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가족복지론

가족에 대한 관점

728x90

1. 가족에 대한 관점


˚ 관점이란 무엇인가?
- 사람들이 현실에 대해 가지는 사고방식이나 기본적인 가정 (Kuhn, 1970) 

 

✓플라톤식의 개인주의적 관점
· 개인주의적 철학적 관점에 지적 기반 제공 
· 독립성, 이성적 사고, 자율성, 개별성 강조
· 가족 : 개인생활의 한 부분, 인생의 주요 관심사는 개인, 사생활, 자율성, 개인적 관심사, 개별화 과정, 독립성, 개인적 자유 중요


✓아스토텔레스식 체계론적 관점
· 체계론적 관점에 지적 기반 제공
· 인간, 가족, 환경에 대한 통합적, 연관된 관점 강조
· 생물학적, 지적, 사회적, 환경적 맥락에서 맺는 연관성 강조


⇨ 이러한 관점의 차이가 문제해결 방식과 방법에 영향을 미침 

 

1) 구조기능론자의 낙관적 관점

 

     - 사회체제의 ‘유형 유지 기능’을 담당
     - 기존 체제에 적응하는 동기를 조성해 주는 사회화의 매커니즘을 담당
- Parsons 

 

⇨ 산업사회이론을 가족에게 적용 1950-1960년대에 서구 및 미국에 영향 미침

 

     - 사회구성원 및 공유된 가치의 재생산 단위
     -  기협동과  합의를  사회에  내재된  것으로  고려하고  가족생활의  긍정적 측면 강조

 

⇨ 주요 개념 : 구조와 기능


- 성별 분업화에 따라 역할을 수행하는 핵가족이 산업사회에서 최적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가족이라고 강조
- 현대사회의 가족문제도 그 근원이 사회제도의 문제와 밀접하게 결부되어 있다고 간주
- 초점 : 안정, 가족생활의 긍정적인 면 - 사회의 형성, 유지, 강화 측면에만 초점
- 가족 내의 갈등, 가족과 기타 사회, 경제제도와의 갈등에 대한 접근을 어렵게 만듦
- 여성의 가사 및 양육 노동의 경제적, 생산적 가치와 지역사회 내의 가치를 간과함


⇨ 사회학적 성의 중요한 측면 간과 

 

 

2) 갈등론자의 비판적 관점


- 자본주의를 위한 노동력과 자본주의적 가치와 관계를 재생산하는 단위 

- 자본주의의 붕괴와 함께 소멸될 것으로 봄
- 초점 : 갈등과 착취
- 갈등을 권력이나 자원의 불평등한 분배로 인한 성원 간의 이해관계에서 비롯되 는 것으로 간주
- 갈등을 자연적, 필연적, 바람직한 것으로 보고 사회통합과 발전의 요인으로 파악함
- 안식처로서의 기능 강조가 핵가족에게 부정적 결과를 초래했다고 봄 

- 주 연구분야 : 가족원 간의 의사결정, 갈등 관리 및 해결
- 질서와 안정에 희생하여 갈등과 강압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음
- 인간 본성의 부정적인 관점을 나타내고 가족관계의 필수 요소인 사랑과 자기희 생의 중요성 간과함
-  권력이나 역할과 같은 사회규범이 가족 간에는 긍정적으로 수용되기도 하고, 가족원 간의 갈등을 통제하는데 영향을 주기도 한다는 점 간과함

 

3) 여권론자의 비판적 관점


- 성역할, 계층, 인종, 연령, 성적 지향, 결혼상태에 기반
- 사회적으로 구조화된 기대를 배우는 집단으로 가부장적 사회질서를 재생산하는 단위
⇨ 가족은 단일체계가 아닌 권력단체의 구조임 


- 가족체계는 남편과 아내가 상이한 계급에 놓여 있고  이익과 권력에서 불평등이 존재하므로, 이런 가부장적 체계는 권력을 가진 남성의 이익에만 기여하고, 여성은 억압되어 있다고 봄
- 초점 : 성의 갈등과 착취

 

 

▶ 여성을 억압하는 현대가족의 측면


- 주부 역할을 우선적으로 취하게 함으로써 여성노동을 규제함
- 여성의 성과 출산에 대해 남성이 통제를 가함
- 성 정체감을 구조화시켜 전통적인 남성 우위의 성역할 사회화를 유지시킴
- 성의 불평등에 대한 의식 촉구로 가족생활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영향 미침
- 여성의 관점 반영보다 일부 급진적 이데올로기를 반영하고 있음
- 가족을 전적으로 억압적인 것으로만 묘사하고 여성들에게 가정생활이 주는 폭넓은 매력 간과함

 


4) 체계론적 관점


- 상호 관련된 부분이나 하위체계의 조직 - 가족 개인보다 전체로서의 가족 강조
- 전체성, 상호의존성, 하위체계, 투입, 산출과 경계, 변형과정, 선택, 정보처리와 피드백을 보도록 도움

 

⇨ - 결정론적인 과정보다 비결정론적인 과정 강조
    - 주기와 동결과성, 순환적 관계 강조

 

 

 가족에 대한 기본 가정


- 가족체계의 맥락 내에서 상호작용 중시됨
- 독특한 상호작용 패턴 가짐 : 장기간에 걸쳐 형성되었기에  변화 어려움
- 가족체계가 손상되지 않도록 가족체계의 안정성 추구함
- 가족체계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함

 

 

 

 

학습정리 
1. 가족에 대한 관점
1) 구조기능론자의 낙관적 관점 : 사회체제의 ‘유형 유지 기능’을 담당
2) 갈등론자의 비판적 관점 : 자본주의를 위한 노동력과 자본주의적 가치와 관계를 재생산 하는 단위
3) 여권론자의 비판적 관점 : 사회적으로 구조화된 기대를 배우는 집단으로 가부장적 사회 질서를 재생산하는 단위
4) 체계론적 관점 : 상호 관련된 부분이나 하위체계의 조직

 

 

 

 

 

 

 

 

 

 

 

부산디지털대학교 가족복지론 강의정리 : 권량희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