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로스만 모델의 개요
1) 역사적 배경
- 미국 1960~70년대 빈곤과의 전쟁, 시민참여 운동 등 활발
- 로스만 : 지역사회 문제해결 위한 지역복지실천 모델 제시
- 지역복지실천 기본 모델 : 지역사회개발, 지역사회계획, 사회행동의 세 가지 모형 제시
- 모델 활용도 : 많은 사회복지교육자와 실천가들에 의해 수용되었고, 오랫동안 지역복지실천 기본모형으로 자리매김
- 한계 : 각각의 모델이 실천과정에서 제한점, 딜레마 가질 수 있음 → 유연하고 창의적 접근 필요
2.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
1) 지역사회개발모델(locality development model)
- 자조기반에 근거 → 지역사회능력 강화, 사회통합 과정 통해 문제 해결
- 주민들이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 강화
- 문제의 파악 및 해결과정에 주민 참여 장려
- 과정 목적에 초점
- 활동내용 : 지역사회복지관, 인보관, 평화봉사단 등에서 펼치는 사회개발사업과 성인교육, 기타 지역활동 등
- 한계점
∙집단들 간의 합의와 협력 이끌어내기 어려움
∙집단들이 성․계급․인종 등의 경계 초월하는 공통 이해 가지고 있다는 가정의 현실성 문제
∙정책결정자가 협상 거부할 수 있는 권력구조 문제
2) 사회계획모델(social planning model)
- 지역사회의 사회적 복리문제 방법 중시
- 소득, 주택, 건강, 복지 등의 구체적 사회문제 해결하는 기술적 방법 중시
- 지역사회의 문제해결을 위해 → 구체적∙공식적인 계획수립, 합리적인 절차, 통제된 변화 강조
- 과업 목적에 초점
- 활동내용 : 정부의 기획부서, 지방자치단체의 도시계획부서, 사회복지협의회와 관계 기관의 기획담당자 등을 통해 지역사회계획, 도시계획, 농촌개량 등에 개입
- 한계점
∙계획가가 무제한적인 시간과 자원 가지고 있지 않음
∙문제해결 과정에 미치는 정치적 영향력 고려하지 못함
3) 사회행동모델(social action model)
- 대상 : 억압받고 소외된 주민들
- 목표 : 지역사회의 권력과 자원의 재분배,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의사결정의 접근성 강화
- 지역사회의 변화에 초점
- 지역사회의 기존 제도들의 불합리성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를 추구
- 활동내용 : 환경보호단체, 소비자보호단체, 여성단체, 노동조합, 기타 단체 통해 환경보호운동, 소비자보호운동, 여권신장운동, 노동운동, 학생운동, 복지권운동 등
- 한계점
∙실천활동을 대항(대결)활동(confrontation)으로 제한, 관련 집단 양극화 또는 바람직한 결과 달성 어려움
∙지역사회 구성원이 대항활동 주저할 수 있음
∙대항활동의 불법성으로 인한 위험에 빠질 수 있음
부산디지털대학교 지역사회 복지론 강의정리 : 배의식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2-3지역사회 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웨일과 갬블의 모델 (0) | 2022.07.08 |
---|---|
로스만의 모델(2) (0) | 2022.07.08 |
엘리트주의와 다원주의 (0) | 2022.07.08 |
사회체계이론과 생태학적 이론 (0) | 2022.07.08 |
기능주의와 갈등주의 (0) | 2022.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