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역사회체계의 이해
- 지역사회
• community : 지역사회 or 공동체
• 지리적, 조건에 의해 형성된 지역공동체로서, 일정한 지리적 영역을 공유하고 있는 사람들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면서 사회조직을 이루고, 문화를 공유하면서 지역공동의식을 가지고 생활하는 공동체
1) 지역사회의 정의와 주요개념
(1) 지역사회 욕구 | • 모든 지역사회는 욕구 존재 - 지역사회 전체 & 지역사회 주민 공동의 욕구 : 안정상태 유지 위한 욕구 有 |
(2) 지역사회 문제 | • 지역사회 전체 & 지역사회 주민 공동의 문제 • 지역사회 욕구 미해결 or 누적 시 발생 |
(3) 지역사회 목표 | • 지역사회 전체 & 지역사회 주민공동의 목표 (브랜드 or 비전) • 모든 지역사회 주민이 스스로 인지 X 무관심 주민에게 지역사회 목표 고취 시켜야... |
(4) 지역사회 자원 | • 지역사회 목표 달성 위한 실천적 능력 ex) 가시적 자원 : 개인, 조직, 기관, 현금, 시설 등 비가시적 자원 : 심리적 지지 |
(5) 지역사회 문화 | • 지역사회를 설명하는 포괄적 근거 • 지역사회 주민의 특성 or 성향 반영 ex) 역사, 지리, 자연경관, 경제적 맥락에서의 독특한 성향 |
2) 지역사회의 유형 – 사회복지활동과 관련 있는 지역사회 중심으로
가. 영구임대아파트 단지
- 도시 중심의 사회복지실천 관련 주요 지역사회
- 1988년 ‘주택건설촉진법’(지금의 주택법)
주택 200만호 건설계획 중 임대아파트60만호(30%)
- 영구임대아파트 건설시 사회복지관 의무 건립
- 7.9평~12.1평 / 경제적 약자, 노인과 장애인 비율↑
- 다른 지역에서 이주 : 지역사회 정체감↓ & 응집력↓
- 주변 환경 불결, 부적응 아동 및 청소년 多
- 외부 지역사회와 부정적 관계 & 영구임대APT 거주 부끄럽게...
나. 유흥가
- 도시 발전(개발)에 따라 유흥가 함께 이전
ex) 기차역, 버스터미널 주변, 신시가지, 대학가 - 술집, 여관 등
- 취객행위 & 성매매 & 주차문제 등 청소년 유해환경 등
- 외부로부터의 유동 주민 多, 원주민과 갈등 & 지역사회 무관심
다. 신시가지
- 도시발전계획에 의해 새로 형성된 지역사회
- 재개발 지역사회 : 재건축, 재개발
• 기존 도시의 낙후된 곳(산동네) & 외곽 개발
• 일부만 개발 : 공공기관 원거리, 제반 편의시설 부족, 불편
• 양극화 문제 : 신규 이주민 vs 원주민 ; 이질적
(재개발 미참여 주민, 임차주민 경제적 어려움↑)
- 개발 지역사회 : 신도시
• 대도시 인근 새로 개발한 위성도시
• 전체 개발 : 공공시설 & 편의 시설 이용 편리
• 경제적 어려움↓(상대적) & 경제적 수준 유사, 상호작용↑
라. 농촌
- 성인인구의 감소 & 노년기 인구의 증가
- 자족적 생활권 &직업분화 단순 & 폐쇄적 & 관습(전통) 압력 强
- 인구 밀도↓ & 주민 간 상호작용↑ & 주민 동질성↑ & 협력 관계↑
마. 산업단지
- 경제적 이익의 효율 위해 개발한 지역
ex) 국가산업단지 & 지방산업단지 & 농공단지 등
- 인·물적 자원 풍부 / 근로자 복지 & 공해 문제
ex) 여성 & 외국인 근로자 권익 / 근로환경
부산디지털대학교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2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1-1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체계 (0) | 2022.11.01 |
---|---|
조직체계 (0) | 2022.11.01 |
집단체계 (0) | 2022.11.01 |
가족체계 (0) | 2022.10.31 |
생애주기에 따른 인간의 성장과 발달 - 노년기 (0) | 2022.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