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진단주의와 기능주의
1) 진단주의
- Richmond, Hamilton, Hollis 등이 중심(1920년대)
-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는 생활력을 통해 문제 확인
- 사회환경에 대한 개인의 적응능력을 강화
- 과정 : 조사-진단-치료로 구분, 의료모델의 용어 사용
- 변화의 중심 : 사회복지사가 중심 역할
2) 기능주의
- Taft, Robinson 등이 중심(1930년대)
- 개인의 "의지(will)"의 힘을 강조
- 과거보다는 현재의 경험과 워커(Worker)가 속한 기관의 기능을 활용
-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실천의 중심과제
- 과정 : 개시기-중간기-종결기로 구분
- 변화의 중심 : 클라이언트 스스로 변화 노력, 워커는 원조
2. 사회복지서비스의 전통적 개입이론
1) 개별개입이론
(1) 심리사회이론
① Hollis의 이론을 중심으로 하고 있음
② 인간의 성장과 발달 위해 적절한 여건 조성에 개입 초점
③ 실천방법
- 클라이언트의 감정과 행동지지
- 클라이언트의 감정의 탐색-기술-환기
- 클라이언트의 성격, 행동 유형과 심리 내적 역동 고찰
- 사회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과거와 현재 발달적 고찰
④의사소통의 주요 기술 : 수용, 지지, 탐색-묘사-환기 등
(2) 행동주의 개입이론
① Tomas가 주창, 정신분석이론에 반대되는 이론
② 이론적 배경 : Pavlov의 학습된 반응적 행동,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 Bandura의 대리적 행동이론
③ 관찰 가능한 행동과 환경에 초점을 두고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행동의 조건을 변화시키는 데 중점
④ 구체적이고 정확한 문제의 규정, 변화 목표, 개인과정 강조됨
⑤ 치료의 대상이 되는 행동은 관찰과 측정 가능해야 함
⑥ 제공되는 보상과 처벌의 맥락에서 활용될 수 있음
(3) 과제중심이론
① 단기개입
② 클라이언트와의 상호작용 구조와 방향에 대한 사회사업가의 의사소통으로 구성
③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 강조
④ 클라이언트의 환경에 대한 개입을 강조
⑤ 개입에 있어 책임성 강조
(4) 인지행동실천이론
① 문제 중심적이며 목표지향적
② 협력적, 치료사는 적극적
③ 과제 중심적, 현재에 초점
④ 자신의 생활경험을 보다 현실적이고 긍정적으로 인식, 사고, 해석하는 방법을 학습하도록 함으로써, 사회적인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 목적
- 인지이론에 행동주의적 요소가 결합된 이론
학습정리
1. 진단주의와 기능주의
- 진단주의 : 생활력 통해 문제 진단, 개인의 적응 능력 강화,사회복지사가 중심
- 기능주의 : 의지(will)"의 힘 강조, 현재의 경험 활용 사회복지사는 원조
2. 개별개입이론
- 심리사회이론 : 심리내적 역동 고찰 / 수용, 지지, 탐색-묘사-환기
- 행동주의 개입이론 : 행동의 조건 변화 / 보상과 처벌
- 과제중심이론 : 클라이언트 자기결정권 강조 / 환경 개입
- 인지행동실천이론 : 문제,과제 중심 / 현재에 초점
부산디지털대학교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강의정리 : 배의식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서비스 개입이론(3) (0) | 2022.07.12 |
---|---|
사회복지서비스 개입이론(2) (0) | 2022.07.12 |
프로그램 구성요소 (0) | 2022.07.12 |
프로그램 개발의 절차 (0) | 2022.07.12 |
프로그램 개발의 개념 (0) | 2022.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