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정책과 제도(사회복지정책론) |
1. 사회복지역사에 관한 내용 중 연결이 옳은 것은?
① 엘리자베스 구빈법(1601) - 열등처우의 원칙
② 길버트법(1782) - 원외구제 허용
③ 비스마르크 3대 사회보험 - 질병보험, 실업보험, 노령폐질보험
④ 미국 사회보장법(1935) - 보편적 의료보험제도 도입
⑤ 베버리지 보고서(1942 )- 소득비례방식의 사회보험도입
<해설>
① 엘리자베스 구빈법(1601) - 열등처우의 원칙 → 신빈민법
③ 비스마르크 3대 사회보험 - 질병보험, 실업보험, 노령폐질보험
→ 질병보험법(1883), 산재보험법(1884), 폐질 및 노령보험법(1889)
④ 미국 사회보장법(1935) - 보편적 의료보험제도 도입
→ 사회보장법은 사회보험법, 공공부조법, 사회복지서비스로 구성됨
⑤ 베버리지 보고서(1942 ) - 소득비례방식의 사회보험도입 → 균일 기여 균일 급여
- 베버리지 보고서는 최저생활수준 보장을 권리로 규정하고 생존권을 처음으로 사회보장에 받아 들여 빈민법 사상을 근본적으로 전환시켰으며, 임금근로자에 한정된 적용자의 범위를 전 국민에게까지 확대한 것도 획기적이었음.
▶ 신빈민법의 3대 원칙(에드윈 채드윅, Edwin Chadwick)
1) 열등처우의 원칙(principle of less eligibility)
2) 작업장수용의 원칙(principle of workhouse system)
3) 전국적 통일의 원칙(principle of nationaluniformity)
<공부하기> 출처 링크 : https://ocsc.tistory.com/384
영국의 빈민법/외국의 사회보험법
1. 영국의 빈민법 1) 엘리자베스 빈민법(1601년) - 공공부조의 역사는 1601년에 제정된 영국의 엘리자베스 빈민법에서 시작됨. - 엘리자베스 빈민법은 이전까지의
ocsc.tistory.com
신빈민법의 내용
1. 재정배경 1) 『영국과 웨일즈의 빈민대상 법과 행정을 위한 개정법(an act for the amendment and better administration of the laws relating to ..
ocsc.tistory.com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 2020년 18회 정답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_18_3-1-3번(사회복지 정책론)정답 풀이 (0) | 2022.08.04 |
---|---|
2020_18_3-1-2번(사회복지 정책론)정답 풀이 (0) | 2022.08.04 |
2020_18_2-3-75번(지역사회 복지론)정답 풀이 (0) | 2022.08.04 |
2020_18_2-3-74번(지역사회 복지론)정답 풀이 (0) | 2022.08.04 |
2020_18_2-3-73번(지역사회 복지론)정답 풀이 (0) | 2022.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