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사회복지정책과 제도(사회복지정책론)
1.조지와 윌딩(V. George & P. Wilding, 1976; 1994)의 사회복지모형에서 복지국가의 확대를 가장 지지하는 이념은?
①신우파
②반집합주의
③마르크스주의
④페이비언 사회주의
⑤녹색주의
<해설>
마. 조지와 윌딩의 이데올로기 초기모형: 반집합주의, 소극적 집합주의, 페이비안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
- 반집합주의 : 자유주의적 이념에 초점(소극적 자유→국가의 간섭이 없는 것이 자유의 본질이라 분석함)
- 소극적 집합주의 : 수정자본주의적 요소를 강하게 반영(우리나라에 가장 가까움)
- 페이비안 사회주의 : 점진적인 사회주의 모형(적극적 자유→누릴 수 있는 능력이 자유의 본질이라고 분석함)
- 마르크스주의 : 자본주의의 생산양식을 비판, 자본주의의 수정이 개혁보다는 이를 전면부정하여 부의 균등한 분배는 사적수단의 사적소유가 소멸된 후에가능하다고 봄(적극적 자유를 중시함)
반집합주의 (anti coLLectivism) |
소극적 집합주의 (reLuctant coLLectivism) |
페이비안 사회주의 (favian sociaLism) |
마르크스주의 (Marxism) |
|
중심적 사회가치 |
소극적 자유 개인주의 불평등 |
소극적 자유 개인주의 / 실용주의 인본주의 / 합리주의 |
적극적 자유 평등 동포애 |
적극적 자유 평등 우애 |
사회조직 | 현존하는 불평등은 경제성장에 기여하므로 정당화 될 수 있음 경쟁, 수요와 공급, 이윤, 자유임금 협약의 중요성을 강조 |
자본주의는 비효율적· 낭비적인 요소를 소지하고 있으며 비리와 빈곤을 소멸시킬 수 없고, 강자의 이해 관계가 국익과 동일 시되기 쉽다고 봄 | 수정자본주의하에서 정치권력이 국민경제의 조정자가 될수 있 으며, 국가는 사회주의 건설의 도구로 이용될수 있다고 봄 |
생산수단이 일부계급 에 의해 독점될때 갈등은 필연적임 자본주의 국가의 모든 기구는 자본가의 하수인에 지나지 않음 |
정부의 개입 |
부정적 사회적붕괴/ 자원의 낭비 경제적 비효율 개인 자유의 침해 |
조건부인정 자본주의의 원활한기능 및 시장체계의 약점보완을 위해, 사회악의 제거와 사회적 균형 유지 위해 |
적극인정 자유시장 체계는 필연 적으로 실패하므로 시장체계의 수정, 보완 및 대리기능을 정부가 수행하여야 함 |
적극인정 산업민주주의와 생산 수단의 국유화는 경제적 평등을 실현시키며 계획 경제체제는 정부의 개입에 의해 가능함 |
복지국가에 대한 관점 |
반대 중앙집권적 계획의 결과로 권위적 사회주의 국가로 나타남 |
찬성 자동조절능력이 없는 자본주의를 보완 |
적극찬성 복지국가의 확산을 통해 자본주의의 개혁이 가능함 복지국가는 사회주의 이행의 전단계 임 |
적극반대 복지국가는 자본계급의 노동계급에 대한 불가피한 최소한의 양보, 복지국가를 통한 사회주의 건설은 불가능 |
빈곤완화에 대한 국가의 책임 |
필요악 자선과 이웃사랑의 정신에 입각 |
국민 최저수준의 보장에만 국가의 책임을 인정 |
점진적이고 지속적인 불평등의 완화에 대한 국가책임 |
자본주의체제가 존속 되는 한 빈곤은 어떠한 형태의 국가개입에 의해서도 소멸 불가능 |
<공부하기> 출처 링크 : https://ocsc.tistory.com/346
2022.06.07 - [22년 20회 기출문제/문제풀기_3-1 사회복지 정책론] - 20회 풀기_사회복지 정책론
728x90
반응형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 2022년 20회 정답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_20_3-1-03번(사회복지 정책론)정답 풀이 (0) | 2022.07.02 |
---|---|
2022_20_3-1-02번(사회복지 정책론)정답 풀이 (0) | 2022.07.02 |
2022_20_2-3-75번(지역사회 복지론)정답 풀이 (0) | 2022.07.01 |
2022_20_2-3-74번(지역사회 복지론)정답 풀이 (0) | 2022.07.01 |
2022_20_2-3-73번(지역사회 복지론)정답 풀이 (0) | 2022.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