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필기: 객관식 총 100문제 / 2시간30분시험 / 전과목 40%이상,전과목평균 60%이상 합격
2.실기: 필답식(2시간)+작업형(2시간)
과목명
|
주요항목
|
세부항목
|
세세항목
|
1과목 조사방법과 설계 (30문제) |
1. 통계조사 계획
|
1. 통계조사목적 수립
|
1.조사목적의 설정
|
2. 조사내용 결정
|
1. 조사내용의 결정
|
||
3. 조사방법 결정
|
1. 조사방법의 종류
|
||
2. 조사방법의 특징
|
|||
3. 조사방법의 결정
|
|||
2. 표본설계
|
1. 조사대상 선정
|
1. 모집단의 정의 및 분석
|
|
2. 표본추출틀과 조사대상 결정
|
|||
2. 표본추출방법 결정
|
1. 표본추출방법
|
||
2. 표본추출절차 수립
|
|||
3. 표본추출 오차와 비표본추출 오차의 개념
|
|||
3. 표본크기 결정
|
1. 표본의 크기 결정
|
||
2. 표본오차의 크기 결정
|
|||
3. 설문설계
|
1. 분석설계
|
1. 설명적/기술적 조사 설계의 개념과 유형
|
|
2. 횡단적/종단적 조사설계의 개념과 유형
|
|||
3. 양적/질적 연구의 의미와 목적
|
|||
2. 개별 설문항목 작성
|
1. 개별 질문항목과 응답항목의 작성
|
||
2. 질문항목과 응답항목 간의 일관성 검토
|
|||
3. 설문지 작성
|
1. 설문 항목의 구조화
|
||
2. 설문지 작성
|
|||
3. 설문지 점검 및 보완
|
|||
4. FGI 정성조사
|
1. FGI 정성조사의 이해
|
1. FGI의 개념
|
|
2. FGI 설계
|
|||
3. FGI 실시
|
|||
4. FGI 자료 분석
|
|||
5. 심층인터뷰정성조사
|
1. 심층인터뷰 정성조사의 이해
|
1. 심층인터뷰의 개념
|
|
2. 심층인터뷰 설계
|
|||
3. 심층인터뷰 실시
|
|||
4. 심층인터뷰 자료분석
|
|||
2과목
조사관리와 자료처리 (30문제) |
1. 자료수집방법
|
1. 자료의 종류와 수집방법의분류
|
1. 자료의 종류
|
2. 자료수집방법의 분류
|
|||
2. 질문지법의 이해
|
1. 질문지법의 의의
|
||
2. 질문지법의 구성
|
|||
3. 질문지법의 적용방법
|
|||
3. 관찰법의 이해
|
1. 관찰법의 이해
|
||
2. 관찰법의 유형
|
|||
3. 관찰법의 장단점
|
|||
4. 면접법의 이해
|
1. 면접법의 의미
|
||
2. 면접법의 종류
|
|||
2. 실사관리
|
1. 실사준비
|
1. 조사방법별 조사원 선발
|
|
2. 조사원의 유형별 직무 교육
|
|||
3. 조사원의 유형별 직무범위와 역할
|
|||
2. 실사진행 관리
|
1. 실사 진행 시 점검사항
|
||
2. 점검 결과에 따른 필요조치
|
|||
3. 실사품질 관리
|
1. 수집된 자료 정합성 점검
|
||
3. 2차 자료 분석
|
1. 2차 자료의 이해
|
1. 2차 자료의 종류 및 유형
|
|
2. 2차 자료의 수집방법
|
|||
3. 실사자료와 2차 자료의 특성
|
|||
4. 측정의 타당성과 신뢰성
|
1. 개념과 측정
|
1. 변수의 개념 및 종류
|
|
2. 개념적 정의
|
|||
3. 조작적 정의
|
|||
2. 변수의 측정
|
1. 측정의 개념
|
||
2. 측정의 수준과 척도
|
|||
3. 측정도구와 척도의 구성
|
1. 측정도구 및 척도의 의미
|
||
2. 척도구성방법
|
|||
3. 척도분석의 방법
|
|||
4. 측정오차의 의미
|
1. 측정오차의 개념
|
||
2. 측정오차의 종류
|
|||
5. 타당성의 의미
|
1. 타당성의 개념
|
||
2. 타당성의 종류
|
|||
6. 신뢰성의 의미
|
1. 신뢰성의 개념
|
||
2. 신뢰성 추정방법
|
|||
3. 신뢰성 제고방법
|
|||
5. 자료처리
|
1. 부호화
|
1. 자료값 범위의 설정
|
|
2. 무응답 처리 방법
|
|||
3. 응답내용의 부호화
|
|||
2. 자료입력 및 검토
|
1. 자료의 입력
|
||
2. 입력된 자료의 정합성 판단
|
|||
3. 입력된 자료의 오류 값 수정
|
|||
3과목
통계분석과 활용 (40문제) |
1. 확률분포
|
1. 확률분포의 의미
|
1. 확률변수와 확률분포
|
2. 이산확률변수와 연속확률변수
|
|||
3. 확률분포의 기댓값과 분산
|
|||
2. 이산확률분포의 의미
|
1. 이항분포의 개념
|
||
3. 연속확률분포의 의미
|
1. 정규분포의 개념
|
||
2. 표준정규분포의 개념
|
|||
4. 표본분포의 의미
|
1. 평균의 표본분포
|
||
2. 비율의 표본분포
|
|||
2. 기술통계분석
|
1. 추정ㆍ가설검정
|
1. 모평균, 모비율, 모분산의 추정
|
|
2. 모평균, 모비율, 모분산의 구간추정
|
|||
3. 평균차의 추정
|
|||
4. 표본크기의 결정
|
|||
5. 가설검정의 개념
|
|||
6. 모평균, 모비율, 모분산의 가설검정
|
|||
2. 기술통계량 산출
|
1. 중심경향값의 이해
|
||
2. 산포의 정도
|
|||
3. 분포의 모양과 평균, 분산, 비대칭도
|
|||
3. 평균차이 분석
|
1. 두 모집단 평균차의 가설검정
|
||
2. 대응 모집단의 평균차의 가설검정
|
|||
3. 두 모집단 비율의 가설검정
|
|||
4. 분산분석의 기본가정
|
|||
5. 일원분산분석의 의의
|
|||
6. 일원분산분석의 결과해석
|
|||
4. 교차분석
|
1. 교차분석의 가설 설정
|
||
2. 교차분석의 가설 검정
|
|||
3. 교차분석의 결과해석
|
|||
3. 회귀분석
|
1. 회귀분석의 개념
|
1. 회귀모형
|
|
2. 회귀식
|
|||
2. 상관분석
|
1. 상관계수의 의미
|
||
2. 상관계수의 산출
|
|||
3. 상관계수의 검정
|
|||
3. 단순회귀분석
|
1. 단순회귀분석의 가설 설정
|
||
2. 단순회귀분석의 가설 검정
|
|||
3. 단순회귀분석의 적합도 검정
|
|||
4. 단순회귀분석의 결과해석
|
|||
4. 중회귀분석
|
1. 중회귀분석의 가설 설정
|
||
2. 중회귀분석의 가설 검정
|
|||
3. 중회귀분석의 적합도 검정
|
|||
4. 중회귀분석의 결과해석
|
728x90
반응형
'챗-gpt로 사회조사분석사 도전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Ⅰ과목 조사방법과 설계_2장 표본 설계_01.조사대상 선정_➋표본추출틀과 조사대상 결정 (0) | 2023.09.26 |
---|---|
Ⅰ과목 조사방법과 설계_2장 표본 설계_01.조사대상 선정_➊모집단의 정의 및 분석 (0) | 2023.09.26 |
Ⅰ과목 조사방법과 설계_1장 통계조사 계획_03.조사방법 결정 (0) | 2023.09.26 |
Ⅰ과목 조사방법과 설계_1장 통계조사 계획_02.조사내용 결정_➊조사내용의 결정 (0) | 2023.09.26 |
Ⅰ과목.조사방법과 설계_1장 통계조사 계획_01.통계조사목적 수립_❶조사목적의 설정 (0) | 2023.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