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사회복지실천론)
21.종결단계에서 사회복지사의 과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사후관리 계획 수립
②목표달성을 위한 서비스 제공
③클라이언트 변화결과에 대한 최종 확인
④다른 기관 또는 외부 자원 연결
⑤종결에 대한 클라이언트 반응 처리
<해설>
②목표달성을 위한 서비스 제공 = 개입단계
○ 사회복지실천과정
▶ 초기단계
◉ 이 단계에는 초기면담, 사정, 목표설정, 계약 등이 포함됨
- 초기면담은 문제나 욕구를 가진 사람이 사회복지기관을 방문했을 때 그의 문제와 욕구를 확인하고 서비스제공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잠재적Ctㅡ> Ct가 됨)
- 사정단계에서는 수집된 정보에 근거, Ct의 문제 및 욕구의 성격과 원인을 규명하고 Ct의 문제에 대해 전문적인 평가를 내리는 실천활동
- 목표는 Ct의 능력을 충분히 고려하여 현실적이고 구체적이며 실현 가능한 것으로 책정되어야 함
- 목표설정 후에는 Ct와 개입에 관한 계약서를 작성
(문제의 정의, 목표, 사회복지사와 Ct의 역할, 개입의 시간, 장소, 횟수, 기간 등의 내용 포함)
▶ 중간단계
- 중간단계는 사회복지사와 Ct가 앞서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임
- 사회복지사는 Ct가 스스로의 힘으로 과업을 완수해 나갈 수 있도록 상담, 교육, 동기유발, 자원연결 등 제공
- 사회복지사는 개입을 통해 Ct를 지도, 자극, 지지하며, 문제 해결을 위한 Ct의 노력에 대해 계속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함
- 개입을 통해 사회자원이 필요여부 검토, 소속 기관의 이용 가능한 자원을 타진해 봄
- 사회복지사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체계를 파악, Ct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적절히 제공해야 함
- 직접개입, 간접개입을 하여 변화를 도모함
예) 자원발굴, 연계하기,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 등
- 중간점검을 통하여 수정할 수 있음
▶ 종결단계
◉ 종결의 시기
- 목표가 달성되었거나 계획된 서비스 제공 기간이 종료 되었을 때
- 개입 대상이 되는 문제가 해결되었을 때,
- 문제해결에 대한 Ct와 사회복지사 의견이 일치했을 때,
- 앞으로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 할 가능성은 있으나 Ct가 자립적으로 해결가능하며,
- 그것에 사회복지사와 Ct가 동의할 때 등
- 사회복지사는 Ct가 종결을 준비할 수 있도록 개입의 후반에서부터 종결 준비를 해가야 함
- Ct는 안정적이고 우호적인 관계가 끝난다는 데에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게 됨
- 사회복지사는 Ct의 변화 및 달성 정도를 측정, 변화 정도, 목표달성 정도를 객관적이고 정확한 판단 및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됨
<공부하기> 출처 링크 : https://ocsc.tistory.com/848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 2022년 20회 정답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_20_2-1-23번(사회복지 실천론)정답 풀이 (0) | 2022.06.08 |
---|---|
2022_20_2-1-22번(사회복지 실천론)정답 풀이 (0) | 2022.06.08 |
2022_20_2-1-20번(사회복지 실천론)정답 풀이 (0) | 2022.06.08 |
2022_20_2-1-19번(사회복지 실천론)정답 풀이 (0) | 2022.06.08 |
2022_20_2-1-18번(사회복지 실천론)정답 풀이 (0) | 2022.06.08 |