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기초(사회복지조사론) |
31. 과학적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잠정적이지 않은 지식을 추구한다. ② 경험적 증거에 기반하여 지식을 탐구한다.
③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방법에 의존한다. ④ 객관성의 추구를 강조한다.
⑤ 재현과 반복의 가능성이 높다.
<정답 및 해설>
32. 조사과정 단계를 순서대로 연결한 것은?
ㄱ. 가설구성 ㄴ. 자료수집방법 결정 ㄷ. 자료수집 ㄹ. 설문지 문항 검토 ㅁ. 연구주제 선정 |
① ㄱ → ㄴ → ㅁ → ㄹ → ㄷ ② ㄱ → ㅁ → ㄴ → ㄹ → ㄷ
③ ㅁ → ㄱ → ㄴ → ㄷ → ㄹ ④ ㅁ → ㄱ → ㄴ → ㄹ → ㄷ
⑤ ㅁ → ㄱ → ㄹ → ㄴ → ㄷ
<정답 및 해설>
33. 실증주의와 해석주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해석주의는 주로 언어를 분석대상으로 활용한다.
② 실증주의는 흔히 경험주의라고도 불린다.
③ 해석주의는 현상에 대한 직접적 이해가 가능하지 않다고 본다.
④ 실증주의는 객관적 실재가 독립적으로 존재한다고 본다.
⑤ 해석주의는 보편적으로 적용가능한 분석도구가 존재한다고 본다.
<정답 및 해설>
34. 측정수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는 비율변수이다.
② 명목변수의 수치에는 서열이나 양적 의미가 없다.
③ 온도 1 ℃와 2 ℃의 차이는 10 ℃와 11 ℃의 차이와 동일하다.
④ 비율변수 0 은 경험세계에서 속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⑤ 100 Kg은 50 Kg보다 두 배 무겁다.
<정답 및 해설>
35. 다음 사례의 내적타당도 저해요인은?
사전검사에서 우울점수가 지나치게 높은 5명의 노인을 선정하여 우울감소 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동일한 도구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더니 이들의 우울점수가 낮아졌다. |
① 후광효과 ② 통계적 회귀 ③ 실험대상 변동
④ 도구효과 ⑤ 인과적 시간 순서
<정답 및 해설>
36.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에 비해 면접설문조사가 갖는 장점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자료입력이 편리하다. ㄴ. 응답의 결측치를 최소화한다. ㄷ. 조사대상 1인당 비용이 저렴하다. ㄹ. 개방형 질문에 유리하다. |
① ㄱ, ㄴ, ㄷ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ㄹ ⑤ ㄱ, ㄴ, ㄷ, ㄹ
<정답 및 해설>
37. ( )안에 알맞은 것은?
우울 척도 A의 측정치가 우울 척도 B보다는 자아존중감 척도 C의 측정치와 더 일치할때 척도 A의 ( )는 문제가 된다. |
①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② 판별타당도(discriminant validity)
③ 액면타당도(face validity) ④ 예측타당도(predictive validity)
⑤ 기준관련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
<정답 및 해설>
38. 리커트(Likert)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비율척도이다. ② 개별 문항의 중요도는 동등하지 않다.
③ 단일 문항으로 측정하는 장점이 있다. ④ 질적 조사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⑤ 척도나 지수 개발에 용이하다.
<정답 및 해설>
39. 검사효과(testing)를 통제할 수 있는 실험설계를 모두 고른 것은?
ㄱ.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 ㄴ. 솔로몬 4집단 설계 ㄷ. 비동일 통제집단 설계 ㄹ. 통제집단 사후검사 설계 |
① ㄱ, ㄴ, ㄷ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ㄹ ⑤ ㄱ, ㄴ, ㄷ, ㄹ
<정답 및 해설>
40. 쿤(T. Kuhn)의 과학철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과학은 일정한 방향으로 누적적 진보를 하지 않는다.
② 과학적 진리는 과학공동체의 패러다임에 의존한다.
③ 과학적 진리는 사회의 성격에 영향을 받는다.
④ 패러다임의 우열을 비교할 수 있는 객관적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
⑤ 과학의 진보에는 특정한 패턴이나 구조가 존재하지 않는다.
<정답 및 해설>
41. 조사연구와 관련해 윤리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① 판단능력이 현저히 상실된 조사대상자의 경우 후견인의 동의를 얻었다.
② 누구인지 식별할 수 있는 항목을 제거한 후 자료를 공개했다.
③ 조사 참여에 대한 개별 동의서를 사전에 받았다.
④ 조사에 참여하면 얻게 되는 이익을 조사대상자에게 미리 알리지 않았다.
⑤ 조사 과정 중 언제라도 참여를 중단할 수 있음을 사전에 알렸다.
<정답 및 해설>
42. 다음이 공통적으로 설명하는 조사설계는?
○ 일회 사례연구보다 진일보한 설계이다. ○ 시간적 우선성과 비교의 기준이 존재한다. ○ 내적타당도 저해요인을 통제하지 못한다. |
① 통제집단 사후검사 설계 ②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
③ 비동일 통제집단 설계 ④ 플라시보 통제집단 설계
⑤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
<정답 및 해설>
43. 개념의 조작화 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조작적 정의, 명목적 정의, 측정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② 조작적 정의는 개념에 대한 사전적 정의이다.
③ 변수를 조작적으로 정의하는 방법은 한정되어 있다.
④ 조작화 과정의 최종 산물은 수량화이다.
⑤ 질적 조사에서 중요한 과정이다.
<정답 및 해설>
44. 횡단연구와 종단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일정기간에 걸쳐 발생하는 변화에 관한 연구는 종단연구이다.
② 횡단연구는 상대적으로 비용이 많이 든다.
③ 종단연구는 한 시점에서 대상을 관찰한다.
④ 동일대상을 반복 관찰하는 것은 횡단연구이다.
⑤ 특정 집단의 변화에 대한 횡단연구는 경향연구(trend study)이다.
<정답 및 해설>
45. 다음과 같은 유형의 질문은?
귀하는 대통령선거에서 투표한 적이 있습니까? □ 예 (1~3번 질문에 답해 주십시오) □ 아니오(1~3번 질문을 건너뛰고 4번 질문으로 바로 가십시오) |
① 복수응답 유발형 질문 ② 행렬식 질문 ③ 동일유형 질문
④ 수반형 질문 ⑤ 개방형 질문
<정답 및 해설>
46. 이질적 집단보다 동질적 집단에서 추출한 표본의 표집오차가 작다는 이론에 기초한 표집방법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유의(purposive)표집 ㄴ. 할당(quota)표집 ㄷ. 단순무작위(simple random)표집 ㄹ. 층화(stratified)표집 |
① ㄱ, ㄴ, ㄷ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ㄹ ⑤ ㄱ, ㄴ, ㄷ, ㄹ
<정답 및 해설>
47. 사회복지사 1급 국가시험이 1회부터 10회까지 아동 관련 이슈를 얼마나 다루었는지를 분석할 때 사용된 연구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분석대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② 필요한 경우 재분석이 가능하다.
③ 직접조사보다 경제적이다. ④ 양적 내용을 질적 자료로 전환한다.
⑤ 다양한 기록자료 유형을 분석할 수 있다.
<정답 및 해설>
48. 정규분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표본의 사례수와 무관하게 표집분포(sampling distribution)는 정규분포를 따른다.
② 표준정규분포의 평균은 0 이고 분산과 표준편차는 동일하다.
③ 정규분포의 모양은 평균과 표준편차에 의해 결정된다.
④ 최빈값과 중위수는 같다.
⑤ 정규분포곡선은 좌우대칭이며 종모양이다.
<정답 및 해설>
49. ‘연장입양아동이 주관적으로 경험한 입양됨의 의미’와 같은 연구주제를 다룰 때 주로 사용되는 연구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초기의 분석틀을 도중에 변경할 수 있다.
② 개방형 질문과 구조화 면접으로 심층정보를 얻는다.
③ 연구도구로서 연구자가 가진 자질이 중요하다.
④ 자료의 수집과 분석이 단계상 분명히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⑤ 연구자의 주관성이 개입될 수 있다.
<정답 및 해설>
50. 귀납법과 연역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귀납법과 연역법은 상호 배타적이다.
② 귀납법은 이론에서 조작화와 관찰로 이어진다.
③ ‘모든 사람은 죽는다’와 같은 명제에서 시작하는 것은 귀납법이다.
④ 연역법은 개별 사례의 관찰에서 출발한다.
⑤ 경험적 관찰에서 보편적 유형을 찾는 것은 귀납법이다.
<정답 및 해설>
51. 변수 간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복지정책이 소득수준 향상의 원인일 때 복지정책은 독립변수이다.
② 소득수준 향상이 경제발전의 결과라면 소득수준은 종속변수이다.
③ 경제수준이 비슷한 국가를 대상으로 복지정책의 빈곤감소효과를 조사할 때 경제수준은 통제변수이다.
④ 경제발전으로 복지정책의 재원이 늘어 생활수준이 향상되었다면 경제발전은 매개변수이다.
⑤ 경제여건에 따라 복지정책의 빈곤감소효과가 달라진다면 경제여건은 조절변수이다.
<정답 및 해설>
52. 다음은 어떤 연구에 관한 설명인가?
○ 연구자가 연구대상자보다 우위에 있다는 암묵적 가정에 도전한다. ○ 연구대상자는 자신의 문제와 해결책을 스스로 정의한다. ○ 연구대상자는 연구설계에 주도적 역할을 수행한다. |
① 현상학(phenomenology)
② 문화기술지(ethnography)
③ 근거이론(grounded theory)
④ 참여행동연구(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⑤ 내러티브탐구(narrative inquiry)
<정답 및 해설>
53. 다음 사례에서 표집 관련 용어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아동양육시설에 거주하는 아동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기 위해 아동복지협회에 등록된 전체 대상자명부에서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으로 모집단을 구분하고 모집단 의 비율에 맞게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
① 모집단 - 아동양육시설 거주 아동 ② 표집틀 - 대상자명부
③ 표집방법 - 비례적 군집(cluster)표집 ④ 표집단위 - 개인 ⑤ 관찰단위 - 개인
<정답 및 해설>
54. 측정도구의 신뢰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신뢰도는 무작위 오류와 관련이 있다.
② 재검사법을 사용하여 신뢰도를 평가할 경우 측정대상이 동일해야 한다.
③ 측정하고자 의도한 것을 측정하는 능력을 말한다.
④ 크론바 알파(Cronbach's alpha)는 신뢰도 측정의 대표적 방법이다.
⑤ 측정결과가 일관된 정도를 말한다.
<정답 및 해설>
55. 바람직한 가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 ② 정(+)의 관계로 기술되어야 한다.
③ 표현이 간단명료하여야 한다. ④ 이론과 연관되어야 한다.
⑤ 변수 간의 관계를 기술하여야 한다.
<정답 및 해설>
56. 변수값이 집중경향치를 중심으로 흩어져 있는 정도를 알려주는 수치가 아닌 것은?
① 분산(variance) ② 사분편차(interquartile range)
③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④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⑤ 범위(range)
<정답 및 해설>
57.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통합한 혼합연구방법(mixed method)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양적 연구의 결과에서 질적 연구가 시작될 수 있다.
② 두 가지 연구방법 모두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필요하다.
③ 연구자에 따라 두 가지 연구방법의 비중은 상이할 수 있다.
④ 다양한 패러다임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⑤ 질적 연구결과와 양적 연구결과는 상반될 수 없다.
<정답 및 해설>
58. 외적타당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연구대상의 대표성이 외적타당도에 영향을 준다. ㄴ. 연구대상의 조사반응성은 외적타당도를 저해할 수 있다. ㄷ. 연구결과의 일반화와 관련이 있다. ㄹ. 인과관계의 정도와 관련이 있다. |
① ㄱ, ㄴ, ㄷ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ㄹ ⑤ ㄱ, ㄴ, ㄷ, ㄹ
<정답 및 해설>
59. 일반적으로 질적 연구에서 사용되는 표집방법이 아닌 것은?
① 극단적 사례(extreme case)표집 ② 전형적 사례(typical case)표집
③ 눈덩이(snowball)표집 ④ 편의(convenience)표집
⑤ 체계적(systematic)표집
<정답 및 해설>
60. 욕구조사의 방법으로 각각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ㄱ. 기존자료를 활용하는 방법 ㄴ. 전문가를 대상으로 직접 수집하는 방법 ㄷ. 지역의 일반주민을 대상으로 직접 수집하는 방법 |
ㄱ ㄴ ㄷ
① 사회지표조사 델파이조사 지역사회 서베이
② 서비스이용기록분석 주요정보제공자 조사 이차적 자료분석
③ 델파이조사 주요정보제공자 조사 공청회
④ 서비스이용기록분석 지역사회 서베이 이차적 자료분석
⑤ 델파이조사 공청회 사회지표조사
<정답 및 해설>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 2013년 11회 정답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_11_3-1(사회복지 정책론/A형)전체 정답 (0) | 2022.07.30 |
---|---|
2013_11_2-3(지역사회 복지론/A형)전체 정답 (0) | 2022.07.30 |
2013_11_2-2(사회복지 실천 기술론/A형)전체 정답 (0) | 2022.07.30 |
2013_11_2-1(사회복지 실천론/A형)전체 정답 (0) | 2022.07.30 |
2013_11_1-1(인간행동과 사회환경/A형)전체 정답 (0) | 2022.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