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사회복지실천론)
8.강점관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개입의 초점은 가능성에 있다.
②클라이언트를 재능과 자원을 가진 사람으로 규정한다.
③개입의 핵심은 개인, 가족, 지역사회의 참여이다.
④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진술에 대해 회의적이기 때문에 재해석하여 진단에 활용한다.
⑤돕는 목적은 클라이언트의 삶에 함께 하며 가치를 확고히 하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해설>
④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진술에 대해 회의적이기 때문에 재해석하여 진단에 활용한다. = 병리적 관점
2) 강점관점의 특성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역량, 재능, 경쟁력, 가능성, 비전, 가치, 희망 등의 관점에서 이들을 봐야 함
· 부족한 것보다 갖고 있는 것, 모르는 것보다는 아는 것, 할 수 없는 것보다 할 수 있는 것을 헤아려 볼 것을 요구함
· 인간 정신 속에 내재하는 고유의 지혜와 역경 속에서도 발휘되는 인간의 잠재적 역량에 대해 인정하고 존중함
▶ 강점관점 초점
· 강점관점 실천을 위해 클라이언트에 대한 초기 불신이 중지되어야 함
- 강점과 탄력성에 기초한 평등한 실천관계 속에서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 협 력적 작업이 수행되어야 함
- 클라이언트와 클라이언트의 지지체계 또는 환경이 실천과정 속에서 중심적 역할을 하게 됨
▶ 고려사항
· 강점과 탄력성에 기초한 평등한 실천관계 속에서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 협력적 작업이 수행되어야 함
· 클라이언트와 클라이언트의 지지체계 또는 환경이 실천과정에서 중심적 역할을 하게 됨
4) 강점관점
① 클라이언트의 강점에 초점
② 모든 사람들은 강점을 가지고 있다고 봄
③ 문제에 대한 관심보다, 해결점 발견하고 강점 강화시키는 데 초점
④ 프로그램 기획에 강점 관점 적용 위해 → 기존 활용했던 모델들에 대한 재평가 필요
⑤ 프로그램 개입의 초점 → 클라이언트가 문제를 도전, 전환점, 성장의 기회로 볼 수 있도록 하는 것
⑥ 클라이언트가 이용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의 자원을 발견하기 위해서 노력
병리적 관점과 강점관점의 차이
구분 | 병리적 관점 | 강점 관점 |
개인 | • 개인을 진단에 따라 증상을 가진 ‘사례’로 규정함 | • 개인을 독특한 존재 즉, 강점을 가진 특성, 재능, 자원을 가진 존재 로 규정함 |
치료의 초점 | • 문제에 초점을 둠 | • 해결 가능성에 초점을 둠 |
클라이언트의 진술 | • 전문가에 의해 재해석되어 진단에 활용 | • 그 사람을 알고 평가하기 위한 중 요한 방법 중 하나 |
사회복지사의 태도 | • 클라이언트에게 회의적임 | • 클라이언트의 내면으로부터 개인을 이해함 |
외상경험 | • 아동기 외상은 성인 병리의 전조 증상이며, 예측요인임 | • 아동기 외상은 병리의 예측 요인이 아니며, 개인을 약하게 혹은 강하 게도 할 수 있음 |
주된 치료활동 | • 치료 작업의 중심은 실천가에 의해 고안된 치료 계획임 | • 치료 작업의 중심은 가족, 개인, 혹 은 지역사회의 열망임 |
전문가 |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 삶의 전문가임 | • 개인, 가족, 지역사회가 클라이언트 삶의 전문가임 |
개인적 발전 | • 선택, 통제, 헌신, 개인적 발달 의 가능성은 병리에 의해 제한 됨 | • 선택, 통제, 헌신, 개인적 발달의 가능성은 항상 열려 있음 |
변화를 위한 자원 | • 실천을 위한 자원은 전문가의 지식과 기술임 | • 실천을 위한 자원은 개인, 가족, 지 역사회의 강점과 역량, 적응적 기 술임 |
원조목적 | • 증상과 행동, 감정, 사고, 관계 의 부정적인 개별적, 사회적 결과의 영향을 | • 클라이언트의 삶을 인정하고 가치 를 개발하고, 확인하며, 지역사회 에 대한 소속감을 발전시켜 나가 는데 초점이 있음 |
<공부하기> 출처 링크 : https://ocsc.tistory.com/639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 2022년 20회 정답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_20_2-1-10번(사회복지 실천론)정답 풀이 (0) | 2022.06.08 |
---|---|
2022_20_2-1-9번(사회복지 실천론)정답 풀이 (0) | 2022.06.08 |
2022_20_2-1-7번(사회복지 실천론)정답 풀이 (0) | 2022.06.08 |
2022_20_2-1-6번(사회복지 실천론)정답 풀이 (0) | 2022.06.08 |
2022_20_2-1-5번(사회복지 실천론)정답 풀이 (0) | 2022.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