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사회복지실천론)
2.기능주의학파(functional school)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개인의 의지 강조
②인간의 성장가능성 중시
③‘지금-이곳’에 초점
④인간과 환경의 관계 분석
⑤과거경험 중심적 접근
<해설>
▶ 진단주의와 기능주의의 갈등
- 1930년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을 중심으로 한 ‘진단주의 학파’ 와 랭크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 ‘기능주의 학파’ 사이에 논쟁이 일어남
- 고든 해밀튼, 홀리스, 메리 리치몬드의 진단주의는 사회환경에 대한 퍼스널리티의 적응력을 강화하는 것을 실천의 과제로 삼음
- 타프트, 로빈슨, 스몰리의 기능주의는 개인의 ‘의지’의 힘을 강조, 개인의 현재의 경험과 위커가 속한 기관의 기능을 자유롭게 활용,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실천의 중심과제로 함
- Ct의 성장, 인간에 대한 낙관적 견해를 가짐
① 진단주의 학파
· 1920년대 초기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중심
· 개인의 과거 경험 중심으로 개별적으로 접근
· 인간을 이해하는 관점 : 질병의 심리학
· 민간중심의 기관에서 가정방문 또는 환경조정 등의 서비스 제공
· 홀리스의 심리사회모델로 발전함
· 학자 : 홀리스, 고든 해밀튼, 메리 리치몬드 등
② 기능주의 학파
· 오토 랭크 중심의 이론중심
· 진단주의 학파를 비판하면서 1930년대 대공황 이후, 개인의 문제가 사회환경에 있음을 인식하면서 등장
· 과거에 얽매이지 않은 개인의 성장 가능성과 의지(will)에 초점을 두고 인간을 창의적, 의지적 존재, 낙관적인 시선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 주장함
· 인간을 이해하는 관점 : 성장의 심리학
· 전문가와 클라이언트와의 관계를 중시 :‘치료’라는 용어대신 ‘원조과정’이라는 표현 을 사용
· 기관의 기능과 서비스 체계 중시 : 정부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는 조직이나 기관 중심으로 정부 차원의 빈민 구제 프로그램 제공
· 문제해결모델과 클라이언트 중심모델에 영향을 미침
· 학자 : 오토 랭크, 로빈슨, 태프트, 스멀리 등
<공부하기> 출처 링크 : https://ocsc.tistory.com/847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 2022년 20회 정답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_20_2-1-4번(사회복지 실천론)정답 풀이 (0) | 2022.06.08 |
---|---|
2022_20_2-1-3번(사회복지 실천론)정답 풀이 (0) | 2022.06.08 |
2022_20_2-1-1번(사회복지 실천론)정답 풀이 (0) | 2022.06.08 |
2022_20_3-3(사회복지 법제론)전체 정답 (0) | 2022.06.07 |
2022_20_3-2(사회복지 행정론)전체 정답 (0) | 2022.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