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➌실사자료와 2차 자료의 특성 | ||
실사 데이터 |
①1차 출처 | 실사 데이터는 연구 프로젝트의 목적을 위해 특별히 수집된 1차 데이터입니다. 여기에는 새롭고 관련 있는 정보를 얻기 위해 독창적인 연구, 설문 조사, 인터뷰 또는 실험을 수행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
②맞춤형 | 실사 데이터는 연구 목표와 질문에 맞게 맞춤화됩니다. 연구자는 데이터 수집 과정을 통제할 수 있으며 자신의 목적에 따라 설문조사나 실험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 |
③데이터 수집 제어 | 연구자는 데이터 수집 프로세스를 직접 제어하여 사용된 방법과 도구가 연구 목표에 적합한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제어를 통해 데이터의 신뢰성과 유효성이 향상됩니다. | |
④데이터 신선도 | 실사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최신 상태이며 이용 가능한 최신 정보를 반영하므로 현재 주제나 급변하는 분야에 대한 연구에 특히 유용합니다. | |
⑤특정 관련성 | 연구자는 특정 연구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실사 데이터 수집을 설계하여 수집된 데이터가 연구와 직접 관련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2차 자료 |
①기존 소스에서 파생됨 | 2차 데이터는 다른 연구자, 조직 또는 단체에서 이미 수집하고 게시한 정보입니다. 현재 연구 프로젝트를 위해 특별히 수집되지 않습니다. |
②기존 | 2차 데이터는 기존에 존재하며 연구자의 특정 요구에 맞게 맞춤화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
③통제력 부족 | 연구자들의 통제력이 제한적입니다. | |
④과거 데이터 | 2차 데이터는 본질적으로 과거 상황과 연구 결과를 반영하는 역사적 데이터일 수 있습니다. 이것은 가치가 있을 수 있다 | |
⑤광범위한 관련성 | 2차 데이터는 광범위한 주제를 다룰 수 있으며 특정 연구 프로젝트와의 관련성은 다양할 수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연구 목적에 대한 2차 데이터의 적합성을 신중하게 평가해야 합니다. | |
⑥비용 및 시간 효율성 | 보조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새로운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보다 비용 효율성과 시간 효율성이 더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제한된 자원을 가진 연구자에게는 귀중한 자원이 될 수 있습니다. | |
⑦다양한 출처 | 2차 데이터는 학술지, 정부 보고서, 설문 조사, 출판된 연구 등 다양한 출처에서 제공되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
연구자들은 연구 질문을 포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실사 데이터와 2차 데이터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사 데이터를 통해 연구자는 특정 목표에 맞는 맞춤형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2차 데이터는 기존 지식과 통찰력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데이터 중에서 선택하는 것은 연구 목표, 사용 가능한 자원 및 연구 프로젝트의 성격에 따라 다릅니다. |
728x90
반응형
'챗-gpt로 사회조사분석사 도전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Ⅱ과목 조사관리와 자료처리_4장 측정의 타당성과 신뢰성_01.개념과 측정_➋ 개념적 정의 (0) | 2023.10.13 |
---|---|
Ⅱ과목 조사관리와 자료처리_4장 측정의 타당성과 신뢰성_01.개념과 측정_➊변수의 개념 및 종류 (0) | 2023.10.12 |
Ⅱ과목 조사관리와 자료처리_3장 2차 자료 분석_01.2차 자료의 이해_➋2차 자료의 수집방법 (0) | 2023.10.11 |
Ⅱ과목 조사관리와 자료처리_3장 2차 자료 분석_01.2차 자료의 이해_➊2차 자료의 종류 및 유형 (0) | 2023.10.11 |
Ⅱ과목 조사관리와 자료처리_2장 실사관리_03.실사품질 관리_➊수집된 자료 정합성 점검 (0) | 2023.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