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2022년 20회 정답풀이

(208)
2022_20_1-2-46번(사회복지조사론)정답 풀이 46.자료수집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질문의 유형과 형태를 결정할 때 조사대상자의 응답능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②설문문항 작성 시 이중질문(double-barreled question)을 넣어야 한다. ③비참여관찰법은 연구자가 관찰대상과 상호작용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④설문지에서 질문 순서는 무작위 배치를 원칙으로 한다. ⑤우편조사는 프로빙(probing) 기술이 중요하다. 2022.06.21 - [1급 과목 TIP/조사론] - 설문지 작성 ②설문문항 작성 시 이중질문(double-barreled question)을 넣어야 한다.(X) 다. 설문문항 작성 시 유의사항 - 질문의 형태를 띄고, 설명의 형태를 피할 것 - 개방형 질문이 너무 많지 않도록 할 것 - 이중 질문을 피할 것 이..
2022_20_1-2-45번(사회복지조사론)정답 풀이 45.다음에서 설문조사 결과를 해석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을 모두 고른 것은? ㄱ. 표집방법이 확률표집인가 비확률표집인가? ㄴ. 표본의 크기는 모집단을 대표하기에 적절한가? ㄷ. 설문조사는 언제 이루어졌는가? ㄹ. 측정도구가 신뢰할 만한 것인가? ①ㄱ, ㄴ ②ㄷ, ㄹ ③ㄱ, ㄴ, ㄷ ④ㄱ, ㄴ, ㄹ ⑤ㄱ, ㄴ, ㄷ, ㄹ 표집방법 / 표본의크기 / 조사시기 / 측정도구의 신뢰성 모두 중요. 출처 링크 : https://ocsc.tistory.com/272?category=1061995
2022_20_1-2-44번(사회복지조사론)정답 풀이 44.통계적 가설검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영가설을 기각하면 연구가설이 잠정적으로 채택된다. ②영가설은 연구가설과 대조되는 가설이다. ③통계치에 대한 확률(p)이 유의수준(α)보다 낮으면 영가설이 기각된다. ④연구가설은 표본의 통계치에 대한 가정이다. ⑤연구가설은 경험적으로 검증이 가능하여야 한다. 2022.06.21 - [1급 과목 TIP/조사론] - 기술통계와 분석, 가설 검증 ④연구가설은 표본의 통계치에 대한 가정이다. 연구가설 = 연구자가 지지하는 가설, 즉 검증하고자 하는 가설 출처 링크 : https://ocsc.tistory.com/286
2022_20_1-2-43번(사회복지조사론)정답 풀이 43.표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할당표집(quota sampling)은 무작위 표집을 전제로 한다. ②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은 확률표집이다. ③눈덩이표집(snowball sampling)은 모집단의 규모를 알아야만 사용할 수 있다. ④단순무작위표집(simple random sampling)은 모집단으로부터 표본으로 추출될 확률을 알 수 있다. ⑤임의표집(convenience sampling)은 모집단의 대표성이 높은 표본을 추출한다. 2022.06.21 - [1급 과목 TIP/조사론] - 설문조사유형과 표본추출 ①할당표집(quota sampling)은 무작위 표집을 전제로 한다.(X) 할당표집 - 임의로 만든 할당표본 틀을 이용하여 표본을 선정하는 방법 - 층화표집과 유사하..
2022_20_1-2-42번(사회복지조사론)정답 풀이 42.다음 사례의 표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00명의 명단에서 80명의 표본을 선정하는 경우, 그 명단에서 최초의 다섯 사람 중에서 무작위로 한 사람을 뽑는다. 그 후 표집간격 만큼을 더한 번호에 해당하는 사람을 표본으로 선택한다. ①단순무작위 표집이다. ②표집틀이 있어야 한다. ③모집단의 배열에 일정한 주기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④비확률표집법을 사용하였다. ⑤모집단에 대한 대표성이 부족하다. 2022.06.21 - [1급 과목 TIP/조사론] - 설문조사유형과 표본추출 ①단순무작위 표집이다.(X) 체계적 표집이다. - 특징 : 무작위표집의 장점을 살리면서 모집단에서 일정한 순서에 따라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 예 : 모든 학생에게 일련번호를 주어 난수표에서 출발점을 찾아서 시작(6번, 16..
2022_20_1-2-41번(사회복지조사론)정답 풀이 41.다른 조건이 같다면, 확률표집에서 표집오차(sampling erro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표준오차(standard error)가 커지면 표집오차도 커진다. ②신뢰수준(confidence level)을 높이면 표집오차가 감소한다. ③표본의 수가 증가하면 표집오차가 감소한다. ④이질적인 모집단 보다 동질적인 모집단에서 추출한 표본의 표집오차가 작다. ⑤층화를 통해 단순무작위추출의 표집오차를 줄일 수 있다. ②신뢰수준(confidence level)을 높이면 표집오차가 감소한다. (X) 표본의 크기는 조사의 목적, 예산 및 인적자원, 조사를 수행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와 관련 있음. - 오차의 폭 : 조사 결과의 정확도 - 신뢰수준 : 설문조사가 반복되었을 때 얼마나 자주 똑같거나 비슷..
2022_20_1-2-40번(사회복지조사론)정답 풀이 40.신뢰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재검사법, 반분법은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ㄴ. 신뢰도는 타당도의 필요충분조건이다. ㄷ. 측정할 때마다 실제보다 5g 더 높게 측정되는 저울은 신뢰도가 있다. ①ㄱ ②ㄴ ③ㄱ, ㄴ ④ㄱ, ㄷ ⑤ㄱ, ㄴ, ㄷ 2022.06.21 - [1급 과목 TIP/조사론] - 타당도와 척도 ㄴ. 신뢰도는 타당도의 필요충분조건이다. (X) - 필요조건 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님. - 신뢰도와 타당도는 항상 정의 관계를 갖는 것은 아님 - 신뢰도가 있다 하더라도 타당도는 결여될 수 있음 - 타당도가 있다면 일반적으로 신뢰도가 있다고 볼 수 있음 출처 링크 : https://ocsc.tistory.com/263
2022_20_1-2-39번(사회복지조사론)정답 풀이 39.신뢰도를 높이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측정 항목 수를 가능한 줄여야 한다. ②유사한 질문을 2회 이상 하지 않는다. ③측정자에게 측정도구에 대한 교육을 사후에 실시한다. ④측정자들이 측정방식을 대상자에 맞게 유연하게 바꾸어야 한다. ⑤조사대상자가 알지 못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측정하지 않는 것이 좋다. 2022.06.21 - [1급 과목 TIP/조사론] - 측정오류 / 신뢰도 ①측정 항목 수를 가능한 줄여야 한다.(X) - 측정항목(하위변수)을 늘리고 항목의 선택범위(값)을 넓혀야 함. 측정항목이 많거나 선택범위가 넓을수록 신뢰도는 증가하고 반대로 항목 수가 적거나 선택 범위가 좁을수록 신뢰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음. ②유사한 질문을 2회 이상 하지 않는다.(X) - 응답자가 측정도구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