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➊표본의 크기 결정
|
||
종류
|
특징
|
단점
|
표본추출 오차
(Sampling Error) |
정의
|
표본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로, 모집단에서 얻을 수 있는 모든 가능한 표본 중 하나를 선택했을 때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나타냅니다. 이 오차는 무작위 표본추출 과정의 변동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
원인
|
표본추출 오차는 모집단의 모든 개체를 조사할 수 없으므로, 표본에서 얻은 결과가 모집단의 실제 특성과 다를 수 있습니다.
|
|
관리 방법
|
표본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무작위 표본추출 방법을 개선함으로써 표본추출 오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표본추출 오차를 추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
비표본추출 오차
(Non-Sampling Error) |
정의
|
조사 과정의 다른 단계에서 발생하는 오차로, 표본추출과는 관련이 없는 오차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오차는 조사 설계, 데이터 수집, 데이터 처리, 응답자 오류 등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원인
|
비표본추출 오차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예를 들어, 설문지의 문항이 모호하거나 부적절하게 설계된 경우, 조사 대상자가 질문에 정확하게 응답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
관리 방법
|
비표본추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조사 설계 단계부터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효과적인 설문지 설계, 적절한 표본 추출 방법 선택, 합리적인 데이터 수집 절차 등을 고려하여 오류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
|
표본추출 오차와 비표본추출 오차는 연구나 조사의 신뢰성과 타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입니다.
연구자는 이러한 오차를 이해하고 관리하여 연구 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
728x90
반응형
'챗-gpt로 사회조사분석사 도전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Ⅰ과목 조사방법과 설계_3장 설문 설계_01.분석설계_➊설명적/기술적 조사설계의 개념과 유형 (0) | 2023.09.26 |
---|---|
Ⅰ과목 조사방법과 설계_2장 표본 설계_03.표본크기 결정_➋표본오차의 크기 결정 (0) | 2023.09.26 |
Ⅰ과목 조사방법과 설계_2장 표본 설계_02.표본추출방법 결정_➌표본추출 오차와 비표본추출 오차의 개념 (0) | 2023.09.26 |
Ⅰ과목 조사방법과 설계_2장 표본 설계_02.표본추출방법 결정_➋표본추출 절차 수립 (0) | 2023.09.26 |
Ⅰ과목 조사방법과 설계_2장 표본 설계_02.표본추출방법 결정_➊표본추출 방법 (0) | 2023.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