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사회복지기초(사회복지조사론) |
36. 단일사례설계의 개입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개입 후 변화의 파동이 심하면 효과 판단이 어렵다.
② 기초선이 불안정할 경우 기초선의 경향선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개입효과를 판단한다.
③ 기초선에서 개입기간까지의 경향선을 통해 시각적으로 개입효과를 판단한다.
④ 기초선과 개입기간 두 평균값의 통계적 검증을 통해 개입효과를 판단한다.
⑤ 개입 후 상당한 기간이 지나 최초의 변화가 발생할 경우 개입효과가 있다고 판단한다.
<해설>
⑤ 개입 후 상당한 기간이 지나 최초의 변화가 발생할 경우 개입효과가 있다고 판단한다.
→ 확신할 수 없다. 개입과정에서 변화가 없으면 계획 또는 방법을 수정, 변경해야 한다.
▶ 개입결과 평가(자료분석)
- 개입과정에 나타난 표적 행동의 변화는 그래프로 나타냄
- 변화의 파동, 변화의 경향, 변화의 수준 등을 검토하여 개입의 효과를 평가함
<공부하기> 출처 링크 : https://ocsc.tistory.com/264
단일사례조사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강박증이 있는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 상담치료가 성공적이라는 것을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요? 1. 단일사례조사의 유래와 특성 1)
ocsc.tistory.com
728x90
반응형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 2020년 18회 정답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_18_1-2-38번(사회복지조사론)정답 풀이 (0) | 2022.08.02 |
---|---|
2020_18_1-2-37번(사회복지조사론)정답 풀이 (0) | 2022.08.02 |
2020_18_1-2-35번(사회복지조사론)정답 풀이 (0) | 2022.08.02 |
2020_18_1-2-34번(사회복지조사론)정답 풀이 (0) | 2022.08.02 |
2020_18_1-2-33번(사회복지조사론)정답 풀이 (0) | 2022.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