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가족복지론

구조적 가족치료(1)

728x90

1. 구조적 가족치료

 

구조적 가족치료

 

 

▶ 기본가정


- 가족환경은 개인의 내적 과정에 영향을 끼침 

- 가족환경 속에서의 변화는 개인을 변화시킴 

- 치료자의 행동은 변화를 위해 중요함

 

▶ 개입 목표 : 가족구조의 변화


- 역기능적인 가족구조의 재구조화 
→ 가족문제 해결은 구조의 변화에 따른 부산물로 이해됨


- 가족 내에는 세대, 성, 관심 등으로 구분되는 다양한 하위체계가 존재하며 가족 성원 간, 하위체계 간, 가족과 외부 체계 간 경계가 존재하는데 체계의 구성보다 경계가 가족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데 중요함


- 치료자는 가족의 일원으로 합류하고 가족을 있는 그대로 존중하면서 가족을 재 구조화하기 위한 치료적 개입 시도함


▶ 적용


- 청소년 비행, 거식증, 약물남용 가족,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가족, 한부모가족, 장애아동가족 등에 적용


- 문화적으로 다양한 가족 → 동양권과 남미의 가족에게 효과적임 

 

 

1) 치료이론과 개념


▶ 주요개념


- 가족구조


· 성원이 상호작용하는 조직화된 유형으로, 가족의 상호작용을 지배하는 암묵적인 규칙과 위계 포함함
· 가족은 유형화되면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변화에 저항하는 속성 지님
·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하위체계를 형성함


- 하위체계


· 자체적인 구조와 의사소통을 가진 가족체계의 하부단위
· 스스로 체계 내 요소들과 상호작용하고 호혜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체계의 부분
· 가족체계는 하위체계를 통해 과업을 수행함
· 하위체계는 위계를 형성하고 보이지 않는 경계에 의해 구분됨


- 경계


· 체계 간의 차이를 보호하는 기능으로 명확한 경계, 혼돈된 경계, 경직된 경계가 있음
· 가족 내의 개인과 다른 가족원들 간의 관계에서 형성된 개인의 정체성이면서 동시에 한 단위로서의 가족과 사회체계 간의 관계에서 형성된 가족의 정체성
· 부모하위체계의 위계질서를 강화하여 부모와 자녀 간에 명확한 경계를 확립하 는 것이 중요함 

 

▶ 구조적 가족치료에서 사용하는 가족구조 상징

 

가족구조 상징

 

▶ 부부간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관심을 자녀에게 돌리는 경우


- 서로 배려하기보다 주로 자녀에게 관심을 두게 되어 부부간의 긴장은 감소하나 자녀를 희생양으로 만들어 자녀의 문제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음

 

[갈등을 우회하는 수단으로 희생양 만들기]

 

 

▶ 자녀양육에서 부모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 한 부모와 자녀 사이에 세대 간 연합 형성하고 다른 쪽 부모는 배제됨

 

[어머니와 자녀의 연합]

 

 

▶ 학교가기를 두려워하고 학교에서의 훈육문제를 일으키는 경우


- 지나치게 밀착된 가족 내의 경계를 명확히 하고 지나치게 경직된 가족과 외부체 계의 경계가 투과적으로 되도록 도움

 

[학교공포증]

 

 

▶ 가족구조 재구조화를 위한 활용 지침 


- 가족체계에는 영향력 있는 위계적인 구조가 있어야 하고, 부모의 권위를 기초로 하는 세대 간의 차이가 있어야 함
- 부모가 연합해야 하고, 자녀들이 연합할 수 있도록 부모가 상호 간에 지지적이고 수용적이어야 함 
- 부모로서 연합할 때 형제체계는 동료체계가 됨 

- 부부체계는 부모체계와 구분하여 형성되어야 함 
- 유리된 가족 : 상호작용 빈도를 증가시키고 경직된 경계가 분명한 경계로 변화 하도록 해야 함
- 밀착된 가족 : 개인과 하위체계의 분리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함

 

유리된 가족 VS 밀착된 가족 
  상호작용 빈도를 증가시키고, 경직된 경계를 명확한 경계로 변화시킴   개인과 하위체계의 분리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함

 

 

 

학습정리 
1. 구조적 가족치료 

(1) 주요 개념
- 개입 목표 : 역기능적인 가족구조의 재구조화 

- 주요 개념 : 가족구조, 경계, 하위체계
- 가족구조는 일단 유형화되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하위체계를 형성함
- 부모 하위체계의 위계질서를 강화하여 부모와 자녀 간에 명확한 경계를 확립하는 것이 중요함

 

 

 

 

 

부산디지털대학교 가족복지론 강의정리 : 권량희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728x90
반응형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가족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험적 가족치료  (0) 2022.08.14
구조적 가족치료(2)  (0) 2022.08.14
가족체계관점  (0) 2022.08.14
가족사정의 방법(2)  (0) 2022.08.14
가족사정의 방법(1)  (0) 2022.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