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단일사례조사설계와 실험조사설계의 비교
구분 | 단일사례 조사설계 | 실험조사설계 |
분석 단위 | 개인(N=1) | 집단(N=다수) |
목 적 | 개입 효과, 성공 여부 확인 | 인과관계 규명 |
적 용 | 워커의 개입에 대한 평가(practice evalutation) | 기관의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program evaluation) |
2. 실험조사설계의 기본 요소
1) 인과관계의 추론의 기준
가. 실험조사설계의 개념
-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에 인과관계를 증명하는 조사설계
나. 인과관계의 기준
- 공변성
① 두 변수가 함께 변화함을 보여주는 것(인과관계의 검증에 필요한 일차적 요건)
② 한 변수가 변화할 때 다른 변수도 같이 변화하는 것을 보여 줌
예 ) 자아존중감과 직무만족도간의 관계
- 시간적 우선성
① 두 변수 간에 시간적으로 어떤 변수가 앞서고 어떤 변수가 뒤따른다는 것
예)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아존중감 프로그램실시,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아존중감 프로그램에 참여해야 한다는 사건(변수)이 먼저 발생해야 함
- 외부설명의 통제 : 변수간의 인과성에 영향을 주는 제 3의 변수를 통제
① 변수 간의 인과성에 영향을 주는 제3의 변수를 통제
예) 자아존중감, 직무만족도, 급여수준(제3의 요인)
2) 실험조사설계의 요건
가. 통제집단
- 종속변수가 독립변수에 의해 변화되었는지, 비교를 목적으로 하는 통제집단 확보
- 동일한 상황에서 실험집단은 개입을 하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변화를 주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여 종속변수의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에만 개입의 효과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음.
나. 무작위 배정
-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동일해야 하므로 무작위로 연구 대상자 배정
- 순수한 개입효과에 방해가 되는 많은 불필요하고 혼란스러운 외생변수와 예기치 않은 영향을 배제할 수 있음
다. 독립변수의 조작
- 실험집단은 개입
- 통제집단은 개입 하지 않음
학습정리
1. 단일사례조사설계와 실험조사설계의 비교
- 분석단위
- 목적
- 적용
2. 실험조사설계의 기본 요소
- 인과관계의 확인 : 공변성, 시간적 우선성, 외부설명통제
- 실험조사설계의 요건 : 통제집단, 무작위 배정, 독립변수의 조작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조사론 강의정리 : 이은자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1-2사회복지 조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험조사설계의 유형 (0) | 2022.06.21 |
---|---|
실험조사설계의 타당도 (0) | 2022.06.21 |
단일사례조사의 유형 (0) | 2022.06.21 |
단일사례조사 (2) | 2022.06.21 |
타당도와 척도 (0) | 2022.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