예방운전지원과(☎02-901-1552~6) | |
장애인을 위한 세제혜택을 받고 싶을 때 |
장애인 전용 승용자동차에 대한 개별소비세 면제 |
국세상담센터(☎126) |
장애인 상속세 상속공제 | 국세상담센터(☎126) | |
장애인용 자동차에 대한 지방세 감면 |
행정안전부(☎044-205-3860) | |
증여세 과세가액 불산입 | 국세상담센터(☎126) | |
장애인보조기기 부가가치세 영세율 적용 |
국세상담센터(☎126) | |
지역사회 복지시설을 이용하고 싶을 때 |
장애인 주간 보호시설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장애인 복지관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장애인 체육시설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장애인 생활이동지원센터 | 각 시도(시군구) 장애인생활이동지원센터 | |
수어통역센터 | 한국농아인협회(☎02-461-2261) | |
각종 요금을 감면받고 싶을 때 |
장애인을 위한 요금감면 제도 | KBS수신료 콜센터(☎1588-1801), 코레일(☎1544-7788) 등 |
본인이나 가족이 보훈대상자일 때 (보훈급여금) |
국가유공자 등 보상금 | 주소지 관할 보훈지(방)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국가유공자 등 사망일시금 | 주소지 관할 보훈지(방)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국가유공자 등 생활조정수당 | 주소지 관할 보훈지(방)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무공영예수당 | 주소지 관할 보훈지(방)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독립유공자(손)자녀생활지원금 (저소득가구지원) |
주소지 관할 보훈지(방)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애국지사 특별예우금 | 주소지 관할 보훈지(방)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영주귀국정착금 | 수권자 관할 보훈지(방)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재해보상금 | 주소지 관할 보훈지(방)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재해위로금 | 주소지 관할 보훈지(방)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참전명예수당 | 주소지 관할 보훈지(방)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6·25 자녀수당 | 주소지 관할 보훈지(방)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고엽제 후유의증 수당 | 주소지 관할 보훈지(방)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고엽제환자 2세 수당 | 주소지 관할 보훈지(방)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국가유공자 등 간호수당 | 주소지 관할 보훈지(방)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구분 | 사업명 | 문의처 |
본인이나 가족이 보훈대상자일 때 (생활안정 지원) |
재가복지지원 | 주소지 관할 보훈지(방)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요양지원 | 주소지 관할 보훈지(방)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민간 노인 장기요양급여 이용지원 |
주소지 관할 보훈지(방)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양로지원 | 보훈원(☎031-250-1521), 보훈(지)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양육지원 | 보훈원(☎031-250-1521), 보훈(지)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보훈병원진료 | 보훈(지)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위탁병원 진료 (시군별 지정 의료기관) |
보훈(지)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국가유공자 기타의료지원 | 주소지 관할 보훈지(방)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보훈가족 심리재활서비스 지원 | 심리재활집중센터(☎02-786-7937) | |
국가보훈대상자 LPG차량 세금인상분 지원 |
보훈(지)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국가보훈대상자 친환경차량 (전기·수소차) 지원 |
보훈(지)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교통시설 이용 지원 | 보훈(지)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국가유공자 등 대부 지원 | KB국민은행(☎1599-9999), NH농협은행(☎1588-2100), 보훈(지)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장기복무 제대군인 대부 지원 | KB국민은행(☎1599-9999), NH농협은행(☎1588-2100), 보훈(지)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국가유공자 등 취업능력개발 지원 |
보훈(지)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국가유공자 등 취업지원 | 보훈(지)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장기복무 제대군인 취업지원 | 보훈(지)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제대군인 전직지원금 지원 | 제대군인지원센터(☎1666-9279) | |
중장기복무 제대군인 무료법률 구조 지원 |
보훈(지)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대한법률구조공단(☎054-810-0132) |
|
본인이나 가족이 보훈대상자일 때 (본인 및 자녀 교육비 지원) |
국가보훈대상자 수업료 등 면제 | 보훈(지)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국가보훈대상자 학습보조비 지급 |
보훈(지)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장기복무 제대군인 수업료 보조 | 보훈(지)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
국가보훈대상자 보훈장학금 지급 |
국가보훈처 보훈상담센터(☎1577-0606) 또는 교육기관 소재지 보훈(지)청 |
|
생활 속 갈등을 현명하게 풀어내고 싶을 때 |
무료 법률상담 | 대한법률구조공단(☎132) |
마을변호사 | 대한변호사협회(☎02-2087-7851), 법무부(☎02-2110-3178) |
|
법문화교육센터 | 대한법률구조공단 법문화교육센터(☎054-432-6812) | |
법률홈닥터 | 법무부 인권구조과(☎02-2110-3753,3824) | |
마을세무사 |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 |
법률구조 제도 | 대한법률구조공단(☎132) |
구분 | 사업명 | 문의처 |
생활 속 갈등을 현명하게 풀어내고 싶을 때 |
개인회생‧파산 종합지원센터 | 대한법률구조공단 개인회생‧파산 종합지원센터(☎132) |
주택‧상가건물 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 |
대한법률구조공단 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132) | |
대지급금 제도 | 고용노동부상담센터(☎1350),근로복지공단(☎1588-0075) | |
재정적인 도움이 필요할 때 |
서민금융진흥원 맞춤대출서비스 | 서민금융콜센터(☎1397) |
미소금융 | 서민금융콜센터(☎1397) | |
신용회복위원회 성실상환자 소액대출 |
신용회복위원회(☎1600-5500) | |
새희망홀씨 | 서민금융콜센터(☎1397) | |
햇살론 | 서민금융콜센터(☎1397) : 근로자 햇살론, 신용보증재단중앙회(☎1588-7365) : 자영업자 햇살론 |
|
햇살론 youth | 서민금융콜센터(☎1397) | |
햇살론15 | 서민금융콜센터(☎1397) | |
햇살론 뱅크 | 서민금융콜센터(☎1397) | |
햇살론 카드 | 서민금융콜센터(☎1397) | |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사업 | 근로복지공단 콜센터(☎1588-0075) | |
근로자 생활안정자금 융자 | 근로복지공단 콜센터(☎1588-0075) | |
소상공인 지원(융자) | 소상공인정책자금(☎1357) | |
금융 관련 지식이 필요할 때 (컨설팅, 교육) |
서민금융진흥원 자영업 컨설팅 | 서민금융콜센터(☎1397) |
서민금융진흥원 금융교육 | 서민금융콜센터(☎1397) | |
신용회복위원회 신용교육 | 신용회복위원회 신용교육원(☎02-750-1233~4) | |
가족이 특별한 상황에 처했을 때 (위기가족 지원) |
사회서비스원 긴급돌봄 사업 | 지역 사회서비스원 |
사회서비스원 종합재가센터 | 지역 종합재가센터 | |
가족센터 운영 | 가족센터(☎1577-9337) | |
가족이 특별한 상황에 처했을 때 (한부모가족 지원) |
가족상담전화(1644-6621) | 가족상담전화(☎1644-6621) |
미혼모·부 초기지원 | 가족상담전화(☎1644-6621), 한국건강가정진흥원(☎02-3479-7600) |
|
한부모가족 아동 양육비 지원 | 가족상담전화(☎1644-6621) | |
한부모가족 자녀 교육비 지원 | 교육비 중앙상담센터(☎1544-9654) | |
한부모가족 주거 지원 (주택분양·임대) |
LH마이홈(☎1600-1004) : 각종 공공임대주택 가족상담전화(☎1644-6621) : 공동생활가정형 |
|
한부모가족 복지시설 지원 | 가족상담전화(☎1644-6621) | |
양육비 이행지원 종합서비스 | 가족상담전화(☎1644-6621) | |
청소년한부모 자립 지원 | 가족상담전화(☎1644-6621) | |
가족이 특별한 상황에 처했을 때 (다문화가족 지원) |
다문화 아동 보육료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주거 지원(주택 특별공급) | LH마이홈(☎1600-1004) | |
맞춤형 기초생활보장 제도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생계급여·의료급여 주거급여콜센터(☎1600-0777), LH마이홈(☎1600-1004) : 주거급여 교육급여콜센터(☎02-6222-6060) : 교육급여 |
|
긴급복지 지원제도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구분 | 사업명 | 문의처 |
가족이 특별한 상황에 처했을 때 (다문화가족 지원) |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 외국인종합안내센터(☎1345) |
다문화·탈북학생 멘토링 지원 | 한국장학재단(☎1599-2290) | |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 지원 | 다누리콜센터(☎1577-1366) |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 | 다누리콜센터(☎1577-1366) | |
다문화가족 방문교육 서비스 | 다누리콜센터(☎1577-1366) | |
결혼이민자 통번역서비스 | 다누리콜센터(☎1577-1366) | |
결혼이민여성 직업교육훈련 | 여성새로일하기센터(☎1544-1199) | |
다누리콜센터(1577-1366) | 다누리콜센터(☎1577-1366) | |
가족이 특별 상황에 처했을 때 (가정폭력· 성폭력 피해자 지원) |
여성긴급전화 1366 | 여성긴급전화(☎1366) |
성폭력 피해자 지원 | 여성긴급전화(☎1366) | |
해바라기센터(성폭력 피해자 통합지원센터) 운영 |
여성긴급전화(☎1366) | |
성폭력피해 아동·청소년 전용 쉼터(특별지원시설) 운영 지원 |
여성긴급전화(☎1366) | |
가정폭력 피해자 지원 | 여성긴급전화(☎1366) | |
가정폭력 피해자 치료회복 프로그램 및 의료비 지원 |
여성긴급전화(☎1366) | |
가정폭력·성폭력 피해자 무료 법률 지원 |
대한법률구조공단(☎132) 등 | |
폭력 피해여성 주거 지원 | 여성긴급전화(☎1366), LH마이홈(☎1600-1004) : 각종 공공임대주택 |
|
성매매 피해자 지원 | 여성긴급전화(☎1366) | |
일을 하다가 업무상 사고를 당했을 때 |
산업재해 보상보험 제도 | 근로복지공단(☎1588-0075) |
산재근로자 장학사업 | 근로복지공단(☎1588-0075) | |
산재근로자 생활안정자금 융자 | 근로복지공단(☎1588-0075) | |
산재근로자 케어센터 지원 | 경기케어센터(☎031-359-0514), 태백케어센터(☎033-580-5200) |
|
산재근로자 합병증 등 예방관리 | 근로복지공단(☎1588-0075) | |
산재근로자 직업훈련 | 근로복지공단(☎1588-0075) | |
산재근로자 직장복귀 지원 (사업주) |
근로복지공단(☎1588-0075) | |
산재근로자 사회심리 재활 지원 | 근로복지공단(☎1588-0075) | |
산재보험 요양급여 (재활보조기구) |
근로복지공단(☎1588-0075) | |
대체인력지원사업(사업주 지원) | 근로복지공단(☎1588-0075) | |
산재근로자 직장복귀 지원 (근로자) |
근로복지공단(☎1588-0075) | |
재정적인 도움이 필요할 때 (사회보험료 지원) |
저임금근로자 예술인 특고 사회보험료 지원(두루누리) |
근로복지공단(☎1588-0075), 국민연금공단(☎1355) |
구분 | 사업명 | 문의처 |
농어업인 이거나 농어촌에 거주하고 있을 때 |
농어업인 건강보험료 지원 | 국민건강보험공단(☎1577-1000) |
농어업인 연금보험료 지원 | 국민연금공단(☎1355) | |
농업인 안전보험 | NH농협생명(☎1544-4000) | |
어업인 안전보험 | SH수협은행(☎1588-4119) | |
어선원 및 어선 재해보상 보험 | SH수협은행(☎1588-4119) | |
취약농가인력지원(행복나눔이) | 지역 농협 또는 농협중앙회(☎02-2080-5424) | |
취약농가인력지원(영농도우미) | 지역 농협 또는 농협중앙회(☎02-2080-5424) | |
취약어가 인력 지원 (어촌생활돌봄지원) |
지역 수협 또는 수협중앙회(☎02-2240-2267) | |
취약어가 인력 지원 (어업활동 지원) |
각 시도 담당사무소 | |
농촌주택개량사업 | 시군구농촌주택개량사업담당자:사업대상자신청및선정 해당시군구농협담당자:융자금대출 |
|
도서민 여객선 운임 지원 | 해양수산부(☎044-200-5733~4) | |
농어가 목돈마련 저축 장려금 | NH농협은행(☎1661-2100),SH수협은행(☎1588-1515), 산림조합(☎1544-4200) |
|
농촌 공동 아이돌봄센터 | 관할 지자체 농정과 | |
이동식 놀이교실 | 관할 지자체 농정과 | |
농번기 아이돌봄방 | 농어촌희망재단(☎02-509-2445) | |
농촌 보육 교사 특별근무수당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남을 돕다가 다치거나 사망했을 때 |
의사상자 등 지원 | 시군구청 및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북한 이탈주민이 지원을 필요로 할 때 |
북한이탈주민 사회보장 지원 |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 생계급여‧의료급여, 국민연금공단(☎1355) : 연금특례 |
북한이탈주민 취약계층 긴급생계비 지원 |
남북하나재단(☎1577-6635) | |
북한이탈주민 의료비 지원 | 남북하나재단(☎1577-6635) | |
북한이탈주민 정착금 지원 |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031-670-9350), 남북하나재단(☎02-3215-5796) |
|
탈북학생 교육 지원 (멘토링 지원 등) |
자녀가 재학 중인 학교, 각 시도 교육청 탈북학생 교육지원 업무담당자,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043-530-9481) |
|
탈북학생 교육 지원 (학력인정 등) |
통일부(☎02-2100-5898) : 학력 인정 남북하나재단(☎1577-6635) : 그 외 지원 |
|
북한이탈주민 교육비 지원 | 남북하나재단(☎02-3215-5793) | |
북한이탈주민 취업 지원 |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031-670-9328) | |
북한이탈주민 자산형성지원 (미래행복통장) |
남북하나재단(☎02-3215-5792) | |
북한이탈주민 주택알선 지원 | 하나원(☎031-670-9300) | |
북한이탈주민 법률상담 | 법무부 통일법무과(☎02-2110-3114) |
구분 | 사업명 | 문의처 |
기타 특수한 상황이나 입장에 처했을 때 |
석면피해자 지원 (석면피해 구제급여)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석면피해구제실(☎1833-7690) |
노숙인 등 복지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출소자 자립 지원 |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1670-7004) | |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과(☎044-202-3453) |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생활안정 및 기념사업 |
시군구청, 읍면동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 |
원폭피해자 지원 | 대한적십자사(☎02-3705-3783) | |
진폐근로자 보호 | 근로복지공단(☎1588-0075) | |
한센인 피해자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개발제한구역 생활비용 보조 |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
외국인근로자 등 의료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지원센터(☎02-6362-3754) |
|
풍수해보험 | 행정안전부 재난보험과(☎044-205-5359), 시도 및 시군구청 재난관리부서,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풍수해보험 판매 6개 민간보험사 |
|
범죄피해자에 대한 경제적 지원 사업 |
검찰청 피해자지원실(☎1577-2584) | |
1인가구 지원이 필요할 때 |
1인가구 사회적관계망 형성 지원사업 |
여성가족부 가족정책과(☎02-2100-6326) |
독거노인 사회관계 활성화 지원 |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1661-2129), 보건복지상담센터(☎129) 거주지 읍면동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
|
더욱 다양한 서비스를 원할 때 |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지역별 사업이 상이하므로 읍면동(행정복지센터) 및 시군구청에 사전 문의 |
728x90
반응형
'복지정보 > 최근 복지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거복지제도 (2022년) (0) | 2022.07.03 |
---|---|
‘복지로’ 모바일 앱 (0) | 2022.07.03 |
2022년도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조정 (0) | 2022.07.01 |
2022년 긴급복지 지원제도 (0) | 2022.06.20 |
긴급생활지원금 (0) | 2022.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