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1) 사회문제 연구
가. 사회문제를 연구하게 된 원인
-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제적으로 소외된 사람들 급증
- 사회전체의 불안요인 증가 → 사회해체 위협
- 이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고 자본주의 사회체제를 지켜내기 위한 노력의 일환
- 사회문제 해결의 노력이 사회복지로 연결됨
나. 사회복지학의 사회문제 접근
- 응용사회과학으로서의 사회복지학 : 이론과 실천의 측면에서 실용적임, 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음
- 일차적으로는 사회학적 연구에서 밝혀진 원인적 요인에 근거 - 직접 사회문제에 대한 이론적 접근 시도
- 최종 해결, 원인 제거, 파생되는 부작용 등 사회문제의 다양한 차원들 중 어디까지 개입할 것인지에 대한 논란
2) 사회문제와 사회복지의 관계
가. 동전의 양면
- 사회문제는 사회복지의 제 분야를 추출해내는 이론적 배경이되며, 사회복지는 사회문제를 해결해가는 실천적 방법
- 국가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정책적 개입을 꾸준하고 있음
- 기업, 종교, NGO, 개인 등 민간 참여도 점점 확대.
2. 한국사회의 사회문제와 사회복지적 접근
1) 사회복지적 접근에 따른 한국사회의 이슈들
가. 갈등주의 : 보수와 진보의 정치 이데올로기
- 성장론 vs 분배론의 갈등 : 실재하는 경제적 불평등에 직접 개입하여 불평등 정도를 줄여감으로써 실질적인 해결
나. 전지구적 인구학적 문제 : 저출산 ・ 고령화
- 급격하게 늘어나는 고령 인구의 실질적 삶의 질 문제에 개입 : 경제적・육체적 어려움 해결, 제도의 정비, 인식전환, 기술 개발 등
다. 다문화 사회 : 한민족에서 다민족으로 인구 구성의 변화
- 개인과 가족에 대한 구체적이며 실질적 개입
- 제도, 정책 정비, 인식 개선 등
학습정리
1. 사회문제와 사회복지의 관계
- 사회문제 연구 :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사회복지적 접근이 효과적임
- 사회문제와 사회복지의 관계 : 동전의 양면
2. 한국사회의 사회문제와 사회복지적 접근 : 주요 이슈
- 갈등주의
- 저출산, 고령화
- 인구구성의 변화 : 다문화 사회로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문제론 강의정리 : 조향숙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사회문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조주의와 갈등주의 관점 (0) | 2022.07.10 |
---|---|
사회문제의 분류기준과 학자별 분류 (0) | 2022.07.10 |
사회문제의 특성과 배경 (0) | 2022.07.10 |
사회문제의 정의 (0) | 2022.07.10 |
노동복지 문제 (0) | 2022.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