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사회복지기초(사회복지조사론) |
28. 양적조사와 질적조사의 비교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질적조사에 비하여 양적조사의 표본크기가 상대적으로 크다.
② 질적조사에 비하여 양적조사 에서는 귀납법을 주로 사용한다.
③ 양적조사에 비하여 질적조사는 사회현상의 주관적 의미에 관심을 갖는다.
④ 양적조사는 가설검증을 지향하고 질적조사는 탐색, 발견을 지향한다.
⑤ 양적조사에 비하여 질적조사는 조사결과의 일반화가 어렵다.
<해설>
질적 조사는 전통적인 양적 조사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귀납적, 해석적 조사방법을 강조하는 연구방법
3. 질적 조사와 양적 조사의 비교
구분 | 질적 조사 | 양적 조사 |
특성 | - 주관적 - 방법, 연구 디자인 융통성 - 가설 없이 시작 - 탐색적 성격 - 학습자로서 연구자의 역할 - 작은 표본 - 자연스러운 실제 환경 |
- 개관적 - 융통성 적음 - 설명적 성격 - 구체적인 이론적 배경 - 전문가로서의 연구자의 역할 - 규모가 큰 표본 - 비교적 구조화된 환경 |
자료수집방법 | - 관찰 - 심층면접 - 개인 기록의 분석 - 참여관찰 - 포커스 그룹 |
- 개입 - 실험 - 구조화된 설문지 |
척도활용 | - 척도활용이 낮음 | - 척도활용이 높음 |
목적 | - 주로 어떤 주제, 관계 및 패턴발견 | - 주로 가설 검증이 목적 |
장점 | - 심층적, 풍부한 사실 발견 - 문제에 대한 새로운 시각 제공 - 조사설계 및 자료 수집의 융통성 - 작은 표본에도 가능 |
- 객관적, 일반화할 수 있는 결과 산출 - 재정 지원, 출판 용이 - ‘hard’데이터 구축 가능 |
단점 | - ‘주관적’이라는 인상 - 조사결과 일반화 어려움 - 효율성 입증, 실천 미흡 - 재정 지원, 출간 어려움 |
- 구체적이지 못한 경향 - 조사연구자의 장이 덜 자연스러움 - 모든 결과를 계량화 |
<자료 링크> : https://ocsc.tistory.com/279
질적 조사의 개념
1. 질적 조사의 개념 1) 질적 조사방법의 기원 - 19세기 말, 문화인류학 중 문화기술학의 영향 - 제2차 세계대전 말엽, 시카고 학파 중심의 심층 관찰..
ocsc.tistory.com
728x90
반응형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 2021년 19회 정답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_19_1-2-30번(사회복지조사론)정답 풀이 (0) | 2022.07.23 |
---|---|
2021_19_1-2-29번(사회복지조사론)정답 풀이 (0) | 2022.07.23 |
2021_19_1-2-27번(사회복지조사론)정답 풀이 (0) | 2022.07.23 |
2021_19_1-2-26번(사회복지조사론)정답 풀이 (0) | 2022.07.23 |
2021_19_1-1-25번(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정답 풀이 (0) | 2022.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