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지역사회복지론) |
57.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헐하우스(HullHouse)는 빈민들의 도덕성 향상을 위해 노력하였다.
② 우애방문단은 기존 사회질서를 비판하고 개혁을 주장하였다.
③ 인보관 이념은 우애방문단활동의 기반이 되었다.
④ 1960년대 존슨행정부는 ‘빈곤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다양한 지역사회 개혁을 단행하였다.
⑤ 1980년대 그리피스(E.Griffiths)보고서는 복지 주체의 다원화에 영향을미쳤다.
<정답 및 해설>
① 헐하우스(HullHouse)는 빈민들의 도덕성 향상을 위해 노력하였다.
◆ 헐 하우스(1889) - 제인 아담스와 스타가 미국 시카고에 건립. 사회, 교육, 인도주의, 시민생활에 걸친 서비스 제공
② 우애방문단은 기존 사회질서를 비판하고 개혁을 주장하였다.
◆ 우애방문단은 19세기 후반 현대적 의미의 전문화된 지역사회복지의 시작인 자선조직협회(COS: Charity Organization Society) 운동
③ 인보관 이념은 우애방문단활동의 기반이 되었다.
◆ 인보관 운동의 특성
- 사회환경이라는 요인이 사회문제의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인식
- 빈민지역에 들어가 그들과 함께 생활
- 빈민들과 교육받은 계층 간의 상호교류를 증진시키는 일, 이러한 공동활동과 연구를 통해서 서로 문화 공유
- 인보관 프로그램 : 빈민 자조 조직의 결성을 돕는 일, 지역 노동자들과 함께 노사문제를 상담∙협의하는 일, 주민들에게 글과 예술을 가르치는 일 등
- 인보관 활동가들은 빈민과의 개별적 관계를 중시, 이웃과 동료로 접근
- 사회개혁운동에 동참할 것을 호소
- 토인비 홀의 영향으로 영국 전역에 100여 개의 인보관 확산 설립
- 국가가 사회복지 책임지면서 영향력 줄어들게 됨
④ 1960년대 존슨행정부는 ‘빈곤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다양한 지역사회 개혁을 단행하였다. → 미국의 역사임
영국의 역사적 배경
1. 영국의 지역사회복지의 발달 과정의 개요 ◆ 영국은 지역사회복지의 역사적 기원이 되는 엘리자베스 빈민법(1601) 이래 지역사회 복지의 법제화를 이끌어 옴 ◆ 19세기 후반 현
ocsc.tistory.com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 2021년 19회 정답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_19_2-3-59번(지역사회 복지론)정답 풀이 (0) | 2022.07.26 |
---|---|
2021_19_2-3-58번(지역사회 복지론)정답 풀이 (0) | 2022.07.26 |
2021_19_2-3-56번(지역사회 복지론)정답 풀이 (0) | 2022.07.26 |
2021_19_2-3-55번(지역사회 복지론)정답 풀이 (0) | 2022.07.26 |
2021_19_2-3-54번(지역사회 복지론)정답 풀이 (0) | 2022.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