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윤리의 주요 이론
▶ 윤리학이란
- Feldman, 1878 : 도덕에 관한 철학적 연구
- Singer, 1994 : 우리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를 추론하는 체계적 연구
- Pojman, 2002 : 도덕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도덕적 원천과 이론들을 정당화하고자 하는 체계적인 노력
▶ 윤리학의 과제
- 개인 측면과 사회 측면에서 어떠한 삶이 가치 있는 것인지 규명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가치와 미덕의 내용과 본성을 밝히는 것
- 개인이나 집단이 실제 생활에서 하나의 행동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원칙을 이론화하는 것
▶ 윤리학은 구체적으로 사회복지학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까?
- 사회복지의 소명을 밝히고 사회복지사가 맺어야 할 사회적 관계의 종류와 내용에 대하여 방향을 제시
-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갈등을 진단하고 해결할 수 있는 실천방법을 지원
1) 윤리학(ethics)의 구분
▶ 기술윤리학(descriptive ethics)
- 인간이 어떠한 도덕적 판단을 하면서 살아가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사실적 정보를 제공
- 도덕적 판단을 직접적으로 다루지는 않지만 도덕적 판단의 내용과 정당성을 탐구하는 규범윤리학과 메타윤리학의 논의를 지원하는 역할
- 예) 국가가 시행하는 정책과 관련된 규범적 판단에 적용
→ 기초생활보장제도의 부양 의무와 관련된 정책적 질문과 관련하여 현재 한국에서 부양 의무를 지고 있는 인구집단의 규모가 어느 정도인가
▶ 규범윤리학 (normative ethics)
- 도덕의 본질, 도덕적 판단의 의미 및 그 타당성을 철학적으로 연구하는 도덕의 본질에 관한 학문
- 도덕을 인간이 태어나기 전부터 존재한다고 믿으며, 선과 악, 옳고 그름, 마땅히 실천해야 할 당위성이라 강조하는 철학적 입장
- 특정 행위나 상태에 대한 규범적인 판단을 제시
- 사회복지학과 가장 밀접한 관계 있음
▶ 규범윤리학의 연구방향
- 특정 행위나 상태에 대한 규범적인 판단을 제시하고자 함
- 예) ‘거짓말을 하는 것은 옳지 않다’와 같이 특정 상황에서 특정행위에 대한 도덕적 판단규범을 구축하는 작업
- 어떠한 행위에 대해 내린 도덕적 판단을 정당화할 수 있는 적절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함
- 특정행위의 이면에 있는 가치와 논거를 고찰
▶ 메타윤리학 (meta ethics)
- 도덕 그 자체에 대한 철학적 질문
- 도덕적인 것의 의미와 정당화에 집중
- 메타윤리학적 질문
→ 도덕적으로 옳다고 하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가? → 도덕적으로 옳고 그름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 도덕적인 것과 비도덕적인 것의 차이는 어떻게 정당화할 수 있는가?
▶ Ayer, 1949
- 윤리학이란 사람들이 어떠한 도덕적 판단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려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도덕적 판단을 한다고 할 때 과연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려는 시도
윤리적 상대주의 VS. 윤리적 절대주의 |
2) 윤리적 절대주의
- 도덕의 차원과 윤리적 평가 즉, 선과 악, 옳고 그름, 마땅히 실천해야 할 당 성의 성격을 이미 전제한 선천적 원리에서 해결하려는 철학적 입장
- 보편적 도덕법에 따른 명료한 가치판단을 가질 때 도덕적 권위가 확고해지고 사회질서가 확립될 수 있다고 봄
⇨의무론적 윤리이론의 기반이 됨
▶ 보편적 도덕법
- 모든 상황에서 절대적으로 적용되고 무조건적으로 인정해야 함
- 의심할 수 없는 확실한 것
- 자연의 법칙이나 초자연적 절대자의 속성과 같이 시대와 장소를 초월하여 만인에게 보편 타당한 도덕적 규범
▶ Rhodes, 1991
- 보편적 도덕법에 따른 명료한 가치판단을 가질 때 도덕적 권위가 확고해지고 사회질서가 확립될 수 있다고 봄
3) 윤리적 상대주의
- 도덕규칙이나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표준이나 원리를 거부하고, 직면한 상황이나 결과에 기반해서 윤리적인 결정을 하는 것
- 어떤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는 불변하는 윤리적인 기준이 있는 것이 아니라, 주관적으로 자신에게 유리하고 즐거운 것, 결과적으로 좋은 것이 윤리적으로 옳다고 보는 것
⇨도덕규범의 다원성 인정
▶ Rhodes, 1991
- ‘개인 혹은 그의 가치에 관련하여 개인이 옳다고 여기는 신념에 주목하여, 한 사회 혹은 개인의 신념이나 관습이 다른 것보다 좋다고 주장할 강제적 근거가 없다’고 보는 관점
⇨목적론적 윤리이론의 기반이 됨
학습정리
1. 윤리의 주요 이론
1) 윤리학이란?
- 도덕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도덕적 원천과 이론들을 정당화하고자 하는 체계 적인 노력
2) 윤리학의 구분
- 기술윤리학
- 규범윤리학
- 메타윤리학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강의정리 : 권량희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가치와 윤리 (0) | 2022.08.15 |
---|---|
윤리의 주요 이론(2) (0) | 2022.08.15 |
가치와 윤리 (0) | 2022.08.14 |
아동복지 분야 (0) | 2022.07.15 |
노인복지 분야 (0) | 2022.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