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회과학 이론
1) 사회과학 이론의 개념
가. 논리적으로 연결된 일련의 명제로 많은 사회현상을 단순화하여 설명하거나 사회현상에 내재하고 있는 규칙성을 밝히는 것
2) 이론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
가. 개념(concept)
- 용어, 단어, 상징으로도 표현되며, 서로 다른 개체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성을 나타내는 것
- 경험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어떤 대상이나 현상을 대변하는 것
- 구체적 사물이나 현상 그 자체가 아니라 그러한 것들을 추상적,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관념적 구성물
- 분류와 일반화를 위한 수단 : 독특성은 무시되고 동일화 할 수 있는 것
나. 변수
- 추상적, 변이(vary)의 성질을 가진 개념
- 예를 들어 ‘성별’은 여성(1), 남성(2)
다. 서술 : 개념과 변수들에 대해 기술하는 것
라. 패러다임
- 삶을 바라보는 일반적 틀
- 개별이론들이 도출되기 위해 필요한 일종의 거시적 관점
- 관점과 같은 의미로 사용 : 실증주의, 비판주의, 해석주의 등
마. 유형(type)
- 이론은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
- 이론이 다루는 관점의 차이에 따라 거시 / 미시, 다루는 현상이 구조인지 과정인지에 따라 정적 / 동적
바. 이론적 체계
- 분류들과 개념적 틀이 모여서 구성되어 있음.
- 기술, 설명, 예측 등의 체계적 형태로 나타남
- 예 : 구조기능주의이론, 갈등이론
사. 모델
- 현실에 대한 모방 혹은 추상화된 요약, 현실에 대한 우리의 관점을 정리하고 단순화시켜 줌
- 이론 자체는 아니지만 이론 수립을 도움
2. 이론 형성의 방법 체계
1) 연역적 방법
- 기존 이론이나 일반적 원리를 이용하여 새로운 가설을 도출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가설이 현상을 적절히 설명하고 있는지 검증
- 가설 – 조작화 – 관찰 – 검증의 과정을 거침
- 삼단논법 : 모든 사람은 죽는다 –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 삼단 논법은 이론, 이론이 맞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소크라테스가 죽는다는 것을 경험으로 관찰하는 것
- 예 : 부모의 소득이 낮으면 학업 수준이 낮을 것이다.
2) 귀납적 방법
- 관찰된 자료를 통하여 현상 속에 내재한 원리를 찾고, 이를 실제 현상에서 검증해봄으로써 이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침
- 사실을 전제로 하여 일반적인 또는 원리로서 결론을 내리는 방법
- 관찰자가 관찰한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 이론을 형성해 가는 과정
3. 사회문제와 사회복지조사의 의미와 사회과학연구의 특징
1) 사회문제와 사회복지조사의 의미
- 사회현상 및 문제의 발생
- 사회현상이나 문제들은 횡단적 – 종단적, 총체적 – 개별적 맥락속에서 이해,이런 부분을 체계화한 것이 이론, 탐구를 위하여 명제를 설정
- 사회과학 연구는 다양한 사회변화와 개연성에도 불구하고 사회와 사회문제의 본질과 현상에 대하여 조사
2) 사회과학 연구의 특징
- 문제의식
- 경험적 상상력
- 조사설계
- 논리적 일관성
- 체계적 과정
- 검증 가능성
- 객관적 근거
- 비판적 대안
- 확률적 결정론
- 수정 가능성
- 윤리, 자기결정과 비밀보장
학습정리
1. 사회과학 이론
- 사회과학 이론의 개념
- 이론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
2. 이론 형성의 방법 체계
- 연역적 방법
- 귀납적 방법
3. 사회문제와 사회복지조사의 의미와 사회과학 연구의 특징
- 사회문제와 사회복지조사의 의미
- 사회과학 연구의 특징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조사론 강의정리 : 이은자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1-2사회복지 조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거기반 실천 (0) | 2022.06.21 |
---|---|
조사설계 / 자료분석 (0) | 2022.06.21 |
사회복지 조사과정의 유형 (0) | 2022.06.21 |
조사와 사회복지 (0) | 2022.06.21 |
조사와 과학, 조사와 사회복지 (0) | 2022.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