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기초(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6. 융(C. Jung)의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남성의 여성적인 면은 아니무스(animus), 여성의 남성적인 면은 아니마(anima)이다.
②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③ 음영(shadow)은 자기나 자아상과 같은 개념으로 인간의 어둡고 동물적인 측면이다.
④ 페르소나(persona)는 개인이 외부 세계에 보여주는 이미지이며, 사회적 요구에 대한 반응이다.
⑤ 집단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은 다양한 콤플렉스에 기초한다.
<해설>
① 남성의 여성적인 면은 아니무스(animus), 여성의 남성적인 면은 아니마(anima)이다.
→ 아니마(anima) : 무의식에 존재하는 남성의 여성적 측면 / 아니무스(animus) : 무의식에 존재하는 여성의 남성적 측면
②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프로이트
③ 음영(shadow)은 자기나 자아상과 같은 개념으로 인간의 어둡고 동물적인 측면이다.
→ 음영(shadow ; 그림자)
- 의식하기 싫어하는 자신의 부정적 측면(원초적 동물적 본능 등)
- 본능 : 자발성 & 창조성 & 생명력 요소의 원천 → 지나친 억압 : 창조성 등 희생
- but, 사회생활 위해 본능 자제 & 페르소나 발전시켜야 함
④ 페르소나(persona)는 개인이 외부 세계에 보여주는 이미지이며, 사회적 요구에 대한 반응이다.
→ 자아의 가면 : 개인이 외부에 보이는 이미지 → 왜 필요한가? 환경에 적응을 위해 형성 /
공적 역할(social mask) : 사회가 개인에게 기대하는 역할
⑤ 집단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은 다양한 콤플렉스에 기초한다.
→ 무의식의 하층(심층)부 : 인류에게 공통적으로 유전되는 무의식
<공부하기> 출처 링크 : https://ocsc.tistory.com/2908
정신역동이론 - 분석심리이론
4. 분석심리이론(analytic psychology theory) · 아들러융(Carl Gustav Jung) 1875~1961 - 출생 : 스위스 / 부모의 갈등으로 어린 시절 몹시 내성적 - 기독교 목사 아버지 영향 : 영성 & 영..
ocsc.tistory.com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 2020년 18회 정답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_18_1-1-8번(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정답 풀이 (0) | 2022.08.01 |
---|---|
2020_18_1-1-7번(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정답 풀이 (0) | 2022.08.01 |
2020_18_1-1-5번(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정답 풀이 (0) | 2022.08.01 |
2020_18_1-1-4번(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정답 풀이 (0) | 2022.08.01 |
2020_18_1-1-3번(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정답 풀이 (0) | 2022.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