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족경제와 역할변화
(1) 기혼여성 취업 증가와 역할 변화
•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 지속적 증가 → 개인적 동기와 사회구조변화
• 개인적 동기 : 인정에 대한 욕구와 생활수준 향상과 경제적 비용지출에 대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 사회구조적 변화
• 기혼여성의 취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 변화, 가족 크기 축소 → 자녀양육기간 단축
• 가전제품발달 → 가사노동시간 단축
• 사회·경제적 참여 확대로 인한 사회적 역할 변화에도 가족 내의 역할 변하지 않음
• 여성 역할과 지위에 대한 사회규범 및 여성의 의식변화가 사회 변화에 미치지 못함.
자신의 직업을 남편의 직업이나 가정에 종속시켜 생각하는 경향 때문에 역할부담 / 갈등가중
• 여성의 가사노동시간은 남성의 5배(2015)
• 2019년 남성 54분, 여성 187분
• 양성 평등 시대에 가정생활 및 수입을 한쪽에만 의존하기 보다 함께 책임 질 수 있는 의식과 능력 필요함
(2) 남편의 역할 변화
• 외조형 남편 증가 : 여성의 취업에 대한 보편적 인식과 아내의 사회생활 위해 가사 전담하는 남편 증가
• 공조형 부부 증가 : 남자의 성공을 위한 내조에서 부부 중 가능성이 높은 쪽을 지원하는 공조형 부부 증가
• 부양자의 위치 상실 : 가부장적 문화에서 퇴직 남성들은 부양자 위치 상실 → 가정에서 환영 받지 못한 존재로 전락
• 가정생활과 조화 못 이룸 : 장시간 근무와 기업 중심의 관행은 남성들을 가정에서 분리시켜 가정생활과 조화를 못 이루게 함
(3) 평등한 가족경제문화
• 기혼여성의 취업은 가족 내 부부간의 역할, 태도, 관계의 변화 유발
• 가족 전 구성원과 가족문화 형성에 영향 미침
• 가족구성원의 자유와 민주적, 평등한 가족생활유지 위해 수입 공동 관리, 공동 지출 하는 가족경제문화 필요
• 가정의 경제문제는 가족 공동의 문제로 인식하고 재정 상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투명성을 유지해야 함
2) 일 가정 양립 기업문화
(1) 여성노동자, 맞벌이 부부 증가, IT산업 발달로 탄력적 업무수행
• 확산, 근로자의 기대수준 변화 등 → 일과 가정 간의 불균형 발생, 직무 불만족, 직장 내 효율성 저하 등으로
가족친화경영 중요성 증가
(2) 가족친화경영 :
• 일과 가정 생활의 균형 유지하도록 돕는 방안
• 일과 가정 생활 병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교육, 정책 등 다양한 지원 제공하는 경영전략
(3) 가족친화경영 유형 :
• 탄력적 근무제, 자녀의 출산, 양육제, 부양가족지원제, 근로자 지원제, 가족관계증진제 등
(4) 한국은 2006년 여성가족부 주도로 저출산, 고령화 사회 진입에 대응하여 기업의 가족경영사례 발굴하면서 본격 도입
(5) 가족 양립정책의 효과
• 국가 차원 : 여성고용 및 출산율 제고
• 기업 차원 : 우수 인력 확보, 경쟁력 강화, 매출액 증가, 이직률 감소
부산디지털대학교 <가족과 문화> 강의정리 : 홍영근 교수 2022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가족과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여가문화 (0) | 2022.09.05 |
---|---|
가족소비문화, 재산 및 상속문화 (0) | 2022.09.05 |
건강한 가족생활 문화 (0) | 2022.09.05 |
가족생활주기와 문화 (0) | 2022.09.05 |
세대 및 세대별 특징 (0) | 2022.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