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사회복지실천론) |
7. 사회복지실천이 봉사활동에서 전문직으로 출발하게 된 계기가 아닌 것은?
① 우애방문자들의 활동에 보수를 지급하기 시작하였다.
② 우애방문자를 지도ㆍ감독하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③ 자선조직협회는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④ 의사인 카보트(R. Cabot)가 매사추세츠병원에 의료사회복지사를 정식으로 채용하였다.
⑤ 전통적 방법론의 한계로 인하여 통합적 방법론이 등장하였다.
<해설>
▶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1)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직화기
· 전문성 논란에 따라 전문적 교육, 전문가협회 설립, 기초이론 구축 등의 노력 시도, 정신분석 이론의 영향
2) 사회복지실천 전문직 분화기
· 3대 실천방법론 : 개별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조직
· 진단주의와 기능주의 대립
3) 사회복지실천 방법 통합기
· 사회복지사가 개인, 집단, 지역사회에서 제기되는 사회문제에 활용할 수 있는 공통된 하나의 원리나 개념을 제공하고자 하는 방법의 통합화
4) 사회복지실천의 다양화, 확장기
· 다양한 실천모델의 활용, 절충주의, 사례관리의 등장
<공부하기> 출처 링크 : https://ocsc.tistory.com/626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2)
1.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2)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직화 · 전문적 교육 - 전문교육 체계의 등장 - 대학교육 체계 - 전문가협회 설립 - 기초이론 구축 (3) 전문적 교육 ① 전문교
ocsc.tistory.com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 2020년 18회 정답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_18_2-1-9번(사회복지실천론)정답 풀이 (0) | 2022.08.02 |
---|---|
2020_18_2-1-8번(사회복지실천론)정답 풀이 (0) | 2022.08.02 |
2020_18_2-1-6번(사회복지실천론)정답 풀이 (0) | 2022.08.02 |
2020_18_2-1-5번(사회복지실천론)정답 풀이 (0) | 2022.08.02 |
2020_18_2-1-4번(사회복지실천론)정답 풀이 (0) | 2022.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