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국의 자원봉사활동
1) 자원봉사활동 발달과정
시작
이민자들이 생존을 위해 상부상조를 통한 인간애를 가지고 빈민이나 병자의 구호활동에까지 자발적으로 참여하면서 시작됨
1820 년
1820 년을 시작으로 많은 민간기관이 설립
1877 년
버팔로에 최초의 자선조직협회가 설립
1926 년
보스턴에서 여성 자원봉사자를 중심으로 최초의 자원봉사자사무국이 세워짐
1943 년
전국사회사업자원봉사자위원회가 설립 하나로 연합되고 업무, 훈련방법 등이 제시
1961 년
케네디대통령때 국제봉사단체인 평화봉사단을 창설
1971 년
Nixon이 집권하며, ACTION 창설 및 「국내자원봉사활동법」이 만들어짐
1980 년대
신연방주의(New Federalism) 운동 발생
지방정부 책임강조, 자원봉사활동 더욱 부각
1990 년
Bush 대통령의 선거공략으로 촛불재단 (POLF : Point of Light Foundation)이 설립,
『전국지역사회봉사법』이 제정되어 법적지위 강화
2009 년
미국봉사법(Edward M. Kennedy Serve America Act, 2009)에 따라 국가봉사단에 대한 예산과 지원이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음
2) 자원봉사활동 현황
[ 정부가 자원봉사활동을 육성하기 위해 만든 기구의 변천 ]
연도 | 활동내용 | 비고 |
1961 | 평화봉사단(Peace Corp)창설 | 케네디 대통령 |
1964 | VISTA(Volunteer In Service to America) | 존슨 대통령 |
1969 | 전국자원봉사활동프로그램법(National Program for Voluntary Act) 제정 | |
1971 | ACTION 창설 | 닉슨 대통령 |
1979 | VOLUNTEER창설 | |
1990 | Point for Light Foundation 설립 전국 및 지역사회봉사법(National and Community Service Act)제정 |
부시 대통령 |
1993 | 국립자원봉사활동협력기구 창설 | 클린턴 대통령 |
① 국가 및 지역사회봉사법과 촛불재단
• 미국은 1990년대에 전국지역사회봉사법을 제정, 국민의 자원봉사를 국가의 중요정책으로 다루어왔음
• 학생에 대한 봉사학습(Service Learning) 프로그램, 청소년봉사단, 전국적 규모의 유급봉사모델 개발, 시행
• 1990년에 설립된 촛불재단은 사회문제해결을 위해 자발적으로 지역사회봉사에 참여시키는 것이 목적
• 촛불재단은 미국 전역의 자원봉사센터연합체인 VOLUNTEER와 통합하여 민간 차원의 전국적 기구로 성장하였음
② 국가봉사단
• 국가봉사단은 1992년 당시 Clinton 대통령 후보가 만든 것, 연방정부 지원하에 있던 봉사조직들을 통합하였음
• 국가봉사단의 목적은 자원봉사 참여로 시민의 책임을 공유하고, 헌신하는 젊은이에게 교육적 기회를 제공
• 국가봉사단의 세 가지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미국봉사단(Ameri Corps), 학습봉사(Learn and Serve America), 전국노인봉사단(National Senior Service Corps)이 있음
③ 평화봉사단
• ‘뉴 프론티어(New Frontier)’ 정책의 일환으로 1961년 국제적 봉사단체로 평화봉사단(Peace Corps)을 창설
• 개발도상국가에 평화봉사단을 파견하여 문맹퇴치운동과 빈곤의 퇴치 등 각 분야에서 민간 차원의 외교활동을 담당하였음
④ VISTA(Volunteers in Service to America)
• 1964년 국내평화봉사단이라 할 수 있는 VISTA를 조직하였음
• 1950년대의 경제성장과 함께 나타나고 있는 미국 국내의 빈부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창설
• VISTA에서는 빈곤문제에 관심 있는 시민들을 동원해 교육시킨 후 빈민을 돕는 일을 지원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하고 있음
⑤ 자원봉사센터
• 자원봉사 장려, 자원봉사자 모집과 배치, 지역사회봉사 프로그램 개발, 자원봉사단체 훈련 및 지원, 자료정보제공 등이 있음
• 재원은 공동모금회, POLF, 연방, 주, 모금행사, 기부금 등으로 운영되고 있음
• POLF에서 직원훈련, 센터 신설 지원, 정보제공 네트워크 형성ㆍ평가ㆍ인정 등을 지원하고 있음
⑥ 시민봉사단
• 2001년 9ㆍ11테러사태가 지금의 대규모 국가봉사단 조직의 탄생을 강요하였음
• 국토방위와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활동하는 조직
• 시민봉사단의 조직은
① 지역사회 긴급구호팀
② 의료상비팀
③ 마을감시팀
④ 자원경찰팀 등으로 구분됨
⑦ 대학의 사회봉사
• 역사적으로 미국 대학들은 종교적 가치와 사회봉사의 의미를 통합하여 자원봉사를 장려해 왔음
• ‘필립스 브룩스 하우스협회(Phillips Brooks Association)’
• 대학의 자원봉사센터 역할을 하되, 전적으로 학생이 중심이 되어 자율적 봉사를 하는 것이 특징임
• 빈민지역의 어린이 캠프, 방과 후 보호 및 학습지도, 상담지도, 법률구조, 오락지도, 난민에 대한 영어교육, 기근퇴치를 위한 모금운동, 그밖에 문맹퇴치를 위한 프로그램 등을 수행
2. 영국의 자원봉사 활동
1) 자원봉사활동 발달과정
• 18세기 시민의식의 성장에 따른 자원봉사정신과 민주주의 철학을 토대로 하여 전통적 기독교의 자선활동에서 비롯되었음
• 산업혁명으로 인한 도시화, 공업화의 영향으로 빈곤문제와 빈부격차 등 사회문제에 대한 사회 개량에 관심을 갖게 되었음
☞ 19세기 후반 영국에 있어서 조직적 자원봉사활동의 대표적인 것
(자선조직협회)
• 1869년 런던에 설립
• 자선의 비체계성, 구제의 중복 등을 효과적,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조직
(인보사업운동)
• 사회악(빈곤, 무지, 질병, 나태, 불결)으로부터 구제하고자 한 운동
• 취미, 교육의 기회 등을 주고 1884년 토인비홀을 시작으로 대학에도 영향을 줌
• 자원봉사활동의 확대가 되는 토대
2) 자원봉사활동 현황
① 자원봉사활동 관련법
• 1992년에 개정된 「자선법」은 민간사회사업기관 및 단체의 보호와 육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
• 자원봉사자들이 차별받지 않고 보험에 가입할 수 있도록 「인권법」이 1998년 제정되었음
• 자원봉사자의 사생활을 보호해 주는 「신상자료보호법」(1998), 위험한 환경에서 작업하지 않도록 하는 「직장안전관리법」(1974) 등이 있음
② 영국 정부의 자원봉사활동 지원
• 1998년의 밀레니엄 자원봉사단은 영국 전역에서 추진되는 운동으로, 16~24세 영국인의 자원봉사활동참여를 유도, 지원
• 밀레니엄 자원봉사단의 활동은 지역방범, 병원봉사, 장애아동학교에서의 교사보조, 스포츠 지도자, 환경보호 등
• 100시간 이상 활동을 했을 때 격려증서(Certificate of Recognition), 200시간 이상 했을 때는 우수상(award of excellence)이 주어짐
③ 민간기관과 자원봉사단체
※ 자원봉사센터(NCV)
• 자원봉사조직을 총괄하는 민간독립기구로 1973년 설립됨
• 자원봉사관리자 및 각종 자원봉사조직지원, 활동개발과 자원봉사활동의 가치를 옹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전국의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조사활동, 출판사업, 연수 및 훈련사업, 캠페인 및 활동전개
※ 영국자원봉사사무국연합회(NAVB)
• 영국에서 가장 규모가 큰 전국조직, 전국에 걸쳐 자원봉사사무국과 지부를 회원조직으로 두고 있음
• 지역자원봉사 발전전략 수립, 자원봉사활동참여 유도, 정보제공, 훈련, 연구, 캠페인 등의 활동을 하고 있음
• 재정은 정부보조금과 기타 기업협찬, 수익사업 등으로 운영됨
※ 자원봉사단체협의회(NCVO)
• 영국 최대의 자원봉사단체협의회, 전국자원봉사단체가 가입
• 정부정책결정· 자문 건의, 자원봉사관리자 교육, 봉사단체컨설팅
• 정책연구를 포함한 각종 주요 간행물 발간, 관리자의 교육ㆍ훈련을 담당, 자원봉사단체의 컨설팅을 해주는 기능 등
• 재정은 정부의 기금지원을 받고 있음
학습정리
1. 미국의 자원봉사활동 : 자원봉사활동 발달과정
• 1820년을 시작으로 많은 민간기관이 설립
• 1877년에 버팔로에 최초의 자선조직협회가 설립
• 1926년 최초의 자원봉사자사무국이 세워짐
• 1943년 전국사회사업자원봉사자위원회가 설립
• 1969년 Nixon이 집권하며, 정부지원이 강화됨
• 1980년대 신연방주의(New Federalism) 운동
• 1990년 Bush 대통령, 촛불재단 설립
• 2009년 미국봉사법에 따라 국가봉사단에 대한 예산과 지원이 지속적으로 증대됨
2. 미국의 자원봉사활동 현황
① 국가 및 지역사회봉사법과 촛불재단
② 국가봉사단
③ 평화봉사단
④ VISTA(Volunteers in Service to America)
⑤ 자원봉사센터
⑥ 시민봉사단
⑦ 대학의 사회봉사
3. 영국의 자원봉사활동 : 자원봉사활동 발달 현황
① 자원봉사활동 관련법
② 영국 정부의 자원봉사활동 지원
③ 민간기관과 자원봉사단체
부산디지털대학교 <자원봉사론> 강의정리 : 오주 교수 2022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자원봉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자원봉사활동 (0) | 2022.09.04 |
---|---|
캐나다 / 일본의 자원봉사활동 (0) | 2022.09.04 |
지역사회의 자원봉사 (0) | 2022.09.04 |
시민단체의 자원봉사 (1) | 2022.09.03 |
사회복지시설 및 기관 (0) | 2022.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