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사회복지실천론)
20.클라이언트와의 면접 중 질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폐쇄형 질문은 클라이언트의 상세한 설명과 느낌을 듣기 위해 사용한다.
②유도형 질문은 비심판적 태도로 상대방을 존중하기 위해 사용한다.
③‘왜’로 시작하는 질문은 클라이언트의 가장 개방적 태도를 이끌어 낼 수 있다.
④개방형 질문은 ‘예’, ‘아니오’ 또는 단답형으로 한정하여 대답한다.
⑤중첩형 질문(stacking question)은 클라이언트를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다.
<해설>
①폐쇄형 질문은 클라이언트의 상세한 설명과 느낌을 듣기 위해 사용한다. → 예,아니오로 대답하는 단답형 질문이다.
②유도형 질문은 비심판적 태도로 상대방을 존중하기 위해 사용한다. → 유도형 질문은 바람직하지 않다
③‘왜’로 시작하는 질문은 클라이언트의 가장 개방적 태도를 이끌어 낼 수 있다. → 클라이언트를 곤란하게 만드는 피해야할 질문이다
④개방형 질문은 ‘예’, ‘아니오’ 또는 단답형으로 한정하여 대답한다. → 개방형 질문은 자유롭게 대답
3) 질문하는 기술
∙ 상대방의 문제와 욕구를 정확히 파악
∙ 상대방이 말하는 내용 확인
∙ 상대방이 미처 표현하지 못한 생각이나 감정을 더 잘 표현하도록 돕기 위한 것
∙ 질문의 유형 : 개방질문, 폐쇄질문
∙ 상대방의 특성과 면담 상황을 고려하면서 개방질문과 폐쇄질문의 적절한 사용 필요
∙ 질문의 유형
개방질문 | 폐쇄질문 |
• 생각이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많은 정보 수집 •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는데 익숙하지 않을 경우 개방질문 사용주의 • 자신의 낮은 지적 수준에 대해 불안감을 가진 경우 개방질문 사용주의 |
• 상대방이 제한된 응답을 하게 되므로 분위기 경직 • 추궁 당하는 느낌, 왜곡되거나 무시되는 느낌을 받을 수 있음 • “예”, “아니오”의 단답형으로 답하거나 간략하게 답할 수 있게 하는 질문 • 신속한 정보를 얻고자 할 때 유용 |
∙ 질문하는 기술에서의 주의점
- 원하는 일정 방향으로 응답을 유도하는 질문 피함
- ‘왜’라는 질문보다 ‘어떻게’ ‘언제’ ‘무엇’이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구체적이고 분명하며 자연스러운 답을 하도록 함
- 내용을 이해하지 못한 경우, 솔직하게 밝히면서 다시 요청하기
- 의사소통 할 때 상대방에게 예의를 갖추어 존중하는 태도가 겸비되어야 함
※ 건강가정사는 면담하며 질문하는 과정에서 상대방의 특성과 면담 상황을 고려하면서 개방질문과 폐쇄질문을 적절하게 사용함
<공부하기> 출처 링크 : https://ocsc.tistory.com/197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 2022년 20회 정답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_20_2-1-22번(사회복지 실천론)정답 풀이 (0) | 2022.06.08 |
---|---|
2022_20_2-1-21번(사회복지 실천론)정답 풀이 (0) | 2022.06.08 |
2022_20_2-1-19번(사회복지 실천론)정답 풀이 (0) | 2022.06.08 |
2022_20_2-1-18번(사회복지 실천론)정답 풀이 (0) | 2022.06.08 |
2022_20_2-1-17번(사회복지 실천론)정답 풀이 (0) | 2022.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