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기초(사회복지조사론) |
30.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A연구소가 정치적 보수성을 판단할 수 있는 문항들의 상대적인 강도를 11개의 점수로 평가자들에게 분류하게 한다. 다음 단계로 평가자들 간에 불일치도가 높은 항목들을 제외하고, 각 문항이 평가자들로부터 받은 점수의 중위수를 가중치로 하여 정치적 보수성 척도를 구성한다. |
① 거트만(Guttman)척도
② 서스톤(Thurstone)척도
③ 리커트(Likert)척도
④ 보가더스(Borgadus)척도
⑤ 의미차이(sematic differential)척도
<해설>
① 거트만(Guttman)척도 → 항목 자체에 일정한 기준에 의해 서열성을 부과하여 구성(누적척도)
② 서스톤(Thurstone)척도 → 측정의 양 극단을 동일한 간격으로 만들어 수치 부여(등간 척도)
③ 리커트(Likert)척도 → 각 항목의 단순 합산을 통해 서열성을 산출(보통 3~7 등급분류)
④ 보가더스(Borgadus)척도 → 사회집단 간의 심리적 거리감을 측정(사회적 거리 척도)
⑤ 의미차이(sematic differential)척도 → 양 극단에 서로 상반되는 형용사를 배치하여 평가
<공부하기> 출처 링크 : https://ocsc.tistory.com/261
측정과 측정도구
1. 측정의 개념 1) 측정의 개념 가. 측정(measurement)이란? - 어떤 상태, 특성, 태도, 행동 등의 이론적 개념을 정당화하는 과정 - 조사 대상자의 속성 ..
ocsc.tistory.com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 2019년 17회 정답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_17_1-2-32번(사회복지 조사론)정답 풀이 (0) | 2022.08.06 |
---|---|
2019_17_1-2-31번(사회복지 조사론)정답 풀이 (0) | 2022.08.06 |
2019_17_1-2-29번(사회복지 조사론)정답 풀이 (0) | 2022.08.06 |
2019_17_1-2-28번(사회복지 조사론)정답 풀이 (0) | 2022.08.06 |
2019_17_1-2-27번(사회복지 조사론)정답 풀이 (0) | 2022.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