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적으로 우울할 수 있지만 뚜렷한 이유가 있고 시간이 지나면 평소처럼 좋아집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데도 우울감이 심하고 오랫동안 지속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euhtko/btrHMceDaRd/zq4YRm8CcN1JX8jV8wQQE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I7HkA/btrHNWI5dpR/k4CysWD72R6GkHYNRsczxK/img.png)
생물학적 원인
우울증은 뇌의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으로 인해 초래됩니다. 흔히 세로토닌이라는 뇌내 신경전달물질의 저하가 우울증과 관련됩니다. 항우울제는 이러한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여 우울증의 원인을 치료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enA0ND/btrHPND8hpG/ab6fakj5yfTkiKsXtKqEVk/img.png)
유전적 원인
우울증은 유전 질환이 아닙니다. 다만, 우울증이 있는 부모나 형제, 친척이 있다면 우울증에 걸릴 확률은 일반인에 비해 약간 높을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jCt99/btrHPJooTZG/lqm326zTF1GKvcZFvUcMIK/img.png)
신체적 질환이나 약물
암, 내분비계 질환, 뇌졸중 등 다양한 질환이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약물치료도 일부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우울증은 원인을 치료하면 우울증도 호전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감별진단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gkfKv/btrHPOC1dkz/4pSH2f7l9XlcPf6KuKXX2K/img.png)
생활 및 환경 스트레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이별, 외로움, 실직, 경제적인 걱정과 같은 스트레스가 우울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지속적인 우울감
- 의욕 저하, 흥미의 저하
- 불면증 등 수면장애
- 식욕 저하 또는 식욕증가와 관련된 체중변화
- 주의집중력 저하
- 자살에 대한 반복적인 생각, 자살시도
- 부정적 사고, 무가치감, 지나친 죄책감
- 일상생활 기능의 저하, 학업능력저하, 휴학, 생산성 저하, 가족 갈등, 이혼 등
우울감이 잘 드러나지 않고 소화불량, 복통, 두통과 같은 모호한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불안, 불면증이 흔하게 나타납니다.
성격이 변한 것처럼 보입니다.
우울증에 의한 인지기능 저하가 나타날 수 있고 이는 치매의 증상과 유사(우울성 가성치매)하여 치매로 오인되기도 합니다.
현재 사용되는 항우울제는 대부분 비슷한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되며 약물 투여 2~3주 후에 효과를 보이기 시작하며, 대개 4~6주 정도 지나면 충분한 효과가 나타납니다. 약물을 충분한 용량으로 충분 기간 동안 사용한다면 2/3의 환자에서 효과가 나타납니다. 약물치료로 증상이 호전되어도 6개월 정도는 약물 치료를 계속해야 재발을 예방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약물을 장기간 사용해도 신체 특별한 위험성은 없으며 중독성 또한 거의 없습니다.
필요에 따라 지지정신치료, 정신분석, 인지행동치료, 대인관계치료 등 다양한 정신과적 상담을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울증의 특징적인 부정적 사고를 감소시키고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우울증을 예방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우울증의 증상으로 인한 변화(짜증, 무기력, 약속 지키지 않음 등)를 비난하지 않고 우울증인지 의심해보고 차분히 대화를 나눕니다.
- 세심한 배려로 어려움을 충분히 들어주고 이해하고 공감하고 격려해줍니다.
- 우울증 치료를 받도록 적극적으로 권유하고 중등도 이상의 우울증의 경우 항우울제를 복용하도록 돕습니다.
- 섣부른 충고보다는 경청하는 자세로 친구가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좋습니다.
- 혼자 두지 않고 운동 등 여러 가지 활동을 같이 하면 좋지만, 너무 강요하면 내가 얼마나 힘든지 모른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 자살에 대해서 언급한다면 자세히 묻고 자살의 위험이 있는 경우 즉각적으로 치료를 받도록 하여야 합니다.
<출처:부산정신건강복지센터 누리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